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감탄사” 에 대한 검색결과 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

사전(54)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품사의 하나. 말하는 이의 본능적인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 따위를 나타내는 말의 부류
    정의품사의 하나. 말하는 이의 본능적인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 따위를 나타내는 말의 부류 | 문광부표기gamtansa | MR표기kamt’a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근대신어 : (엨스클라메이숸ㆍ)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0908 가항 엨스클라메이숸ㆍ exclamation mark 文法. 感歡符(!) 문법. (!)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354 인...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예술감각] 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웰(웰)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3178 웰 아항 웰 well (驚愕, 安堵, 滿足, 讓步, 承認, 斷念 等의 感情을 表現하거나 談話를 再始할 때에 的으로 쓰이는 말) (경악, 안도, 만족, 양보, 승인, 단념 등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담화를 재시할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감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할렐루야(Hallelujah)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5347 할렐루야 하항 Hallelujah 神을讚美하는 신을 찬미하는 그리스도를讚美하는 노래로써 Handel의 Hallelujah 는가장有名하다 그리스도를 찬미하는 노래로서 헨델의 할렐루야는 가장 유명...
    출전每日申報/每日新報[京城日報社/每日新報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신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영탄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내용] 극한 느낌, 심각한 고뇌, 고조된 정감 등을 주로 정서면에 호소하여 감상적으로 표현하는 수법이다. 대개는 ‘아아, 오오, 어머나, 아이구’ 등과 같은 를 사용하여 기쁨, 노여움, 슬픔, 즐...

단행본(1)

  • 韓國學硏究論文集(二)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임홍빈 외...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3.01.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이다의 불규칙 활용에 대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조우계와 모달리티에 관하여 판소리를 통한 한국어 전통문화 교육방안 연구 강점기 언어정책에 대하여-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韓語漢字成

고서·고문서(11)

  • を. 「알숭달숭」 は斑紋の錯綜せるさま 「둥둥」 は 「둥실」 と同じく浮動の意. 「선녀」 は仙女卽ち天女の意. 「허허」 は. 二 音域は一點ニ音から二點ホ音に至る九度間は旋律が移行して丁度よい工合である. 三 音程は第四段第一小節から第二小節に亙る上行三度音程及び同第四小節の...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斯うした美しい情景を歌つて農村に親しみの感を起させるのが本敎材の主眼ともならう. 歌詞は四六, 四七の詩型で, 四句二節に 「取り入れ」 の情景を樂しく歌つてゐる. 詩體は高雅にしての連續である. 詩そのものから眺むる時は, 大人が子供心に成り切つて謠つたものではあるが, 然し少し六年程度で...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주역대전 : 繫辭下傳:제9장(第九章)_4절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의 글에서 이미 초효와 상효 두 효 및 가운데의 네 효를 나누어 말하고, 여기서 다시 여섯 효를 총괄하여 말하였다. ‘희(噫)’는 이다. ‘존망(存亡)’은 음양의 사라짐과 자라남이고, ‘길흉(吉凶)’은 사정의 얻음과 잃음이다. 그 존망과 길흉의 귀결을 살피려 한다...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で, 「さあ」と云ふ意. 「互にむつみし」は, 睦み合ひし友愛の情意. 「やよ忘るな」の「やよ」は, 他を呼びかける「やあ」といふで, ここでは友愛の親しみあるお友達に呼びかけて「決して忘れるな」といふ意. 「わするゝまぞなき」の「まぞなき」は, 忘れる暇もなくといふことで, 「まぞなき...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 義で, 「さあ」と云ふ意. 「互にむつみし」は, 睦み合ひし友愛の情意. 「やよ忘るな」の「やよ」は, 他を呼びかける「やあ」といふで, ここでは友愛の親しみあるお友達に呼びかけて「決して忘れるな」といふ意. 「わするゝまぞなき」の「まぞなき」は, 忘れる暇もなくといふことで, 「まぞな...
    구분창가 | 편저자京城師範學校音樂敎育硏究會

구술자료(1)

