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13)
사전(307)
- 감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쌀과 누룩으로 빚은 감미가 있는 술. [내용] 단시일 안에 속성으로 만들어진 술로 알코올을 약간 함유하고 감미가 있어 엿기름으로 만든 감주와는 다르다. 만드는 법은 ≪주방문 酒方文≫‧≪증보산림경제≫‧≪임원십육지≫‧≪술 만드는 법...
- 감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단비. 頃日自上親禱于社稷 卽有甘澍而但未優足, 정경세(鄭經世), 45-42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감주(甘酒)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감주 감주 甘酒 감례(甘醴), 예주(醴酒) 단술, 식혜(食醯), 점감주(粘甘酒), 황감주(黃甘酒)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음식 대한민국 조선 주영하 찹쌀[糙米], 멥쌀[粳米], 누룩[麴] ...동의어감례(甘醴), 예주(醴酒) | 관련어단술, 식혜(食醯), 점감주(粘甘酒), 황감주(黃甘酒)
- 청감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물을 섞지 않고 찹쌀을 밥으로 쪄서 누룩을 섞어 빚는 술. [내용] ≪고사촬요 攷事撮要≫‧≪치생요람 治生要覽≫‧≪산림경제≫‧≪민천집설 民天集說≫‧≪임원경제지≫‧≪시의전서 是議全書≫ 등의 문헌에 빈번하게 나온다. 제조법은 찹쌀 한 ...
- 정토감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 덕진(德眞)이 엮은 해설집. [내용] 1책. 편자가 1879년(고종 16) 법당산(法幢山) 혜정사(慧正寺)에 주석할 때에 말세의 중생들이 근기가 열악하여 임제선(臨濟禪)을 이해하고 체득하기가 쉽지 아니함을 안타깝게 여겨 ...
고서·고문서(904)
- 정토감주(淨土紺珠)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小毖【《箋》云:“管叔流言,三監作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80 詩經講義補遺 ITKC_MP_0597A_0480_120_0080 小毖【《箋》云:“管叔流言,三監作亂。”】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권차명詩經講義補遺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越鷰巢於堂上,屢塗屢毀,退丐屋梠,憐而許之,感作一詩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50 詩集 卷五 ITKC_MP_0597A_0050_010_0920 越鷰巢於堂上,屢塗屢毀,退丐屋梠,憐而許之,感作一詩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권차명詩集 卷五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昔在康熙丙辰,吾祖參議公蔭補金井丞,後百二十年,余又謫補金井,感作一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00 與猶堂全書補遺○竹欄遺蛻集 ITKC_MP_0597A_1600_000_0020 昔在康熙丙辰,吾祖參議公蔭補金井丞,後百二十年,余又謫補金井,感作一篇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竹欄遺蛻集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咸鏡南道安邊郡培養社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_咸鏡南道安邊郡培養社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5. 安邊培養社鄕監作人等處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0075 奎 19306 咸鏡南道安邊郡培養社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咸鏡南道安邊郡培養社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01-005 5. 安邊培養社鄕監作人等處 도서문기 1자료명咸鏡南道安邊郡培養社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2)
- 나쁜 사람을 물리치는 주술 타소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영화에서도 많이 나와요. [조사자2: 그게 유감주술이라고 인제 비슷하게 그림을 비슷하게 그려놓고 그 예전에 제웅하는 거.] [조사자1: 네 그렇죠.] 네. [조사자1: 근데 궁금한 건 이 할머니들은 직업인 거예요? 직업적으로?] 예전에는 직업이 아닌데 요즘에 직업처럼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전쟁과 휴전으로 고향을 잃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그러믄 그냥 뭐 “떡을 해준다.” “감주를 해준다.” 우리 엄마가 그렇게 하고 살았는데. 어느 날 이제 1.4후퇴 때가 되니까 남쪽에서 자꾸 정찰기가 낮에 삥- 돌다가는 밤이믄 그냥 막 포탄을 쏘는 거야. 그런데 이제 우리 어머니가 우리는 방공호를 이렇게 파고 들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3년 07월 17일
신문·잡지(93)
- 元監調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원산감리 윤치호씨는 신병이 잇셔셔 됴리 상경차로 발졍얏더니 원산 셩들이 길을막고 가지못게 는고로 부득이야 원산셔 십여리되는 셕당에나가 됴리는 즁이라고 뎐보가 왓다더라게재일1903년 4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前田勘作(-)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前田勘作(-) 대구 前田勘作 - 本町 2丁目 - - 철물상 - - 철공 겸업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前田勘作(-)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철물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선가귀감주해(禪家龜鑑註解)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가귀감주해(禪家龜鑑註解) 禪家龜鑑註解 선가귀감주해 형태서지 惟政 註解 朝鮮 韓國 木版本 順天 松廣寺 1618年(光海君 10) 1冊 26.4x1...대표표제어선가귀감주해(禪家龜鑑註解) | 대표서명禪家龜鑑註解 | 한글서명선가귀감주해 | 서지형태형태서지
