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악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7)
사전(46)
- 감악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 에 있는 산. [개설] 감악산의 높이는 675m로,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양주시 남면, 연천군 전곡읍에 걸쳐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적성현에 속하였다. 경기 5악의 하나...
- 감악산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과 양주군 남면의 경계에 있었던 신사. [내용] 중부지방 무속신앙에서 중요시되는 감악산에 있었던 신사로, 이 지역 주민들에게 감악산은 ‘감박산’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감악산신라고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는 높이 675m의 감악산 정상에 세워져 있다. 비신(碑身)은 높이 170㎝, 두께 15∼19㎝, 너비 77∼79㎝이며 허리부분의 너비는 70㎝이다. 자연석을 장방형으로 잘라 표면을 곱게 다듬어 각자(刻字)한 것 같다. [내용] 지금의 개석(蓋石...이칭별칭감악산빗돌대왕비|설인귀사적비
- 감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감악산(紺岳山)에 있었던 절. [내용] 창건연대‧창건주는 알 수 없으나 고려 때 황빈연(黃彬然)이 과거를 보기 전까지 여기에 있었고, 김신윤(金莘尹)이 권신에게 미움을...
- 마두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야와 접하고 있었다면 합천군과 경계되는 지역이어야 할 것이다. 지형상으로 남강(南江)의 두 지류가 만나는 계곡이 군사상의 요지가 될 것이므로, 『대동여지도』에 나타난 박유산(朴儒山)ㆍ감악산(紺岳山)이 아니면 조선시대에 봉수(烽燧)가 있었던 소현산(所峴山) 일대에 마두...
고서·고문서(67)
- 경기 파주 법원리 감악산, 군사정찰조 3명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경기 파주 법원리 감악산, 군사정찰조 3명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부...대표표제어경기 파주 법원리 감악산, 군사정찰조 3명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침투, 간첩
- 경기 파주 법원리 감악산, 간첩 1명 침투후 복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경기 파주 법원리 감악산, 간첩 1명 침투후 복귀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대표표제어경기 파주 법원리 감악산, 간첩 1명 침투후 복귀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 파주 법원리 감악산 지역 군사정찰조 1명 침투(도주, 사후인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파주 법원리 감악산 지역 군사정찰조 1명 침투(도주, 사후인지) 대한민국(남북한) 육군본부 단행본 『대침투작전사③(1961년~1970년) 상』은 1961년...대표표제어파주 법원리 감악산 지역 군사정찰조 1명 침투(도주, 사후인지)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침투, 간첩
- 파주 적성면 감악산 지역 3명 침투(귀대병사 습격후 도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파주 적성면 감악산 지역 3명 침투(귀대병사 습격후 도주) 대한민국(남북한) 육군본부 단행본 『대침투작전사③(1961년~1970년) 상』은 1961년부터대표표제어파주 적성면 감악산 지역 3명 침투(귀대병사 습격후 도주)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침투, 간첩
- 경기 양주군 감악산, 드보크 설정 위해 간첩 3명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경기 양주군 감악산, 드보크 설정 위해 간첩 3명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대표표제어경기 양주군 감악산, 드보크 설정 위해 간첩 3명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기초학문(2)
- 감악산의 민속종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종성, 게재일 : 201661202 최종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종교문제연구소 2016 감악산의 민속종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전통시기의 감악산 숭배와 산신 설인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변동명, 게재일 : 201139666 변동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전남사학회/호남사학회 2011 전통시기의 감악산 숭배와 산신 설인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2)
- 황해인민보_1951_0625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였으며 가축의 64%를 도살략취하였으며 많은 량곡기타 재산들을 강탈하여 갔다. 그러나 이와같은 놈들의 야수적 만행하에서도 구월산 곡산 송악산 감악산 수양산 지구 빨지산들은 조국의 기치를 높이들고 무장을 손에잡고 적후방을 교란시키며 적을 기습포위하여 적장병을 살상포로하...대표표제어황해인민보_1951_0625_02 | 책임주필정만수
- 황해인민보_1951_062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라도 더 많이 구출하며 적후방을 교란시키고 적에게 심대한 타격을 주기위하여 구월산 송악산 감악산 곡산 수양산 등지를 중심으로 각지방 정권기관 지도자들은 빨찌산을 조직하여 인민들에게 승리의 신심을 더욱 굳게하며 항상 선두에서 싸웠던 것이다. 그리하여 특히 구원산과 수양...대표표제어황해인민보_1951_0624_02 | 책임주필정만수
주제어사전(5)
-
감악산 / 紺岳山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에 있는 산. 감악산의 높이는 675m로,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양주시 남면, 연천군 전곡읍에 걸쳐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적성현에 속하였다. 경기 5악의 하나로, 정상에서는 임진강과 개성의 송악산 등이 조망되며, 반대편 봉우리인 임꺽정봉의
-
거창분지 / 居昌盆地 [지리/자연지리]
개석분지(開析盆地)이다. 거창분지는 해발고도 500∼1,000m의 가파른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분지의 북서쪽에는 취우령(驟雨嶺, 795m), 서쪽에는 건흥산(乾興山, 572m), 남서쪽에는 관술령(官述嶺, 611m), 남쪽에는 감악산(甘岳山, 952m), 남동쪽에는
-
관악산 / 冠岳山 [지리/자연지리]
자리하고 있어서 연일 많은 등산객으로 붐비는 산이다. 예로부터 개성의 송악산, 파주의 감악산, 포천의 운악산, 가평의 화악산과 더불어 경기5악에 속했던 산으로, 서울의 남쪽 경계를 이루고 있고, 그 줄기는 과천 청계산을 거쳐 수원의 광교산에 이른다.
-
봉암사 / 鳳巖寺 [종교·철학/불교]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감악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에 창건하였다가 폐사가 된 감악사 터에 1858년 창헌이 중건하였다. 1950년 6·25 때 완전히 소실되었던 것을 1953년에 학규가 초막 3칸을 지어 복원하
-
거창무촌리은행나무 / 居昌茂村里銀杏─ [과학/식물]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무촌리에 있는 은행나무. 경상남도 기념물 제124호. 한 그루의 노거목으로 거창읍 남서쪽에 위치한 감악산 북쪽의 해발 800m 지점에 있는 연수사(演水寺) 경내에 자라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38m,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7m, 수관폭은 동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