  • 옛이야기 끝낼 때 하는 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끝낼 때 ‘도삥차라링푸’라는 말을 붙인다. 지역에 따라서는 ‘샹’이라는 말을 붙이기도 한다. 이 말은 별다른 뜻없이 처럼 쓰인다. 특히, 이야기가 해피엔딩일 때에는 축하한다는 뜻인 ‘메데타시’라는 말을 덧붙인다. 한편, 한국에서는 ‘행복하게 잘 살았대’ 또는 ‘엊
    국가일본 | 제보자코마츠 미호 [일본, 여, 1969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8)

  • 의 의미 구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지연, 게재일 : 2001
    07502 신지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의미학회 2001 의 의미 구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4355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품사 통용의 처리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문기, 게재일 : 2011
    41459 김문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말학회 2011 품사 통용의 처리 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어 의 유형 분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영옥, 게재일 : 2012
    50763 전영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말연구학회 2012 한국어 의 유형 분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영옥, 게재일 : 2009
    29061 전영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9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20세기 전기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에 대한 어휘론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도원영, 게재일 : 2017
    18302 도원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7 20세기 전기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에 대한 어휘론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3)

  • 『ほほ是は好い!』齋藤総督のは呉世昌氏の『書』に投げた (『아 이것은 좋으데!』사이토 총독의 는 오세창씨의『서』에 던졌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조선미전
    기사명_원문『ほほ是は好い!』齋藤総督の感嘆詞は呉世昌氏の『書』に投げた | 기사명_한글『아 이것은 좋으데!』사이토 총독의 감탄사는 오세창씨의『서』에 던졌다 | 부제_원문気に入った鎮氏の竹の絵 | 부제_한글마음에 드는 씨의 대나무 그림 | 게재일19220602 | 게재판 | 게재면05 | 게재단5-7
  • 주정중 48 에구를 두고 박석 49 같은 한단락의 내용을 두고 현규삼 50 모안영 동...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2
  • 너 이놈 (1) 신룡검 45 빛을 보게 된 고인의 유작 황봉룡 54 오, 아와 김정호의 시 <추억>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6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3)

  • / [언어/언어/문자]

    말하는 이의 본능적인 놀람이나 느낌, 부름, 응답 따위를 나타내는 말의 부류. 는 화자가 자신의 느낌이나 의지를 특별한 단어에 의지함이 없이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품사이다. 는 독립어로서 원칙적으로 문장의 다른 성분과 문법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에는

  • 조선문법 / 朝鮮文法 [언어/언어/문자]

    남궁억(南宮檍)이 쓴 간결한 국어문법 소문전. 1913년경에 순한글 궁체로 쓴 책이다. 『향토(鄕土)』 4호(1947)에 수록된 것이 전하나, 제9절 후치사와 제10절 부분이 유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총론(문자·음운)과 조선말법(품사) 2부로 구성되고, 품사는

  • 영탄법 / 詠嘆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극한 느낌, 심각한 고뇌, 고조된 정감 등을 주로 정서면에 호소하여 감상적으로 표현하는 수법이다. 대개는 ‘아아, 오오, 어머나, 아이구’ 등과 같은 를 사용하여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사랑, 증오, 욕망 등과 같은 감정을 강

  • 잘뽑은조선말과글의본 / [언어/언어/문자]

    미·보조동사)·잇음말(조사·어미·접속사)·○임말(), 문장론에 해당되는 글 등 11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부록으로 <옛말, 이제말>이 붙어 있다. 이 책은 그 용어사용에 있어서 특이한 점을 보이고 있으나, 그 문법의 모형은 후주시경학파(後周時經學派)에 속한다.

  • 독립어 / 獨立語 [언어/언어/문자]

    문장성분의 하나. 주어·서술어와 같은 문장의 근간성분이나, 관형어·부사어 또는 단어나 구를 연결하는 접속어와 같은 지엽성분과는 달리,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홀로 독립하여 쓰이는 성분을 말한다. 독립어가 되는 성분에는 첫째,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