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갈참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28)
- 영풍단산면의갈참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에 있는 갈참나무. [내용] 천연기념물 제285호. 수령은 약 300년으로 추정되며, 높이 15m, 가슴높이둘레 3m에 달한다. 천연기념물인 수목 중에서 느티나무나 은행나무의 노거수는 각처...연계항목영풍단산면의갈참나무(榮豊丹山面의갈참나무)
- 발산리의모감주나무병아리꽃나무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생의 큰 나무를 비롯하여 바닷가 사면에서 300주 정도가 자라고 있다. 이곳은 현재까지 알려진 모감주나무 군락지 중 크기와 면적 개체수에서 최대이며, 관목층의 병아리꽃나무와 함께 생태적‧학술적 가치가 큰 곳이다. 주변에서 자라는 큰 나무는 갈참나무‧느티나...
- 괴산의미선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루어진 토양)로서, 커다란 바위가 첩첩이 싸여 있는 틈에서 자라고 있다. 소나무조차 자라지 못하는 바위 틈에는 기린초가 때로 자라고 박쥐나무‧떡갈나무‧갈참나무 및 졸참나무의 맹아(萌芽 : 식물의 새로 트는 싹)와 어린 소나무가 사라졌으나 독지가의 노력으로 다시...연계항목괴산의미선나무자생지(槐山의미선나무自生地)
- 도토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참나무속에 속하는 나무열매의 총칭. [내용] 너도밤나무과의 신갈나무‧떡갈나무‧갈참나무‧졸참나무,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생긴 많은 변종의 열매를 모두 도토리라고 한다. 참나무속의 식물은 상록 또는 낙엽교목인데 드물게 관목인 경우도 있다. ...
- 영동매천리의미선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데 다른 식생과 더불어 생성하여 우리나라 특산식물연구의 학술자료가 되고 있다. 식생내용을 보면 큰 나무류에는 가침박달‧갈참나무‧개살구나무‧광대싸리나무‧굴참나무‧굴피나무‧느티나무‧산사나무‧상수리나무‧신갈나무‧복자기‧졸참나무 등이 있고, 관목류에는 까마귀밥여름나무...연계항목영동매천리의미선나무자생지(永同梅川里의미선나무自生地)
주제어사전(2)
-
갈참나무 / Quercus aliena Blume [과학/식물]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전국에 분포한다. 재잘나무, 톱날갈참나무, 큰갈참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등이다. 학명은 Quercus aliena Blume이다. 나무의 지름은 1m, 높이는 25m에 이른다. 경상북도
-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 高敞禪雲山兜率溪谷一圓 [지리/자연지리]
봉 등이 위치한다. 도솔계곡 일원에는 소나무를 비롯해서 산벚나무, 팥배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 산초나무, 작살나무, 예덕나무, 차나무, 고사리삼, 실맥문동, 원추리 등이 자라고 있다. 암벽 위에는 희귀식물인 석곡도 곳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