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조하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5)
- 영산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상승하는 감조하천(感潮河川)이었으나, 1981년 12월 영산강하구둑이 완공되어 조수가 차단되었다. 목포에서 영산포까지 48㎞ 구간은 항해가 가능하여 이곳은 전라남도 서남부인 나주‧무안‧영암‧해남군과 다도해의 섬들과의 수운에 이용되었다. 고려 시대부터 영산포에 조창(漕倉...
- 만경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조시(大潮時)에 하천 수위가 상승하는 감조하천(感潮河川)이다. [형성 및 변천] 20세기 초까지 전통적 수리제도로 만경강 상류인 고산천에 보(洑)를 설치하였으며, 완주군 봉동읍 등에서는 번수제(番水制)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논에 급수하였다. 또한 두레 조...
- 나주평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랜 침식으로 낮고 평평한 구릉을 형성하고 있다. 평야상을 흐르는 영산강이 감조하천(感潮河川)인 데다 하상이 높기 때문에 이 평야는 거의 매년 범람과 침수를 받았고 관개시설이 불량하여 가뭄의 피해가 큰 곳이었으나, 영산강유역 종합개발...
- 조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천 하류의 수위도 하루에 두 번씩 승강운동을 한다. 이러한 감조하천(感潮河川)들 가운데 한강은 대조시 인도교까지, 금강은 부여 부근의 규암(窺巖)까지, 낙동강은 삼랑진까지 조석의 영향이 미친다. 유량이 적은 소하천의 하류부는 유역분지의 지표수를 유출하는 하도의 기능보다...
- 간척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안에서의 간척지 개간의 역사는, 인간의 바다와의 투쟁사에서는 오래된 투쟁의 장이 되어 왔다. 간척 사업의 대상이 되는 간석지는 감조하천의 경우, 감조 구간에 발달하는 하천 양안의 배후습지도 간석지로 취급된다. 감조하천의 감조 구간은 대체로 하구에서 하...
멀티미디어(59)
- . 조선 시대 사족의 간척: 해남윤씨 집안의 간척 7주차. 조선 시대 감조하천변 간척 8주차. 조선 시대 간척지 조성과 관리 9주차. 식민지시기 간척 10주차. 해방 이후 ~ 1960년대 간척 11주차. 1970년대 간척 12주차. 1980년대 이후 간척 양선아 교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 조선 시대 사족의 간척: 해남윤씨 집안의 간척 7주차. 조선 시대 감조하천변 간척 8주차. 조선 시대 간척지 조성과 관리 9주차. 식민지시기 간척 10주차. 해방 이후 ~ 1960년대 간척 11주차. 1970년대 간척 12주차. 1980년대 이후 간척 양선아 교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 조선 시대 사족의 간척: 해남윤씨 집안의 간척 7주차. 조선 시대 감조하천변 간척 8주차. 조선 시대 간척지 조성과 관리 9주차. 식민지시기 간척 10주차. 해방 이후 ~ 1960년대 간척 11주차. 1970년대 간척 12주차. 1980년대 이후 간척 양선아 교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 조선 시대 사족의 간척: 해남윤씨 집안의 간척 7주차. 조선 시대 감조하천변 간척 8주차. 조선 시대 간척지 조성과 관리 9주차. 식민지시기 간척 10주차. 해방 이후 ~ 1960년대 간척 11주차. 1970년대 간척 12주차. 1980년대 이후 간척 양선아 교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 조선 시대 사족의 간척: 해남윤씨 집안의 간척 7주차. 조선 시대 감조하천변 간척 8주차. 조선 시대 간척지 조성과 관리 9주차. 식민지시기 간척 10주차. 해방 이후 ~ 1960년대 간척 11주차. 1970년대 간척 12주차. 1980년대 이후 간척 양선아 교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주제어사전(1)
-
감조하천 / 感潮河川 [지리/자연지리]
조석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하천의 하구나 하류부의 구간 또는 해당 하천. 우리나라 서해안과 같이 조차가 큰 해안에서는 만조 시에 하천의 수위보다 해수면의 높이가 더 높아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바다와 접하는 하천의 하구 또는 하류부에서는 바닷물이 하천의 상류 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