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감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6)
사전(259)
- 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각 관아나 궁방에서 금전출납을 맡아보거나 중앙정부를 대신하여 특정업무의 진행을 감독하던 관직. [내용] 각 지방의 곡식을 색리(色吏)와 함께 서울로 운송하는 경우, 배를 타는 감관을 영선감관(領船監官), 곡식을 바치는 일을 관리...
- 도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내수사 및 궁방(宮房)에 소속된 관직. [내용] 내수사 및 궁방의 지역단위 토지관리책임자이다. 내수사전과 궁방전은 전국 각지에 산재하여 있었고, 그 관리를 위하여 농장마다 도장(導掌)‧궁차(宮次)‧감관(監官)‧마름[舍音] 등...
- 감관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감관으로서의 권리를 매매하는 문서. [내용] 감관은 장초를 관리하고 수세하여 궁방 또는 아문에 납입하고, 감관료(監官料)를 받거나 납입한 나머지를 취하게 되므로 그 자리는 큰 이권이되었다. 따라서, 감관의 자리는 매매,...
- 교감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청(淸)나라의 관직으로, 서적편찬 등에 관한 일을 담당.정의중국 청(淸)나라의 관직으로, 서적편찬 등에 관한 일을 담당.[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yogamgwan | MR표기kyogam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개시감관(開市監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89 개념용어 개시감관(開市監官) 개시감관 開市監官 왜관개시(倭館開市) 때 거래하는 물건의 검품(檢品)을 담당하는 관리. 왜관에서 조일 양국 상인이 매월 3일과 8일에 교역할 때 개시군관(開市軍官)은 왜관의 수문(守門)을 지키며,...유형분류개념용어
고서·고문서(664)
- 平安道庄土文績_제20책 : 平安南道安州郡四部洞所在庄土申泰禧提出圖書文績類 2. 差帖 金衡植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9122 奎 19305 平安道庄土文績 제20책 : 平安南道安州郡四部洞所在庄土申泰禧提出圖書文績類 20-002 2. 差帖 金衡植 감관차첩문기 1 47.8x36.5 한지, 圖署(明禮宮) 1장, 47.8x36.5cm(가로x세로),...자료명平安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庄土文績_제19책 : 圖書文績類 54. 差帖 鄭忠達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8951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19책 : 圖書文績類 19-054 54. 差帖 鄭忠達 감관차첩문기 1 19.1x28 판심(宮內府內藏院), 관인 1장, 19.1x28cm(가로x세로), 판심(宮內府內藏院), 관인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833년 서창감관(西倉監官) 첩정(牒呈)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33년(순조33)10월 22일에 서창감관이 영암군 곤일면 당리에 사는 조영형의 산소에 몰래 아이 무덤을 쓴 김내여로 하여금 다시 묘를 파서 옮기게 하고, 김내여는 잡아 와서 영암군에 호송하며 군수에게 보고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영암 미암 창녕조씨 태호후손가
- 1833년 서창감관(西倉監官) 서목(書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33년(순조33)10월 22일에 서창감관이 영암군에 남의 집 산소에 아이 무덤을 함부로 쓴 김내여를 잡아 올리며 보낸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서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 현소장처영암 미암 창녕조씨 태호후손가
- 경인년(庚寅年) 서창감관(西倉監官) 첩정(牒呈)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경인년4월 5일에 서창감관이 영암군 곤이종면 백운동에 사는 이문순의 1년 품삯 9냥을 지급하지 않은 이유현을 잡아다가 품삯을 지급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갚을 돈이 3냥 5전뿐이라는 새로운 사실 등을 영암군에 보고한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영암 미암 창녕조씨 태호후손가
신문·잡지(82)
- 統監官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셔 한국의 통감관졔 츄밀원에셔 결뎡되얏스되 통감밋헤난 칙임춍무쟝관을두고 그밋헤난 재무경무 통신부 농상공부 두계얏난 춍무관은 학원뎡길씨로 작뎡이오 농상공부관은 목즁랑씨가 임명될리라더라게재일1905년 12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統監管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부부원쳥에 고빙 고문이하 보쟈관보죠원등의 명목을 이왕에 각기아문으로 시무 령셔 시더니 지금은 통감부에셔 각쳐시무고문관 보좌관등의명목을 통감부부라야 관할 ▮…▮게재일1906년 7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照請欠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청공가 외부로 죠회기를 뎐보샹국보젼은젼 륙만일쳔여량을 곳 지발라 엿다더라게재일1905년 4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都監官吏會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뎨 죤봉도감 도졔죠이하 랑텽이 작일에 장례원으로 회동야 졔반 졀를 마련얏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統邸會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대신은 작일하오에 무삼항을 인인지 일졔히통감관뎌로 회동얏다더라게재일1907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27. 이토 공이 대한제국 황제에게 하직을 고함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7월 5일: 오후 7시에 서울 도착 뒤 통감관저에서 만찬 7월 6일: 황궁에서 황제 알현 및 오찬 7월 7일: 통감부 고위 관리들이 주최한 만찬 7월 8일: 한국 대신들이 주최한 가든파티 7월 9일: 덕수궁에서 태황제와 오찬 7월 10일: 이토...집필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7월 16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주제어사전(15)
-
감관 / 監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관아나 궁방에서 금전출납을 맡아보거나 중앙정부를 대신하여 특정업무의 진행을 감독하던 관직.
-
도감관 / 都監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내수사 및 궁방에 소속된 관직. 내수사 및 궁방의 지역단위 토지관리책임자이다. 여기에는 주로 내시나 이서들이 임명되었으므로 사대부들이 도감관에 임명되는 경우 회피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도피차역률(逃避差役律)로 처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왕족들의
-
경리청 / 經理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북한산성의 관리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 1711년(숙종 37) 북한산성이 축성되자 축성에 참가한 3군문, 즉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에서 감관을 파견하여 산성을 분담, 관리하도록 하는 조처가 있었다.
-
봉수대 / 烽燧臺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봉수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소.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삼수 갑산으로부터 시작하여 전국의 주요지역 각지에 많은 봉수대가 설치되었고, 별장 22인, 백총 47인, 감관 567인, 무사 2,610인, 합계 3,646인의 봉수군이 구성되었다.
-
지평일구 / 地平日晷 [과학/과학기술]
조선 후기에 사용하던 수영면(受影面)이 수평적 평면을 이룬 해시계. 1789년(정조 13)에 감관(監官) 김영(金泳)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그 재료는 보통 대리석·오석(烏石) 등을 쓴다. 영침(影針)은 수영면에 수직이 되게 세워두기도 하고, 천구북극(天球北極)을 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