- 정토감주(淨土紺珠)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정토감주(淨土紺珠) 1 淨土紺珠 정토감주 형태서지 [德眞 著] [朝鮮] [韓國] 木版本 1882年(高宗 19) 1冊 H11, p.826.; X62, p...대표표제어정토감주(淨土紺珠) 1 | 대표서명淨土紺珠 | 한글서명정토감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 정토감주(淨土紺珠)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정토감주(淨土紺珠) 2 淨土紺珠 정토감주 형태서지 德眞 編 朝鮮 韓國 大 1882年(高宗 19) H11, p.826.; X62, p.648. 東京帝國大...대표표제어정토감주(淨土紺珠) 2 | 대표서명淨土紺珠 | 한글서명정토감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1)
- 18세기 중반 모감주나무[木串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531_18세기_중반_모감주나무[木串子] 경제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6)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사과(司戈)와 사계(司階)를 주었다. (册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 【번역】 (청태) 3년 정월에 입조사(入朝使)인 예빈경(禮賓卿) 형순(邢順)을 시장작소감(試將作少監)으로 부사(副使) 최원(崔遠)을 시소부감주부(試少府監主簿)으로 삼았다. (五代...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사과(司戈)와 사계(司階)를 주었다. (『册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 【번역】 (청태) 3년 정월에 입조사(入朝使)인 예빈경(禮賓卿) 형순(邢順)을 시장작소감(試將作少監)으로 부사(副使) 최원(崔遠)을 시소부감주부(試少府監主簿)으로 삼았다. (『五代會要』...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 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신라 일본→신라 【번역】 염물(念物) 오육촌경(五六寸鏡) 정향(丁香) 화발(華撥) 화발(華撥) : 약재이다. 목환자(木槵子) 목환자(木槵子) : 모감주나무, 목환자나무를 말한다. 사찰에 주로 식재하였으며, 얄매로 염주를 만들어 사용한다. 여...대표표제어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 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752년에 일본의 귀족들이 자신들이 매입할 물품과 수량, 그리고 물품들의 총가격을 기록하여 일본정부에 제출한 ‘신라물품의 매입허가를 신청한 문서’ 내용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顆) 송자(松子) 1곡(斛) 5두(豆寸) 목환자(木槵子) 목환자(木槵子) : 모감주나무, 목환자나무를 말한다. 사찰에 주로 식재하였으며, 얄매로 염주를 만들어 사용한다. 1,296과(顆) 밀즙(蜜汁) 2두(豆寸?) 아루소(牙鏤梳) 아루소(牙...대표표제어일본의 관료가 신라왕자 김태렴에게 물품 구입을 희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2년(壬辰/신라 경덕왕 11/발해 문왕 16 大興 16/唐 天寶 11/日本 天平勝寶 4)
- 곡사정이 고구려로 도망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諸將分道攻城 賊勢日蹙 會楊玄感作亂 反書至 帝班師 兵部侍郞斛斯政 玄感之黨 亡入高麗 高麗具知事實 悉銳兵來追 殿軍多敗 (通典 186 邊防 2 東夷 下 高句麗) 【원문】 (隋書曰) (大業九年六月)戊辰 兵部侍郞斛斯政奔於高麗 (太平御覽 106 皇王部 31 隋 煬皇...대표표제어곡사정이 고구려로 도망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13년(癸酉/신라 진평왕 35 建福 30/고구려 영양왕 24/백제 무왕 14/隋 大業 9/倭 推古 21)
연구과제(2)
-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광호 | 퇴계학연구원 | 2015 | 국내 | 서울
-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광호 | 퇴계학연구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6)
-
감주 / 甘酒 [생활/식생활]
쌀과 누룩으로 빚은 감미가 있는 술. 단시일 안에 속성으로 만들어진 술로 알코올을 약간 함유하고 감미가 있어 엿기름으로 만든 감주와는 다르다. 만드는 법은 ≪주방문 酒方文≫·≪증보산림경제≫·≪임원십육지≫·≪술 만드는 법≫ 등에 적혀 있다.≪술 만드는 법≫에서는 “찹쌀
-
모감주나무 /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과학/식물]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모감주나무는 소교목이지만 흔히 관목같이 자라고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서 자라고 있다. 잎은 어긋나고 7∼15개의 작은 잎으로 된 1회우상복엽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난상타원형으로 길이 3∼10㎝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
-
내곡모감주나무군락 / 內谷─群落 [과학/식물]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에 있는 모감주나무군락.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8호. 약 100여 그루가 자라고 있는데 그 중 4그루는 오래된 것으로 수령이 약 35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밖의 것은 수령이 5∼10년생으로 추정되는 비교적 어린 모감주나무이다. 모감주나무는 종
-
거제한내리묘감주나무군 / 巨濟汗內里妙敢株─群 [과학/식물]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한내리 해변에 있는 모감주나무군. 경상남도 기념물 제112호.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으로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이며 여름에 노란 꽃이 피고 열매는 종이질의 세모난 초롱처럼 생겼고 그 안에 콩알 같은 종자가 들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
이숭원 / 李崇元 [종교·철학/유학]
1428(세종 10)∼1491(성종 22). 조선 전기의 문신. 양 증손, 할아버지는 백겸, 아버지는 보정, 어머니는 이숙의 딸이다.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 장원하여 사재감주부,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형조정랑, 이조정랑, 평안도관찰사, 우참찬, 좌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