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감서” 에 대한 검색결과 5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4)

사전(16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규장각 내각의 잡직 관원. [내용] 정원은 6인이며, 품계는 정해져 있지 않았다. 결재 처리된 문서나 왕명으로 만들어진 문헌이나 글들을 정리, 보존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正祖實錄 大典通編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경(書經)》 하서(夏書)의 편명.
    정의《서경(書經)》 하서(夏書)의 편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am seo | MR표기Kam 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O0_D_0092 음식 기타 玉肌, 細切, 靈液, 濃煎, 佳境, 世味 鄭圃隱 本集 D_16_06_33 대동운부군옥 16권 6장 3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6장 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풍애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많은데, 남용익은 누천언(累千言)이 공교롭고도 신선하다고 평하였다. 「교거서(僑居敍)」는 세덕(世德)의 아름다움과 인사(人事)의 슬픔을 적은 것으로, 서 자체가 비고(悲苦)의 사(辭)로 가득차 있다. 언행록은 형 일진(一振)의 언행을 적은 것으로, 조카...
  • 세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올이 매우 가늘고 고운 돗자리. 委蒙令問 兼致海味細席之惠, 이하진(李夏鎭), 21(禮)-5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310)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王命往正之, 則與天子親征, 其例同, 如《胤征》, 是也. 《》之戰, 亦征也, 而彼怙彊稔惡, 有非自擊之不可者, 此征而亦戰也. HCBH_7:2 “五行”, 非威侮之物; “三正”, 非一時之可擧也. 若果竝怠三者而棄之, 則所行者, 何事? 竊意, 五行, 乃陳氏所謂“五常”者近...
    서명서경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20 尙書古訓 卷三 ITKC_MP_0597A_0520_020_0010 []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尙書古訓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經史門7_孥戮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孥戮 《》“孥戮”, 斷無是理. 聖人之治天下, 罰不及嗣, 故文王之治岐, 罪人不孥也. 至《秋官ㆍ司厲》“奴, 男子以爲罪隷”之孥, 後世之沒入爲奴, 是也. 此已世治之一變, 又何至於倂妻子而殺之乎? 戰雖危事, 犯律者, 戮其身, 足矣. 孥其子, 已過矣. 何可以殺其在家不與謀之...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夏羣臣賀宛然神考家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20_0100 夏羣臣賀宛然神考家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5)

  • 구리갈매동도당굿_영상067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경기도 기본굿 구리갈매동도당굿_영상067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6년 04월 09일 SK_ME_09_160409_무기.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경기도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구리갈매동도당굿_녹음034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
    경기도 기본굿 구리갈매동도당굿_녹음034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6년 04월 09일 SK_ME_09_160409_무기.mp3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
    지역경기도 | 구분기본굿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압록강까지 진격했다가 중공군의 포로가 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그면 그 어댔겠어. 그 있는 사람들은 그 뭐 차 태워서 갔는기라.] 그때는 돌아서 가 뻐리면 그만였었는데. 그때 상주서, 상주서 할 쯤 모이면서 자고 낼 아침 에 오라고 이케서 집에 가서 자고 그걸 갔거든.(청중 웃음) 그걸 간께 서로 오 온 사람들만 뭐다 라요
    조사지역경북 상주 | 조사일2012년 6월 9일
  • 남편은 전쟁터로 떠나고 홀로 가족을 지키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정신이 대가리가 맞아부러가꼬 범벅이 됐당게. 근디 뭐라고 허냐믄 가다가 신랑 만나고 온디 광주 그 형무소 곁이 살았거든. 만나고 온디 로 요로라고 그러드라고 나보고. 어디 인민군들이 만나가꼬 어디 갔다 오냐고 허므는 우리 당숙모 가 형무소 뒤에 살았어. 당숙모
    조사지역전남 담양 | 조사일2012년 7월 24일
  • 조사자 : 국군이요?] 군인이 잡으러 내려와서. 잡아가꼬 감 서 그드라고라. 근디 산꼭대기를 깔끄막을 못 올라가고, 애기 업고 못 올라강게 군인이 괴머리를 나를 주고. 총. [조사자 : 예? 아 총] 총 굄을. 올라 “아주머니 내 말만 들을라우?” 그서 “들을라우”
    조사지역전남 함평 | 조사일2012년 2월 7일

기초학문(4)

