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탄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감탄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체법의 하나. 평서법‧의문법‧명령법‧청유법과 같이 감탄법을 문장서법으로 사용할 때 흔히 쓰는 용어이다. [내용] 문장을 감탄하는 뜻으로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품사와 상대높임법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 활용표를 제시하면 다음과
- 의문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체법의 하나. ‘평서법‧명령법‧청유법‧감탄법’과 함께 문장서법의 뜻으로 사용하는 학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이다. [내용] 의문법은 문장을 물음의 방식으로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상대높임법에 따라 형태가 바뀐다. 그 활용표를 보이면 다음과
- 어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오’, 의문법의 ‘-(느)냐?, -니?, -가?, -까’, 감탄법의 ‘-구나, -네’, 명령법의 ‘-(어)라, -게, -오’, 청유법의 ‘-자, -세, -ㅂ시다’, 응낙법의 ‘-(으)마, -렴, -므나’ 등의 어미가 있는데, 이것은 또 ‘ 해라체‧하게체‧하오...
- 평서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체법의 하나. 문체법을 문장서법으로 사용하는 학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이다. [내용] ‘설명법’, ‘서술법’ 또는 ‘베풂법’이라 일컫기도 한다. 문장을 평범하게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의문법‧명령법‧청유법‧감탄법에 대립되는 의미로 사용한...
- 문법변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축소되거나, ‘‧삽‧, ‧습‧, ‧사오‧, ‧잡‧, ‧자오‧’ 등으로 변화하였다. 문법형태소가 소멸되어버린 경우도 있는데, 감탄법의 선어말어미 같은 것이 그 한 예이다. 중세 후기의 감탄법은 ‘‧도‧, ‧돗‧, ‧노‧, ‧놋‧, ‧다‧, ‧닷‧, ‧샤‧, ‧...
주제어사전(1)
-
감탄법 / 感歎法 [언어/언어/문자]
문체법의 하나. 평서법·의문법·명령법·청유법과 같이 감탄법을 문장서법으로 사용할 때 흔히 쓰는 용어이다. 문장을 감탄하는 뜻으로 끝맺는 문장종결법인데 품사와 상대높임법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