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감천” 에 대한 검색결과 1,0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8)

사전(1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과 경상북도 김천시의 경계에 있는 수도산(修道山)에서 발원하여 김천시를 흘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개설] 은 감문천(甘文川)의 준말로서 유로연장은 76.6km이고 유역면적...
    이칭별칭감문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예속되었고,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따랐다가 폐현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예천군에 속하여 면이 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 TD_L14_D_0594 인물 南平 文龜 D_04_02_01 대동운부군옥 4권 2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2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나라 천자의 명을 받아 석태룡과 공주의 혼례를 치르기 위해택일하고 성례를 진행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샘을 ‘효’이라고 이름지었고, 조정에서는 공의 효행을 널리 알려 온 국민의 귀감으로 삼게 하였다. 1748년(영조 24)에는 창효사(彰孝祠)를 건립하여 후손들이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한국의 여로(旅路)』(한국일보사, 1984)
    연계항목효감천(孝感泉)

고서·고문서(804)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면 이 경상북도 김천시 흑룡강성(黑龙江省) 계서시(鸡西市) 마산구(麻山区) 신광2대 3 2 면, 도평도,
    대표표제어감천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지성이면 남 남자 경상북도 청송군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상지현(尚志县) 아보력조중 3 2 ...
    대표표제어지성이면감천 | 성씨
  • 栗谷先生全書 卷之十四 雜著一 38 (李氏)記【癸丑】 14_127_055.jpg (李氏)記【癸丑】 進士申公妻李氏, 成均生員諱思溫之女也。 生長于外祖參判崔公諱應賢之第。 天資純淑, 擧度沈靜, 訥於言而敏於行, 愼於事而果於善。 粗識學文, 常誦《三綱行實》, 不以辭章爲學...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3743 중국 총서 전원문 018 기타 全元文456 郝天挺 杜氏孝記 夫人王氏 孝於親 睦於族 治家教子 慈肅有方 生男長曰思明 襲沁尹 累遷至明威將軍 吉州路達魯花赤 次思忠 自高麗國經歷官遷承務郞 顧鎭鐵冶提擧 次思敬 由汴梁安西路總管 召拜內台侍御史 尋...
    국가중국 | 서명전원문 | 왕대기타  
  • 爲尹鍾心贈言【字公牧,號,茶山主人之諸子】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70 文集 卷十七 ITKC_MP_0597A_0170_130_0040 爲尹鍾心贈言【字公牧,號,茶山主人之諸子】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文集 卷十七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1)

  • 지성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3-07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근덕면 | 제보자심상학
  • 지성이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가 괴로운 표정을 짓기에 조사자가 그만 두자고 했더니, 이번 기회에 자기가 알고 있는 이야기를 다 하겠다고 하면서 했다.*
    조사일시1980-05-25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 제보자이시균
  • 지성이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를 하는 동안 준비했다가 자청하여 시작했다. *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 제보자이기영
  • 지성이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 마령마을지에 제보자가 소개된 것을 보고 제보자를 찾아갔다. 매우 적극적인 성격인 제보자는 80세의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총기가 무척 좋아서 노래도 여러 곡 불렀고, 이야기도 여러 편 구연해 주었다. 조사자가 이야기를 청하자 지성이 감천이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조사일시2010. 2. 4(목)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원동촌길 17-6 하순덕 제보자 자택 | 제보자하순덕
  • 지성이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강정 마을회관에 처음 방문했을 때 김영이 제보자를 만나고자 했으나 제보자가 출타중이어서 만나지 못했다. 두 번째로 마을에 방문하여 제보자를 만났는데 회관에 사람이 많아서 너무 소란하여 제보자 자택으로 자리를 옮겨서 이야기를 들었다. 마령마을지를 펴낸 마을조사단이...
    조사일시2010. 2. 6(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원강정 128번지 김영이 제보자 자택 | 제보자김영이

기초학문(2)

