검색결과 필터

[전체] “감후” 에 대한 검색결과 2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3)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은 측후‧각루를 관장하였다. 이 때 는 태사국의 최말단에 있으면서 기후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으며, 문종 때의 관제에서는 종9품으로 2인이 있었다. 그 뒤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관제를 개혁할 때 사천감(국초 태복감의 후신)을 태사국에 병합하여...
  • TD_A2_D_0034 천문학 太史局, 天文 麗初 百官志 D_17_04_58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5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5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운관(書雲觀) 부봉사(副奉事)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김일권 [정의] 고려와 조선초기에 서운관(書雲觀)에서 기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정9품 관...
    상위어서운관(書雲觀) | 관련어부봉사(副奉事)
  • 태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태사국(太史局)의 종9품직.
    정의고려시대 태사국(太史局)의 종9품직.[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Taesa gamhu | MR표기T’aesa kamh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혜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대방이 나에게 보낸 선물. 惠寄諸品 良注, 김정희(金正喜), 20-4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논문(1)

고서·고문서(164)

  • 子曰:“孟之反不伐。奔而殿,將入門,策其馬,曰,‘非也,馬不進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370 論語古今注 卷三 ITKC_MP_0597A_0370_010_0120 子曰:“孟之反不伐。奔而殿,將入門,策其馬,曰,‘非也,馬不進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권차명論語古今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今沖子嗣,則無遺壽耈。曰其稽我古人之德,矧曰其有能稽謀自天。嗚呼!有王雖小,元子哉。其丕能諴于小民,今休。王之,用顧畏于民碞。【《說文》,碞爲嵒】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40 尙書古訓 卷五 ITKC_MP_0597A_0540_050_0110 今沖子嗣,則無遺壽耈。曰其稽我古人之德,矧曰其有能稽謀自天。嗚呼!有王雖小,元子哉。其丕能諴于小民,今休。王之,用顧畏于民碞。【《說文》,碞爲嵒】 정약용(丁若鏞) ...
    권차명尙書古訓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騙盜之害 【糾黨搶牛,遂殺幼童二命 ○嘉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380_030_0220_2015_030_XML 030 廣西省桂平縣民韋亞應等,謀死幼童凌阿滿ㆍ王程養二命。將韋亞應,照圖財害命,未得財殺人爲首者,擬斬,方亞十ㆍ韋亞長,照爲從加功,擬絞一本。固屬按...
    권차명欽欽新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1400 B011400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4年 8月 19日_030 在魯曰, 湯劑連爲進御乎? 上曰, 服之不愈矣。 在魯曰, 大王大妃殿氣候若何? 上曰, 一向安寧矣。 在魯曰, 王世子何如? 上曰, 差愈矣。 周鎭曰, 伏聞東宮入侍醫官所傳之言, 東宮,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2309 B01230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4年 8月 19日_030 在魯曰, 湯劑連爲進御乎? 上曰, 服之不愈矣。 在魯曰, 大王大妃殿氣候若何? 上曰, 一向安寧矣。 在魯曰, 王世子何如? 上曰, 差愈矣。 周鎭曰, 伏聞東宮入侍醫官所傳之言, 東宮,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7)

  • 任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등통감의 귀국은 직의미가잇다고 항셜이분분거니와 그말이 젼연 무근지셜은 안이라 그후임은 작 계랑씨로 의망이된듯니 당쵸에 계작이 통감으로 뎡망얏스나 년로야 외타국에 즁임을 감당키 어렵다고양야 어에던지 이등통감의 후임은 계작이됨줄노 긔약고...
    게재일1906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副統補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지금 부통감 실시 관졔를 편졔즁인 그부통감 후보쟈 장곡쳔대장이나 산본 군대장이 될듯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9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日 韓 協 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二十四日 內閣總理大臣勳二等李完用 官章 明治四十年七月二十四日 統爵 伊藤博文 官印
    게재일1907년 7월 27일 | 기사분류관보
  • 日韓新協約成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 명치십년칠월이십일 통작 이등박문 (인)
    게재일1907년 7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森林合同條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압록강과 두만강 삼림에 관야 한일 량국졍부에셔 합동죠약을 셩립야 대한의졍부 참졍대신 박졔슌 탁지부 대신 민영긔 농상공부대신 셩기운씨 대일본통작이등박문씨간에련셔얏그죠약젼문이자와여더라 압록강과 두만강 삼림이 한국국경에잇셔셔 가장풍옥 리원으로인야 한일량국...
    게재일1906년 12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기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서운관의 정9품 관직. 서운관은 천문·역수·측후·각루의 일을 맡아보았는데, 국초에는 태복감과 태사국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태복감은 천문·역수를, 태사국은 측후·각루를 관장하였다.

  • 이병립 / 李柄立 [역사/근대사]

    조선사회과학연구회를 결성하였다. 출 북간도 용정의 동흥중학교 교사가 되었다. <왜정시대인물사료>에는 공산주의자라고 기록하고있다.

  • 삼일밤나무 / 三一─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호만포리에 있는 밤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23호. 삼일밤나무는 호만포리 동쪽 봉의 남쪽 기슭에 퍼져있다. 밤나무는 3·1운동 때 이곳 주민들이 독립만세를 부르고 그것을 기념하여 심었다고 한다. 밤나무밭은 3·1이라는 글자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