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6)
사전(108)
- 감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喬木:키가 큰 나무). 한자어로는 시수(枾樹)라 한다. 학명은 Diospyros kaki THUNB.이다. 높이는 14m에 달하고 잎은 크고 넓으며 톱니가 없다. 꽃은 담황색으로 자웅잡성(雌雄雜性)이며 6월에 핀다. 꽃잎은 크고
- 석전감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문천시 덕흥리에 있는 감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457호. 감나무는 덕흥리에서 석전리로 가는 길을 따라 800m정도 가서 왼쪽으로 약 100m정도 떨어진 산기슭의 길옆에 있다. 감나무가 자라고 있...
- 원산감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원산시 영삼리에 있는 감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01호. 감나무는 세 그루인데 신성저수지로부터 동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서 자란다. 1호 나무로부터 2호 나무까지는 200m, 2호 나무에서 3호...
- 흑시(黑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668 물품도구 흑시(黑柿) 흑시 黑柿 오래된 감나무 줄기 중심부의 단단한 부분. 또는 그 재목(材木). 먹물을 물들여놓은 것처럼 검은색을 띠기 때문에 오시목(烏柹木), 또는 먹감나무라고도 한다. 재질이 단단하면서도 고와서 가구유형분류물품도구
- 근대신어 : 퍼시몬 (퍼시몬)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61220 퍼시몬 파항 퍼시몬 persimmon 감(柿) 감(감나무)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550 음식, 동식광물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음식, 동식광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06)
- 미상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遠川 敢字 보리밭 1두락과 감나무 4주를 2냥 5전에 방매함분야문학 | 유형문헌
- 미상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軆舍 4칸, 前退와 行廊 2칸, 감나무 6주, 대추나무 4주를 320냥에 방매함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84년 엄도정(嚴導政) 방매(放賣)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84년 11월 19일에 엄도정이 전라도 순창군 적성면에 있는 집과 감나무 등을 팔면서 작성한 가사매매명문이다. 매매 대상은 본채 3칸, 행랑 3칸, 측간 1칸, 감나무 1그루이며, 거래가격은 35냥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 현소장처순창장류박물관
- 미상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회덕 동면 三丁 內舍 前退 4칸, 外舍 2칸, 春舍 1 칸, 垈田 5두락, 감나무 4주를 135냥에 방매함분야문학 | 유형문헌
- 미상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회덕 동면 三政里 內舍 4칸, 前退 外舍 2칸, 舊舍 1 칸, 垈田 5두락, 감나무 4주, 뽕나무 5주, 象木 4주 를 135냥에 방매함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25)
- 가자 가자 감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을 회관에서 자연스럽게 구연하였다. 조사하는 도중에 할머니들이 한 분씩 한 분씩 들어오시고 또 민요조사를 왔다는 말을 듣고 일부러 오신 분들도 계셨다.조사일시2009.08.03(수) | 조사장소경북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인지리 441번지 인지리 손달회관 | 제보자김순식
- 감나무 위의 사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얘기가 끝나자마자 청중 한 사람이 (이토정)얘기나 좀 해 주라고 하자 반색을 하며 들려 줬는데, 청소면에서 채록된 것과 동일 유형담으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어서 이 얘기가 나왔는데 ‘설화 7’을 구연하면서 생각해 둔 것인 듯했다. *조사일시1981-07-22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주포면 | 제보자최영종
- 가자 가자 감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많은 이야기보따리를 푼 제보자가 노래 보따리도 풀어놓자, 조사자들은 많은 질문과 요청을 하였다. 여우ㆍ개똥벌레ㆍ술래잡기 등 많은 질문을 하였는데 잘 모르거나,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조사자들이 혹시 가자 가자 감나무와 같이 말을 이어가며 하는 노래를 아...조사일시2009.02.08 | 조사장소김포시 통진읍 옹정2리 78번지 | 제보자전봉해(여,78세)
- 뒷동산에 먹감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손뼉을 치며 즐거운 듯 하면서도 차분한 목소리로 불러주었다.조사일시2009.02.14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 문하마을 | 제보자김옥임(여,67세)
- 감나무에 피신해서 봉변당한 사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촌댁인 박부돌씨 집에서 물러나와 점심 약속이 되어 있는 포내댁으로 돌아 <page id="597"></page> 왔다. 마침 학교 선생님들이 점심을 먹고 있었다. 포내댁에서는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점심을 제공하고 있었다. 조사자 일행도 점심을 잘 대접받았다. ...조사일시1984-02-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 제보자채숙자
신문·잡지(40)
