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7)
사전(79)
- 감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의 총칭. [내용] 나지막한 키에 주간(主幹:원줄기)의 발달이 어렵고 가지가 잘 갈라지며, 나무 모양은 둥글다. 잎은 두껍고 타원형 또는 방추형이며, 잎자루에 미약하게 발달한 날개[翼]가 있다. 열매는
- 감귤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방이 커지고 음호(陰戶)가 수축되는 것이 생리적 현상인데 몸이 허약하여 기혈이 마르게 되면 젖이 나지 않는다. 이는 허증(虛症)이므로 보음(補陰)을 해야 하고 이럴 경우에는 감귤전을 써야 한다. 이 처방의 구성은 잘 익은 귤 30개, 굵은 대추는 쪄서 한 되(一...
- 柑橘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I_0011 柑橘橙 식물 橘柚, 移種 聖武天皇 支那, 江南, 楊州[揚州, 我國, 耽羅國, 濟州, 日本, 播磨, 唐 弟兄 禹貢 I_01_26_11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26장 11절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6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감귤재(柑橘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287 동식물 감귤재(柑橘栽) 감귤재 柑橘栽 감귤(柑橘) 묘목. 감귤나무. 감귤은 귤과 밀감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상록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가지에 가시가 있고 키는 3-6m까지 자란다. 5월 중하순에 흰 꽃이 피며 6-7월에 열...유형분류동식물
- 온주귤(溫州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003 물품도구 온주귤(溫州橘) 온주귤 溫州橘 운향과(芸香科) 상록 과실나무의 열매. 감귤류 중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 상품(商品)이다. 원래 중국 온주(溫州) 지방이 원산지인데, 일본에서 개량하였고, 조선 제주도와유형분류물품도구
고서·고문서(253)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93 B002593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世宗實錄 十三年(1431) 九月 세종실록_11309008_003 ○尹鳳求柑橘ㆍ木瓜各一百箇、乾柿子三十貼、早稻種三十斗, 皆許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94 B002594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世宗實錄 地理志 世宗 151 地理志 / 전라도(全羅道) 세종실록_40007005 ... 亦同。】四境, 東北距濟州東二十六里, 北七里, 西距大靜縣三十七里, 南距大海七里。 戶六百八十五, 口二千七十三。 軍丁, 馬軍三百七十六名, 步軍...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95 B002595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世宗實錄 地理志 世宗 151 地理志 / 전라도(全羅道) 세종실록_40007005 ... 州二十七里。 戶一千三百五十七, 口八千五百。 軍丁, 馬軍二百二名, 步軍四百六十八名。 厥土塉, 墾田二千二百二十七結。【水田八十五結。】土宜, 山...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96 B002596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世宗實錄 六年(1424) 秋七月 세종실록_10607002_004 ○對馬州宗彦六之母使人謝賜米豆, 仍獻土宜, 回賜正布八十匹。 對馬州左衛門大郞使人獻柑橘栽五十。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97 B002597 감귤 柑橘 경제산업 世宗實錄 九年(1427) 六月 세종실록_10906010_003 劾, 如有强占良民, 稱爲奉足役使者, 依律痛懲, 以除其弊。 一。 濟州土地, 本皆沙石, 農利不饒, 小民之生, 誠爲可慮。 每等按撫使, 當六七月正農之時, 托以進上, 鞍籠...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송운호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김이도, 김찬호 목사, 허은 목사, 감귤협동조합, 부민교회, 보목교회, 상동교회, 서귀포교회, 영락교회, 율지교회, 조선특수화학주식회사, 해방교회, 해방촌 한글 연세구술자송운호 | 직업사업가 | 지역평안도
- 한국전쟁 참전기와 제대 후 생활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에 덮은걸 빠면서 소를 먹이거든 [청중 : 먹일게 없어서] 소가 영양실조가 다 걸 린거야. 그래서 이젠 소 기르면서 탱자랑 고자랑에 가면 탱자 밑에 탱자가 많이 나거든 그걸 뽑아 다가 저 이틀에 우리 텃밭에 그걸 다 심어서 그걸 접붙여서. [조사자 : 아 ~~ 감귤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6일
기초학문(1)
- 사회적 자본의 정책 영향: 제주도 감귤 생산자간 협약이행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민기, 게재일 : 200622193 민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방정부학회 2006 사회적 자본의 정책 영향: 제주도 감귤 생산자간 협약이행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9)
