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역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4)
사전(55)
- 가감역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감역관에 결원이 생길 때 임시로 충원되었던 관원 또는 관직. 가감역(假監役)이라고도 하였다. 가감역관(假監役官)은 감역관 아래 위치한 직위로 주로 문음(門蔭)이나 유일(遺逸) 중에서 충원되었으며, 감역관에 결원이 생기게 되는 경우 차례로 승진하여 감역관이 되었다. 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역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토목(土木)이나 영선(營繕)을 맡아 보던 종9품의 벼슬 또는 벼슬아치. 선공감(繕工監)의 최하위직으로 감역(監役)이라고도 하였다. 一都監分差別工作監役官李觀夏, (빈전1649/016ㄴ03)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가감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선공감의 종9품 임시관직. [내용] 1718년(숙종 44)에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정원은 3인이다. 이들은 감역관과 함께 국가의 토목‧영선(營繕: 수리 또는 보수) 사업을 감독하는 직책을 맡았다. 가감역관직...
- 감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임기는 처음에는 12개월이었다가 1481년(성종 12)부터 참상관과 같은 30개월로 되었다. 명종 때부터 선공감의 종9품관으로 정식 직제화하였다. 연산군 이후부터는 또 임시직 가감역관(假監役官)이 임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문음(門陰)이나 유일(遺逸)...이칭별칭감역
- 감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궁궐‧관청 등의 건축공사 때 임시로 차출되어 감독의 책임을 맡은 관직. [내용] 의정‧판서급의 고관들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1433년(세종 15)에는 상호군 김재(金滓)가 강녕전(康寧殿) 감역관에, 1453년(단종 1)에...
고서·고문서(49)
- 1731년 서도감역관(西道監役官) 송요화(宋堯和) 정사(呈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정사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정사 | 현소장처대전 선사박물관
- 1731년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 송요화(宋堯和) 정사(呈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정사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정사 | 현소장처대전 선사박물관
- 1677년 윤이석(尹爾錫)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77년(肅宗3) 10월에 이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들어 윤이석을 선공감 가감역관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884년 정연학(鄭然學)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84(고종 21)년 10월에 이조에서 정연학을 선공감가감역관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84년 정연학(鄭然學) 차첩(差帖)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884(고종 21)년 10월에 이조에서 정연학을 선공감가감역관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감역관 / 監役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기 이후 선공감의 종9품 관직. 정원은 3인. 궁궐과 관청의 건축·수리공사 감독을 위하여 성종 때부터 선공감의 정원 외 임식관직인 가관을 두어 서반직 녹을 받도록 하였다. 명종 때부터 선공감의 종9품관으로 정식 직제화하였다.
-
감동관 / 監董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가의 토목공사나 서적간행 등 특별한 사업을 감독, 관리하기 위해 임시로 임명된 관원.
-
사산참군 / 四山參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 주위의 산을 분장하여 성첩(성과 성위에 쌓은 작은 담)·수목 등을 보호하는 군직. 사산참군은 새로 무과에 급제한 사람 중에서 선전관이 후보로 추천한 사람을 임명하여 동·서·남·북 각 1인으로 도성 내외산과 도로 연변에 있는 송림의 보호·육성과 성첩의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