- (효포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상도 대구군 사 김진규씨가 조고여으로 과모시하에 근근이 라나셔 그 모친을 효도로봉양을 린근동 사들이 칭찬 안이가 업더니 맛 그모친이 병이드러셔 입이쓰다고 홍시를 찻지라 그가 맛 삼월인즉 홍시를 어셔 구리오 김씨가 감나무밋헤 가셔 쳐다보며 울더니...게재일1899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함남로동신문_1949_091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19 이승만, 권옥현 국방군 이 남괴뢰 정부 『국방군』은 이전에도 우리 공장 가까운 감나무 재기지에서 이쪽을 향하여 종종 발사하여 왔다. 그러나 직접 공장구내에 착탄한 것은 처음이다. 원쑤들에 대한 일 층 높은 증오심과 또한 이러한 사건에...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915_03
- 별_1949_0921_02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야 맹사격을 가하였다. 다른 한 부대는 지서후방으로 약 300메터 지점에 있는 감나무 밭에 잠복대기하고 있다가 선발부대가 사격을 개시하자 지저에 접근하여 빗발치듯 수류탄을 투척하였다. 전방 후방에서 유격대의 맹렬한 협격을 받은 군경 놈들은 진퇴유곡에 마저 허덕허덕 하였...대표표제어별_1949_0921_0203 | 책임주필李思光
- 미주문학_1991_0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사막과 병사 김용팔 12 아씨지의 감나무 마종기 15 공간 (1) 외 1편 곽상희 17 ...발행국가미국 | 발행연도1991
- 교사의벗_1980_17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문제종교시리즈(6)-이영주교주 사건 탁명환 32 외딴집 감나무 작은 잎사귀 권정생 37 선교지에서 온 소식(1)-무슬림의 나라 이집트에 와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0
기타자료(17)
- (문예 수필) 감나무, 은행나무, 새소리, 매미소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예 수필) 감나무, 은행나무, 새소리, 매미소리 (문예 수필) 감나무, 은행나무, 새소리, 매미소리 교육 문헌 현대 중등교육 교사문화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길웅 | 사료철명교육제주
- 창원 북면 자동차학원 조성부지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성되어 있다. 조사구역은 선상지 고위면과 접속되는 점이대를 하한으로 한 구릉의 자락으로 구릉의 고위면은 경사가 다소 가파르게 비탈져 내려오다, 그 아래에서 경사변환으로 완사면을 이루고 있다. 이 구릉의 산록에는 감나무 과원이 조성되어 있고, 선상지는 수전과 전작지로 이...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 합천 무학대사 유적지 시굴조사 결과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광 정의도,정현광 경남문화재연구원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상천리 904 외 경상남도 합천군 7,280㎡ 이번 조사는 합천군에서 시행예정 중인 무학대사 생가 복원 및 유적지 정비를 위한 문화관광사업의 일환으로 무학대사와 관련 있는 감나무, 샘 등...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울산 대안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지하기에 대단히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안리유적이 조사된 지역은 감나무 과수원으로 경작되던 곳이며, 주변지역은 온양읍의 중심지로 이미 택지로 조성되어 아파트단지가 형성되어 있고 주변으로 울산온천의 개발로 생활근린시설들이 자리잡고 있...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울산대학교박물관/울산광역시강남교육청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창원 소계-북면 도로확장구간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위치하고, 화천리 유물산포지는 화산마을 앞 농경지상에 위치한다. 마산리 옹기가마터는 주변에 감나무 단지가 조성되었고 유적은 계단상의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1998.08~1998.09 제1장.조사개요 1.조사경위 및 목적 2.조사방법 3.조사단 구성과 역할 /...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창원시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9)
-
감나무 / [과학/식물]
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喬木). 우리나라에서 감나무 재배의 역사는 고려시대인 1138년(인종 16)에 ‘고욤’에 대한 기록이 있고, 1470년(성종 1)에도 건시·수정시(水正枾)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 초기의 진상물에 감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
석전감나무 / 石田─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문천시 덕흥리에 있는 감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57호. 감나무는 덕흥리에서 석전리로 가는 길을 따라 800m정도 가서 왼쪽으로 약 100m정도 떨어진 산기슭의 길옆에 있다. 감나무는 1780년에 심어졌다고 한다. 높이는 15m이고 뿌리목
-
고욤나무 / Diospyros lotus L [과학/식물]
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 조(棗)자가 쓰이는 것은 열매의 모양이 대추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영조(梬棗)라고도 하는데, 북부지방에서는 다래나무를 가리키는 말이다. 높이는 14∼15m에 달하고, 새로 난 가지에는 흰색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
-
그루타기 / 忌地 [경제·산업/산업]
국화과의 작물은 이어짓기에 약한 것이 많다. 과수에 있어서 그루타기는 복숭아나무·감귤류·앵두나무·무화과나무가 심하며, 감나무는 다소 있고, 사과나무·포도나무·자두나무·살구나무 등은 강하다.
-
벙어리문갑 / 벙어리文匣 [예술·체육/공예]
문판 중앙에 있는 손잡이가 자물통 구실을 겸하고 있다. 흔히 쌍으로 놓지만 하나만 놓기도 한다.재료는 주로 문양이 아름다운 물푸레나무와 먹감나무를 썼으며 소나무를 비롯하여 오동나무의 단순한 나뭇결을 살리기도 한다.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나 외형이 깔끔하고 중요문서나 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