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감탕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상록소교목. [내용] 학명은 Ilex integra THUNB.이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이남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타원형 또는 이와 비슷하고, 양 끝이 빠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3, 4...
  • 완도예송리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에 있는 . [내용] 천연기념물 제338호. 나무의 나이는 300년으로 추정되며, 높이 15m, 가슴높이둘레 2.7m에 달한다. 가지는 지상 3m 정도에서 갈라지기 시작하여 동서로 24m,...
    연계항목완도예송리의감탕나무(莞島禮松里의감탕나무)
  • 신제총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때 신제총통에 사용하던 화살. [내용] 나 싸리나무로 만들었다.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禮)』의 ‘병기도설(兵器圖說)’에는 길이 5촌4분(165.5㎜), 둘레 1촌3분(39.8㎜), 촉의 무게는 7전, 길이는 1촌(30....
  • 대팻집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내용] 학명은 Ilex macropoda MIQ.이다. 충청도 이남에서 자라고 중국에도 분포한다. 높이 12m, 지름 30㎝에 이르고, 속리산과 계룡산 이남의 높이 1,300m 이하 산허리와 산기슭의
  • 서귀포시먼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공비토벌을 끝낸 기념으로 제2연대 병사가 주둔지인 이곳에 심은 것이다. 한라먼나무는 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난대림구성문자이며 보길도에도 자생하고 있다. 수피의 색깔이 검은빛을 띄고 있어서 지방사람들은 ‘먹낭’ 또는 ‘개먹낭’이라 하는데 ‘검은나무...
    연계항목서귀포시먼나무(西歸浦市먼나무)

고서·고문서(6)

주제어사전(7)

  • / 甘湯─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상록소교목. 학명은 Ilex integra THUNB.이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이남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타원형 또는 이와 비슷하고, 양 끝이 빠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3, 4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암꽃과 수꽃이 딴 그루에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과학/식물]

    魚付林: 고기떼를 유도할 목적으로 물가에 나무를 심어 이룬 숲)의 구실도 하고 있다. 숲에서 자라는 상록수종에는 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무룬나무··식나무·비쭈기나무·돈나무·사스레피나무·광나무·모밀잣밤나무·보리밥나무·모람·자금우·송악 등이 있다.

  • 대팻집나무 / Ilex macropoda MIQ.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충청도 이남에서 자라고 중국에도 분포한다. 높이 12m, 지름 30㎝에 이르고, 속리산과 계룡산 이남의 높이 1,300m 이하 산허리와 산기슭의 토심(土深: 흙의 깊이)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자생한다. 잎은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 군락 / 扶安 道淸里─群落 [과학/식물]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도청리에 있는 호랑가시나무군락. 천연기념물 제122호. 면적 8,926㎡. 호랑가시나무는 과에 속하며 상록활엽수로서 관목인데 높이가 2, 3m 정도이다. 어릴 때에는 잎이 모가 나고 끝이 가시처럼 되어 있으나 오래되면 잎은 둥글게 되고

  •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 군락 / 扶安 中溪里─群落 [과학/식물]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있는 꽝꽝나무 군락. 천연기념물 제124호. 면적 4,231㎡. 꽝꽝나무는 과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서 높이가 1.5∼3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서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장타원형 또는 좁은 도란형(倒卵形: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