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갈포” 에 대한 검색결과 1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2)

사전(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의류용 직물로서 오늘날에도 많이 제직되고 있는데, 그 원료는 우리 나라에서 많이 수입하여간다. 는 우리 나라ㆍ중국ㆍ일본 등에서 고대로부터 일찍이 사용되어 원시직물의 일종으로 일컬어지는 직물이다. 『조선여속고(朝鮮女俗考)』에도...
  • 근대신어 : 나이아가라폭포(나잉布)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7291 나이아가라폭포 나항 나잉布 攻擊야나잉布中에擊沉케니라 공격하여 나이아가라 폭포 중에 격침케 하니라 石鎭衡 平時國際公法 미상 1907추정 291 자연지명
    출전平時國際公法[미상]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해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여러 가지 해산물. 『書經』「禹貢」에 “바치는 공물은 소금과 가는 (), 그리고 여러 가지 해산물이다(厥貢鹽. 海物惟錯)”에서 유래됨. 海錯登盤 山廚動色 老... 不慣於喫菜茹草 得以開醒病胃 甚可喜也, 신석희(申錫禧), 29-3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근대신어 : 실용신안(實用新案)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4535 실용신안 사항 實用新案 實用新案에關日本國法令等을左갓치홈 실용신안에 관한 일본국법령 등을 왼편과 같이 게포()함 官報(大韓帝國) 官報局 1909 11 5 實用新案: 小林花...
    출전官報(大韓帝國)[官報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상공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TD_N4_O_0007 練麻 방직·직물 農布, 筒布, 細布, 麁布, 女紅, 績麻, 麻鄕, 鉢布, 小竹筒, 鉢內布, 簾箔, 麻皮, 細布法, 麁皮, 六鎭織布法, , 練葛, 苘布, 曝布, 苘皮, 六鎭, 嶺南, 鍾城, 鍾城府涪溪, 關西 農政, 授時...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3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29)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苧布 모시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苧布 모시 1778방언유석_서부방언027b.jpg 苧布 모시 褐子 무 綿子 플소옴 湖綿 죠흔 풀소옴 棉花 소옴 彈花 소옴 線麻 삼 苧麻 태모시 粱造 믈들이다 靛靑 반물 絲 외겹살 絨 융 線 합실 絲料 실ㅅ 繰絲...
    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48_동문유해(下)_縐紗 주사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동문유해 122 1748_동문유해(下) 縐紗 주사 동문유해(곤)_025b.jpg 縐紗 주사 綿紬 면쥬 夏布 뵈 苧布 모시 大布 大布 毛靑布 쳥삼승 印花布 화포 三梭布 삼승 毼子 허 絲 실 生絲 生絲 金絲 金絲 練絲 실 니기다 纏絲 테 짓다 絲亂 실 얼킈다...
    편명1748_동문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15_역어유해(補)_醬色 醬色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역어유해보 122 1715_역어유해(補) 醬色 醬色 1715역어유해보_41a.jpg 醬色 醬色 打染 믈드리다 倒靑 반믈 후염다 染記 믈드리 보람 素的 믄 업슨 것 有花的 믄 잇 것 毛靑布 靑三升 印花布 花布 碁子布 斑布 繭紬 야견 編絛 치다 湖綿
    편명1715_역어유해(補)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廣寧 小黑山 開原 法庫 嚴千戶屯 喇村 薩爾滸 사회 賑卹奉天盛京驛·舊邊·句驪河·白旗堡·二道井·十三山·廣寧·小黑山·開原·法庫·嚴千戶屯·喇村·薩爾滸等十三驛.乾隆三十一年·水災旱災飢民.併蠲應徵額賦.緩徵蠲剩銀米有差....
    출처전거『淸實錄』 高宗純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爾格布什等·入觀畢.賜宴.褚喇嘛·獻綵緞·馬匹.俱卻之
    출처전거『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4)

  • 강진바다 래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노래에 이어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1. 1. 20(목)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포상리 포상마을 | 제보자김명순
  • 강진바다 래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 역시 노래 부르다가 가사가 잘 생각이 안 난다며 멈추었다.
    조사일시2011. 1. 25(화)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무림리 봉곡마을 봉곡마을회관 | 제보자배국향
  • 강진바다 래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본인이 아는 노래가 없다면서 구연하기를 꺼려했다. 그러다가 조사자의 유도에 따라 노래를 짤막하게 구연했다.
    조사일시2011. 1. 26(수)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용소마을 용문사길 92-35 | 제보자김옥련
  • 모심기 소리(강주바다 래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노래에 이어서 다른 형태로 불러주셨다.
    조사일시2011. 1. 22 (금)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임촌마을 최백윤씨댁 | 제보자서정엽

신문·잡지(12)

  • 去四月二十七日各私立小學校聯合大運動時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去四月二十七日各私立小學校聯合大運動時에有志僉員이學徒의賞與를爲야寄付物品을左開노라 學部 紙貨十圜 玄暎運 紙貨十圜 朱翰榮 鉛筆五打 初學地誌五件 漢文地球全圖五件 筭術册[新訂筭術)五件 金相天 鉛筆 打 空册二部 雨傘一柄 紙石板一部 毛筆十柄 金相萬 中地球一坐大韓地誌十五件
    게재일1907년 5월 7일 | 기사분류광고
  • 진잠군슈 죠병일씨가 졍부로보고기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잠군슈 죠병일씨가 졍부로보고기를 본군 샹남면 샹하션학 량동에사인민호슈가불과 이십륙호인데 음력이월 십일일에 실화야 이십오호가 소화고 다만 한호만 남엇데 민졍이 긍측니 츈등호포를 위션탈급여달나고 엿고 목쳔군슈 졍쳘죠씨의 보고에 본군 면의 등에 이십호...
    게재일1901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미국의 비관세장벽 (상) 조사부 24 수출상품시리즈 (14)-벽지 조사부 30 무역동향 조사부 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 康津郡의一悖類가以挾雜得罪於本郡고逃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康津郡의一悖類가以挾雜得罪於本郡고逃走上京야陰曆七月에本郡守姜永瑞氏를以無據之說노大韓日報에搆誣얏기擧槪辨明바其條件中陳亡結事全南各郡陳結이皆未得蒙減於度支部故로他郡은雖或收捧이되本郡守屢報京部에至今停捧이오搢紳及感慕等錢은初因府部訓飭收捧타가及其勿施之飭에旋卽還給民間고所謂校排...
    게재일1904년 11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수출검사월보_1966_01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벽지검사에 있어서의 흠과 그 개선책 이주성 66 농기구수출검사의 현황과 전망 탁영변 68 한국공업규격-계수규준형 1회 샘플링검사(KS A 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주제어사전(2)

  • / [생활/의생활]

    칡덩굴 껍질로 짠 직물. 칡은 콩과의 다년생 낙엽활엽만목으로 우리 나라 산 등에 흔히 자생하므로 풍부한 원료가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나라에서는 의복재료로서는 사용되지 않고 벽지와 같은 실내장식용품으로 제직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는 우리 나라·

  • 민사봉 / 民事峯 [지리/자연지리]

    으로 모여서 북쪽으로 흘러 멀리 회령땅으로 들어간다. 한편, 남쪽 사면에는 성천수(城川水)의 상류계류인 천(川)이 서남류하며 좁은 곡저평야를 이루고 있다. 식물경관을 살펴보면 활엽수보다는 침엽수가 많으며 빈약한 식생경관을 이루고 있다. 이 산지는 동남쪽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