- 1926년12월_조선경제잡지_132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경성 1926년12월 조선경제잡지 132 1926년12월_조선경제잡지_132호 생사(生絲), 감귤류, 조선무역, 경성상업, 경성금융, 회사이동, 양잠...대표표제어1926년12월_조선경제잡지_132호 | 지역경성 | 키워드생사(生絲), 감귤류, 조선무역, 경성상업, 경성금융, 회사이동, 양잠 | 연월일1926년12월 | 자료명조선경제잡지
- 7. '한강의 기적'을 낳은 통찰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대해 말하고 있음. 제주도는 1960년대 초반까지 지리적 고립성으로 인해 전국에서 가장 취약한 생활지역이었다고 함. 사회 기반시설 부진 및 낮은 수준의 주민소득 등이 문제였음. 이에 박정희는 물 문제 해결, 공항 건설, 관광지로의 개발과 축산 사업 발달, 감귤재배 시작...대표표제어7. '한강의 기적'을 낳은 통찰력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김정렴 | 출처『아, 박정희』(서울:중앙M&B)(pp.255-284) | 키워드제주도 개발, 새마을운동, 8·3사채동결, 대통령 긴급조치, 김정렴
- 개성신문_1952_11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꼴호즈들이 과수원들과 장과 재배 면적은 70%, 포도 재배 면적은 50%, 차 산지는 60% 각각 증가시키며 감귤류는 4.5배로 증가시킬 것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1101_02 | 날짜1952년 11월 1일 | 책임주필김명호
- 우리들_1975_10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갯벌 황금을 캐는 일손이 땅거미처럼 뜨겁다 80 극치의 효심이 이룬 환생-내 고장 전설 (38) 조성운 84 야망을 꾸미는 사람들 (26)-감...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5
- 북제주교육_1971_0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서학교운영의 실제와 전망 임중석 46 교육신풍운동 귀덕교분회 상황소개 신찬주 53 자활학교운영의 전망-감귤원 운영을 중심으로 양경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기타자료(3)
- 감귤병충해 방제에 관한 연구-귤굴나방의 생태와 방제를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감귤병충해 방제에 관한 연구-귤굴나방의 생태와 방제를 중심으로 감귤병충해 방제에 관한 연구-귤굴나방의 생태와 방제를 중심으로 柑橘病蟲害 防除에 關한 硏究-귤굴나방의 生態와 防除를 中心으로 교육 문헌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인옥 | 사료철명교육제주
- 감귤병충해 방제에 관한 연구(귤굴나방의 생태와 방제를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감귤병충해 방제에 관한 연구(귤굴나방의 생태와 방제를 중심으로) 감귤병충해 방제에 관한 연구(귤굴나방의 생태와 방제를 중심으로)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인옥 | 사료철명교육제주
- 법화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정밀 지표조사와 발굴을 위한 조사 용역을 발주한 것이다. 법화사지는 파헤쳐진 멱 개의 주초석과 지대석을 제외하고는 사찰에 대한 유적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이 곳은 1950년을 전후로 군인 훈련소로도 쓰여졌고, 최근에는 광범위한 감귤과수원의 조성으로 유적지...발행연도1983 | 발굴기관서귀포시/명지대학박물관 | 발굴지역제주도
주제어사전(5)
-
감귤 / 柑橘 [과학/식물]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의 총칭. 감귤류의 원산지는 아시아의 열대지방에서 아열대지방이라고 하나 거의 아시아 대륙의 동남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발생중심지는 인도와 중국의 접경지인 히말라야산맥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우리 나라에서 감귤이 재배된 시기는 확실
-
그루타기 / 忌地 [경제·산업/산업]
국화과의 작물은 이어짓기에 약한 것이 많다. 과수에 있어서 그루타기는 복숭아나무·감귤류·앵두나무·무화과나무가 심하며, 감나무는 다소 있고, 사과나무·포도나무·자두나무·살구나무 등은 강하다.
-
성산포항 / 城山浦港 [지리/인문지리]
감귤이다.
-
고흥반도 / 高興半島 [지리/자연지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등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광지로서도 좋은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고흥군에 속한 나로도에 나로 우주센터가 건설되어 대한민국의 우주항공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지역이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제주도의 특산물로 알려진 감귤이 고흥반도에서
-
욕지도 / 欲知島 [지리/자연지리]
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보리를 비롯한 맥류 및 고구마의 생산량이 상당하며, 감귤·마늘·고추·양파 생산도 매우 활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