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목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5)
사전(55)
- 감목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증대되자 목장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책이 실시되었다. 처음에는 목장이 있는 각 고을 수령에게 그 곳 목장 관리 업무를 겸임하게 했다가, 1426년(세종 8)에 각 도의 목장 소재지에 전임의 감목관을 두었다. 그 뒤 목장 부근에 있는 역승(驛丞)과 염장관(鹽場官) 가...
- 감목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지방의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종6품 외관직.정의조선시대 지방의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종6품 외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mmokgwan | MR표기kammokk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감목관(監牧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감목관 감목관 監牧官 목감(牧監), 애마자장관제령(愛馬孶長官提領), 전임감목관(專任監牧官), 겸임감목관(兼任監牧官), 목장(牧場) 경제교통/마정 직역 대한민국 조선 남상호 1408년(태종 8) ...관련어목감(牧監), 애마자장관제령(愛馬孶長官提領), 전임감목관(專任監牧官), 겸임감목관(兼任監牧官), 목장(牧場)
- 감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나라에서 설치한 목장에서 말 기르는 것을 감독하는 일. 또는 그 일을 맡은 감목관. 司僕提調 亦將遞免 則監牧之事 亦難周旋 可嘆可悶, 심희수(沈喜壽), 16-65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유시건(柳時健)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440 인물 유시건(柳時健) 유시건 柳時健 ? ? 조선 중기의 무관. 대정현감(大靜縣監) ∙ 진주(晉州) 감목관(監牧官)을 지냈다. 1617년 정사 오윤겸(吳允謙) ‧ 부사 박재(朴榟) ∙ 종사관(從事官) 이경직...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409)
- 黃海道 庄土文績_제5책 : 黃海道鳳山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108. 丙寅七月卄八日財主尹監牧官奴春班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3565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5책 : 黃海道鳳山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05-110 108. 丙寅七月卄八日財主尹監牧官奴春班 초사 1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忠淸道庄土文績_제15책 : 忠淸南道魯城郡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125. 咸豊十年-庚申-十一月初四日房監牧官宅舍音金元敬前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8287 奎 19300 忠淸道庄土文績 제15책 : 忠淸南道魯城郡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15-125 125. 咸豊十年-庚申-十一月初四日房監牧官宅舍音金元敬前 토지매매문기 1 41.6x35.8 한지, 관인 무, 수결, 122-125...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忠淸道庄土文績_제15책 : 忠淸南道魯城郡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126. 咸豊十年-庚申-十一月初四日房監牧官宅舍音金元敬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8289 奎 19300 忠淸道庄土文績 제15책 : 忠淸南道魯城郡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15-126 126. 咸豊十年-庚申-十一月初四日房監牧官宅舍音金元敬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1.3x45.8 한지, 관인 무, 좌촌 1장,...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715년 김여석(金汝錫)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715년(숙종41)에 김여석을 어모장군수원감목관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의 교지.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강진 양산김씨 군자서원
- 남도포(南桃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336 B033336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7年 11月 12日_032 ... 馬島萬戶, 會寧浦萬戶, 黔毛浦萬戶, 多慶浦萬戶, 木浦萬戶,於蘭浦萬戶, 南桃浦萬戶, 金甲島萬戶, 梨津萬戶, 智島萬戶, 薪智島萬戶, 鉢浦萬戶, 明月萬戶, 珍島監牧官, 羅州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감목관 김씨댁(監牧官 金氏宅)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용이 날라 올랐다든가 하는 용의 이야기를 해 달라고 했더니, 그런 이야기는 아는 바 없다면서 남제주군 중문면과 안덕면 경계에 있는 군산(軍山, 높이 224m)이 이루어질 때의 이야기를 한 두 마디 했다. 너무 짧아서 여기 소개하지 않는다.잇달아 묏자리를 잘 써서 ...조사일시1980-11-23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오라동 | 제보자송기조
주제어사전(4)
-
감목관 / 監牧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의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종6품 외관직. 조선시대에는 각 목장의 감목관이 때로는 전임관, 때로는 수령이 겸임해 목장의 관리, 마필 사양과 번식 및 목자의 보호에 힘썼다
-
목장색등록 / 牧場色謄錄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의 목장에 관련된 일종의 자료집. 필사본. 1834년(순조 34)부터 1873년(고종 10) 사이에 사복시(司僕寺)에서 각도의 감영(監營)·수영(水營)·병영(兵營) 및 전국의 각 목장에 있는 감목관(監牧官)에게 보낸 공문과 각 감목관의 첩보(牒報), 각 관
-
선사포 / 宣沙浦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철산군 백량면 기봉동에 있었던 포구(浦口). 철산군의 남쪽 해안가에 위치하였으며 진영(鎭營)이 설치되어 있던 곳이다.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겸 감목관(監牧官)이 1인 배치되어 있었으며 군사는 모두 865인이 있었다. 병선(兵船)의 분포를 살펴보면, 대맹
-
어수록 / 禦睡錄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장한종(張漢宗)이 편찬한 한문 소화집(笑話集). 『어수록』은 장한종이 화원(畫員)으로서 수원 감목관(監牧官)을 지낼 때 지은 것이다. 책머리에 있는 자서에 의하면, 이 책은 임신년(1812) 정월 편자의 재종숙이 내방했을 때 기록한 것이라 한다. 이 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