  • 문화마을재생사업의 주민참여 영향요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순구, 게재일 : 2014
    65240 홍순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문화마을재생사업의 주민참여 영향요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논문] 로컬내러티브와 주체화: 문화마을과 밀양송전탑할매의 담론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36157 한국연구재단 원광대인문학연구소 2016 [논문] 로컬내러티브와 주체화: 문화마을과 밀양송전탑할매의 담론적 실천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37)

  • 副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통감부 관졔 다소간 졍고 부통감을 셜치다말은 이왕긔얏거니와 쟝곡쳔륙군대쟝 산본군대쟝 량씨로 쳔망되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氏歸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참여관 렴쳔일랑씨 거번에 특리지용씨 일본갈에 한귀국얏다더니 작일에 도로부임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20) 형평사 문제 유만이외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5년 9월 서정희 신민 제5호 평론 10 필자는 세상이 부자유에서 자유로, 불합리에서 합리로 “점차개조(漸次改造)”되어가는 도상에 있다고 함. 그러나 이는 자연에 ‘방임...
    대표표제어유감천만이외다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서정희 | 출처신민 제5호 | 키워드자유, 합리, 개조, 방임, 예천사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製菓商會) 서울 - 製菓商會 授恩町 38 식료품 - 과자 제조 2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甘泉製菓商會)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과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永村アサノ(亭) 서울 永村アサノ 亭 大和町 3-16 요리_음식점 - 일본 요리 - 12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永村アサノ(甘泉亭)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일본 요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23)

  • (교단수기) 지성이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단수기) 지성이면 (교단수기) 지성이면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잡...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종희 | 사료철명교육경기
  • (정화수범사례) 지성이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정화수범사례) 지성이면 (정화수범사례) 지성이면 (정화수범사례) 至誠이면 교육 문헌 초등교육 학교운영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석구 | 사료철명수도교육
  • 윤차수;尹次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679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7면 윤차수;尹次樹 경남 동래군 以卜面 里 103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우헌;李愚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885 남한 경북 김천고등보통학교 2-12 校友會誌 제5집 1941―03―03 49면 이우헌;李愚獻 김천군 면 금송동 제5회 194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김천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길진;崔吉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904 남한 경북 김천고등보통학교 2-12 校友會誌 제5집 1941―03―03 50면 최길진;崔吉鎭 김천군 면 양천동 제5회 194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김천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

  • /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창군과 경상북도 김천시의 경계에 있는 수도산(修道山)에서 발원하여 김천시를 흘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유역은 소백산맥과 그 지맥, 그리고 구릉성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인데, 중·하류에는 비교적 넓은 금릉평야·개령평야·선산평야 같은 충적평야가 있다.

  • / [지리/인문지리]

    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예천군에 속하여 면이 되었다.

  • 지성이이 / 至誠─ [문학/구비문학]

    가난하고 의지할 데 없는 ‘지성(至誠)’과 ‘()’의 우정에 하늘이 감동하여 복을 주었다는 설화. 전국 각지에 유포되어 있으며, ‘지성이면 이다.’라는 속담의 유래담(由來譚)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이 설화는 각 편에 따라 내용이 다르게 전해 온다. 장애자

  • 우두령 / 牛頭嶺 [지리/자연지리]

    875m)과 수도산(修道山, 1,317m)과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남북방향의 고개로 북사면은 낙동강의 지류인 ()의 상류계곡과 통하고, 남사면은 낙동강의 지류 황강(黃江)의 상류하곡과 이어진다. 우두령을 지나는 지방도는 이들 양 계곡을 따라 남북으로 직선상

  • 문걸 / 文傑 [종교·철학/유학]

    ?∼1500(연산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손무, 아버지는 숭질, 어머니는 노집의 딸이다. 안동 현에서 출생하였다. 성종 때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 1480년(성종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의정부사록에 임명되었다. 회덕현감, 영동현감,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