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감로왕도” 에 대한 검색결과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돋보인다. 지옥이나 현실 생활의 장면들도 보다 생동감이 있어 당시의 사회상을 살펴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생각한다. 현재 전하고 있는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 이후 다수 조성되는 의 양식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는 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본 마쓰사카 시(松板市) 아사다 사(朝田寺)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화. [내용] 1591년(선조 24) 작.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240㎝, 가로 208㎝. 감로탱은 영혼 천도 재 의식에 사용되는 불교 탱화 중의 하나이다. 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의 . [내용] 1750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77㎝, 가로 185.5㎝.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운흥사 (1730년)‧봉서암 (1759년) 등 18세기 전라도지역에서 조성된 와 유사한 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수는 사실성이 결여되어 배경적인 느낌이 많다. 甘露幀(姜友邦‧金承熙, 圖書出版 藝耕, 1995) (1764년) 조선 후기의 불화. 1764년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1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무화기(無畫記) 와 유사한 모티브를 사용하여 화사간의 영향 관계가 주목된다. 韓國佛畫의 硏究(洪潤植,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韓國의 佛畫(文明大, 悅話堂, 1981) 甘露幀(姜友邦‧金承熙, 圖書出版 藝耕, 19...

주제어사전(3)

  • / [예술·체육/회화]

    조선 말기(19세기 후반)의 불화.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60㎝, 가로 187㎝.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감로탱은 수륙재(水陸齋)·우란분재(盂蘭盆齋)·사십구재(四十九齋) 등 영혼천도재에 사용되는 하단(下壇) 탱화이다. 화면 구성은 주로 상·중·하단으로 이루어졌다.

  • 고려산원통암 / 高麗山圓通庵 [예술·체육/회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원통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1907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13㎝, 가로 174㎝. 19세기 중엽 이후 경기도 지역 의 도상을 기본으로 하면서 일부 도상을 생략하여 축소된 도상을 표현하였다. 상단의 중앙에는 합장

  • 감로탱화 / 甘露幀畵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 후기의 . 보물 제1239호. 1681년작. 이 그림은 죽은 자가 지옥에서 벗어나 극락왕생할 것을 빌기 위해 만들어진 감로탱화로서, 상단·중단·하단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조선후기 감로도의 양식을 보여준다. 상단에는 청록으로 채색된 산수를 배경으로 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