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진어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
사전(30)
- 감진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큰 흉년으로 기근이 들었을 때 왕이 지방에 파견한 특명사신. [내용] 감진사(監賑使)라고도 하였다. 큰 흉년으로 기근이 들었을 때, 그 실태를 조사하고 지방관들의 진휼(賑恤)을 감독하기 위하여 파견하였다. 특히, 숙종 때 ...이칭별칭감진사
- 감진어사(監賑御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감진어사 감진어사 監賑御史 구황정책(救荒政策), 진휼정책(賑恤政策) 감진사(監賑使), 위유감진사(慰諭監賑使) 진휼어사(賑恤御史), 안집어사(安集御史), 조도사(調度史), 암행어사(暗行御史), 감진어사재거절목(監賑御史齎去節目) 경제재...상위어구황정책(救荒政策), 진휼정책(賑恤政策) | 동의어감진사(監賑使), 위유감진사(慰諭監賑使) | 관련어진휼어사(賑恤御史), 안집어사(安集御史), 조도사(調度史), 암행어사(暗行御史), 감진어사재거절목(監賑御史齎去節目)
- 동계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서(書)인 「상감사원평군원공두표서(上監司原平君元公斗杓書)」는 당시 삼정(三政)의 문란과 과장(科場)의 어지러운 기강을 바로잡기 위한 여덟 가지의 급선무를 건의한 것이다. 이밖에도 「상감진어사서(上監賑御使書)」는 1667년(현종 8) 대기근이 들었을...
- 맹만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에 합격하였고, 음보(蔭補)로 의금부도사‧사복시주부를 지내고 1698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여러 언관직을 거쳐 1702년에 사서‧문학을 역임하고, 이듬해에 강원도감진어사(江原道監賑御史)가 되었다. 1704년에 사간‧동부승지‧황해도관찰사를 지내고 2년...이칭별칭 시중(施中)
- 김운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판서 진구(鎭龜)이며, 어머니는 이광직(李光稷)의 딸이다. [내용] 1699년(숙종 25) 사마시에 합격, 진사가 되고, 1704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717년에 평안도감진어사(平安道監賑御史)로 나갔고, 1719년 부수찬(副修...이칭별칭 중행(仲行)| 백운헌(白雲軒)| 충정(忠貞)
고서·고문서(63)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711 B00671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12月 7日_018 存之望, 無論山郡江邊, 大抵同然矣。 臣與道臣金樣相議, 則以爲猝當無前之凶荒, 無他濟活之策, 秋間, 狀請監賑御史, 則廟堂以爲, 御史監賑, 亦有弊端, 只令道臣, 或送都事, 或送營裨, 往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26 B00692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12月 25日_019 ○備邊司達曰, 因右參贊李健命所啓, 淸北監賑御史, 旣已差出, 而江都米及海西詳定米, 畫給關西元數中, 以義州飢荒之尤酷, 除出移給, 則餘數不多, 今若以兩處穀物, 加給義州畫給之數, 以滿萬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相議則以爲, 秋間狀請監賑御史, 則廟堂以御史監賑, 亦有弊端, 不許, 只令道臣, 或送都事, 或送營裨, 往來監賑矣。 都事、營裨, 名位不尊, 終不如御史之特遣。 淸南則委之監司, 淸北則別遣監賑御史, 然後似爲得宜。 且江都米及海西詳定米, 自廟堂劃給者, 只一萬石, 而義州飢荒尤酷, 故自...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민(島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2345 B052345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正祖實錄 卽位年(1776) 五月 정조실록_10005020_003 ○命濟州監賑御史柳焵加資, 牧使柳爀賞以表裏。 先是英宗乙未濟州饑, 特遣繡衣監賑。 至是焵以畢賑復命啓。 敎曰: “今覽濟州御史下陸狀聞, 此先大王宵旰憂慮, 以至三月初四...출처전거正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794 B013794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二十三年(1697) 正月 숙종실록_12301023_001 ○乙亥 / 引見大臣、備局諸臣。 咸鏡道監賑御史趙泰耉, 請對入侍。 領議政柳尙運請停水、陸軍操鍊, 一意勸農, 從之。 副應敎李寅燁, 言關西設粥之有弊,【寅燁以平安道監賑...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감진어사 / 監賑御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큰 흉년으로 기근이 들었을 때 왕이 지방에 파견한 특명사신. 흉년으로 기근이 들었을 때, 그 실태를 조사하고 지방관들의 진휼을 감독하기 위하여 파견하였다. 특히, 숙종 때 여러 번 파견되었는데 1716년(숙종 42)에는 제주도에만 파견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