  • 바움가르텐 미학과 비코 신학문에 나타난 계몽의 긴장 - 미학과 문화학의 학문적 접근을 위한 시도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남시, 게재일 : 2012
    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0638&local_id=10041061 현대미학담론에서 상실된 긴장의 회복- 오캄에서 헤겔까지 신앙. 이성, 의 관계 재검토 ht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질풍노도의 해석학 - 감성분출의 역사철학과 미메시스적 전회를 통한 과학주의 극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순예, 게재일 : 2012
    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0638&local_id=10041289 현대미학담론에서 상실된 긴장의 회복- 오캄에서 헤겔까지 신앙. 이성, 의 관계 재검토 https://www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신학의 학문성에 대한 윌리엄 오캄의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율, 게재일 : 2010
    gory=ResearchPaper&m201_id=10020638&local_id=10035271 현대미학담론에서 상실된 긴장의 회복- 오캄에서 헤겔까지 신앙. 이성, 의 관계 재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신앙, 이성, 감성에 나타난 ‘긴장(Spannung)의 미학’ ― 독일 초.중기 계몽주의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성훈, 게재일 : 2010
    /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20638&local_id=10035272 현대미학담론에서 상실된 긴장의 회복- 오캄에서 헤겔까지 신앙. 이성, 의 관계 재검토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8)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등통감과 령관 장곡쳔령관이귀국동안에학원뎡길씨가 통감림시셔리 시무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周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학도를 교습 일인교가 작일에학도를 령솔고 감옥셔에젼왕야 각가죄슈의거쳐와 셔각소를 쥬람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轉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감옥셔에 죄인 건으로 각국공가 련명하야 외부로 죠회 말은 이왕긔 하엿거니와 작일 법부에셔 경무쳥으로 훈령하기를 일즉 법률을 졍돈하고 장졍을 졍하라는 외국공의 권하는말을 허야 졉 슈 업시니 이말로 감옥셔에 훈칙하야 옥을 졍결케하고 죄슈를 구휼케하라하엿더라...
    게재일1902년 10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設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죄인을 판야 경즁로 징역에 쳐은 과쳔션야 아모록 착한사이 되야 죄에  범치안음을 긔약이라 그런고로 문명국에셔는 죄슈를더욱 보호며 교육다는고로 우리가 항상 흠앙는 바이더니 지금 감옥셔장 김영션씨와 간슈장 리즁진씨외 박진영씨가 셔에 학교를 셜시고...
    게재일1902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前府尹에 紀念品을 贈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前府尹에 紀念品을 贈呈 1937년 8월1일 서울 서울 하전 경성상공회의소 회두, 대야(大野) 부회의원 부의장 등의...
    대표표제어甘蔗前府尹에 紀念品을 贈呈 | 연월일1937년 8월1일 | 지역서울

기타자료(10)

  • 외무성 니시보리 국연 국장을 방문한 후 남긴 소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외무성 니시보리 국연 국장을 방문한 후 남긴 소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10/13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75] 북한의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일 대사 대리 | 수신자장관
  • 이채일;李采馹;국본채일;國本采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6096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102면 이채일;李采馹;국본채일;國本采馹 경남 고성군 동해면 리 본과 제18회 194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정훈;李正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리 소화11년 3월 20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김해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소도성(蕭道成)에게 가던 고구려 사신이 해상에서 잡혀서 북위 대궐로 압송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高麗) 【원문】 時(고조)光州於海中得璉所遣詣蕭道成使餘奴等送闕 高祖詔責璉曰 道成親殺其君 竊號江左 朕方欲興滅國於舊邦 繼絶世於劉氏而卿越境外交 遠通簒賊 豈是藩臣守節之義 今不以一過掩卿舊款 卽送還藩 其思愆 祗承明憲 輯寧所部 動靜以聞 (󰡔魏書󰡕 100 列傳 88 高句麗) 【...
    대표표제어소도성(蕭道成)에게 가던 고구려 사신이 해상에서 잡혀서 북위 대궐로 압송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80년(庚申/신라 소지마립간 2/고구려 장수왕 68/백제 동성왕 2/齊 建元 2/倭 淸寧 1)
  • 北魏 효문제가 고구려 장수왕의 잘못을 질책한 詔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餘奴等 朝聘南齊 魏光州人 於海中得餘奴等 送闕 魏髙祖詔責王曰) 道成親弑其君 竊位江左 朕方欲興滅國於舊邦 繼絶世於劉氏 而卿越境外交 逺通纂 纂 : 『魏書』 100, 列傳 88 高句麗,에는 簒으로 되어 있다. 賊 豈是藩臣守節之義 今不以一過掩卿舊欵 卽送還藩 其思愆 祗承明憲...
    대표표제어北魏 효문제가 고구려 장수왕의 잘못을 질책한 詔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규장각 내각의 잡직 관원. 정원은 6인, 품계는 정해져 있지 않았다. 결재 처리된 문서나 왕명으로 만들어진 문헌이나 글들을 정리, 보존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 박문원 / 博文院 [역사/근대사]

    1902년 궁내부에 소속되어 국내외의 고금도서, 신문, 잡지 등을 보관하던 관청. 대한제국 때 국내외의 온갖 서적을 보관하던 관청으로, 관원으로 장, 부장 각 1인, 찬의 2인, 2인, 기사 3인이 있었다. 그 뒤 는 참서로, 기사는 주사로 바뀌었고, 참서와

  • 경서집설 / 經書集說 [종교·철학/유학]

    書), 제2책은 하권으로 주서(周書)가 수록되어 있다.「우서」는 요전(堯典)·순전(舜典)·대우모(大禹謨)·고요모(皐陶謨)·익직(益稷) 등 5개 편목에 도합 80개 절목(節目), 「하서」는 우공(禹貢)·()·오자지가(五子之歌)·윤정(胤征)등 4개 편목에 도합 63

  • 담원국학산고 / 薝園國學散稿 [종교·철학/유학]

    문교사에서 한학자 정인보의 국학관련 논문집을 1955년에 간행한 학술서. 연구서·국학논문집. 고서해제편에는 ()·주영편(晝永編)·고금석림(古今釋林)·팔도도(八道圖)·삼원관산고(三圓館散稿)·교통(交通)·하곡전서(霞谷全書)·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담헌서(湛軒書)

  • 찬의 / 贊議 [역사/근대사]

    1902년 설치된 박문원 소속의 관직. 칙임대우 2인으로 구성되었다. 박문원은 국내외 고금의 서적, 신문, 잡지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관이다. 찬의의 상위직에 칙임관이나 주임관의 장, 부장 각 1인을 두고, 아래로는 뒤에 참서로 개칭되는 주임관의 와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