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갈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3)
사전(103)
- 갈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너비보다 길며, 계속적인 사용에 의하여 갈판과 맞닿는 한쪽 면이 평탄해지고 갈판과 닿지 않는 양쪽 끝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것이 많다. 갈돌의 단면은 반달형과 렌즈형이 많고, 장타원형‧활형‧삼각형의 것도 있다. 석재는 사암‧운모편암과 함께 화강암도 많이 사용된다. ...이칭별칭석봉(石棒)
- 갈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선사시대와 청동기시대에 사용된 조리용(調理用) 석기.정의선사시대와 청동기시대에 사용된 조리용(調理用) 석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ldol | MR표기kalto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갈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곡물이나 야생열매를 부수어서 가는 데 사용하던 석기. [내용] 밑에 놓인 갈판은 갈판 위에서 음식을 가는 데 사용하는 갈돌과 한 짝을 이루어 쓰인다. 갈판은 사용으로 인하여 중앙부분이 옴폭하게 패어 자른 면이 말
- 주먹도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전기구석기시대에 초퍼(chopper)‧초핑툴(chopping-tool)로 대표되는 자갈돌석기문화가 있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1978년 5월 우리 나라 전곡리유적에서 이 주먹도끼문화가 발견되어 학계에 보고되었다. 주먹도끼는 중기구석기와 후기구석기시대에도...이칭별칭양면핵석기
- 강릉포남동주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탄화(炭化)된 기둥구멍이 있다. 다른 선사시대 집터에 비해 큰 편이며, 더욱이 출토된 유물이 풍부하고 다양하여 주목할 만하다. 유물은 주로 중심에서 동쪽과 서쪽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종류는 갈판‧반달돌칼‧돌도끼‧돌칼‧갈돌‧돌낫 등의 농경구와 가락바퀴‧돌살촉...
고서·고문서(12)
- 야치콥치 쿠르간 68호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C4세기중엽 원형 1.5** 숫돌 1점, 자갈돌 2점 서부 RU008대표표제어야치콥치 쿠르간 68호 | 발굴조사연대불명 | 고분군야치콥치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BC4세기중엽
- 이바흐니 우만 쿠르간 4호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초 BC5~4세기초 원형 1.5** 자갈돌 6점 뚜르개 1점 관 편 서부 RU008대표표제어이바흐니 우만 쿠르간 4호 | 발굴조사연대불명 | 고분군이바흐니 우만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BC5~4세기초
- 키르피치니 쿠르간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티젠가우젠 V.G.) 1865 BC2천년 BC2천년 지하식 지팡이의 머리, 갈판, 갈돌 도자, 송곳 서부 RU024대표표제어키르피치니 쿠르간 | 발굴조사연대1800년대 | 고분군키르피치니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BC2천년
- 그닐롭스카야 쿠르간 3호분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I.) 1904 BC2천년 BC2천년 원형 11.0*2.4 호석 지상식 1개체 갈판 2점, 갈돌 2점, 널판 2점 토기 1점 서부 RU024대표표제어그닐롭스카야 쿠르간 3호분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그닐롭스카야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BC2천년
- 수보로보 쿠르간 4호분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0 42.61.00 (네치타일로 A.L.) 1963-1964 1-2차: BC20~11세기 1-2차: BC20~11세기 18.0*1.0 2차 지상식 1차 카타콤 3개체 남 1개체 성인 갈판, 갈돌, 자귀 토기 4점 솥,...대표표제어수보로보 쿠르간 4호분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수보로보쿠르간 | 무덤조성연대1-2차: BC20~11세기
구술자료(1)
- 1.4 후퇴 때 피난 나온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그래서 춘천고등학교를 갔는데, 고등학교가서도 1학년때는 그 학교 짓느냐고, 그 소양강 가 갔고 자갈돌 주웠어. 오전공부만 하고 오후에는 가는 거야. 왜냐면 쎄멘트나 유리나 이런 목재 같은 거는 걔네들이 주지만, 이제 자갈같은 인건, 우리 학교에서 대야 되거든. 그러니조사지역경기 안산 | 조사일2012년 2월 14일
기초학문(3)
- 신석기시대 여서도 패총 유적 자갈돌석기의 고고학적 의미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건수, 게재일 : 200826206 김건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8 신석기시대 여서도 패총 유적 자갈돌석기의 고고학적 의미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동북아시아 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43619 한국연구재단 학연문화사 2003 동북아시아 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시베리아 돌날석기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한반도 자갈돌석기전통의 연속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헌종, 게재일 : 200850324 이헌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8 시베리아 돌날석기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한반도 자갈돌석기전통의 연속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2)
- 황해일보_1952_0917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번 파종면적확인 사업이 틀렸소. 자는 면적을 속일 수 없소. 조밭은 420평이요...』 박보비 동무는 조 실파면적을 420평으로 고쳐 기록하고 수수밭 면적을 409평으로 줄였다. 그들은 이렇게 정확한 면적을 확인하고 있다. 그 후에 작항을 갈돌아 보면서 중심지를 선택하...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917_03 | 책임주필김원선
- 해방일보_1950_0720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길로 동굴동굴한 자갈돌을 밟으며 기관차들이 여기저기 연기를 토하는 광경을 믿음직스레 돌아보았다. 『오늘 아침신문에 난 기사 보셧소, 동무? 우리 철도직맹 동무들이 기관차를 십 여대나 새로 수리해 냈다는거······』 앞서 가던 백동무가 우리를 뒤돌아보면 자랑스럽게 말했...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720_02_01
멀티미디어(1)
- 4) 7호(5~10) 건물지 출토유물(토기-2, 3, 4).JPG ss1-0283_10 유물 도판 99. 7호 건물지 출토유물(갈돌-13) 2014-10-09_0.5301935_도판 99. 7호 건물지 출토유물(갈돌-13).JPG ss1-028제목통영 안정리 유적 - 고려 역지 조사보고서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21)
- 충주 금릉동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은 1~3단이 남아 있으며 길이 20~38㎝, 너비 15~25㎝ 크기의 막돌과 강자갈돌을 이용하여 쌓았는데, 1단은 비교적 큰 돌을 가로쌓기를 하되 끝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쌓았고, 2~3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은 돌을 사용하여 쌓았다. 남벽은 2~3단이 남아 있으며 북...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횡성 화전리 청동기‧철기시대 집자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부에서는 백자편이 발견되었다. Ⅱ지구에서는 조선시대 유구는 모두 9기가 조사되었다. 평면형태는 네모나 긴 네모꼴이며 남북방향으로 놓여 있다. 내부에는 잘 치석되거나 부정형의 판석이 무질서하게 놓여 있고 강자갈돌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 사이사이에는 20㎝ 정도의 두께...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강원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강원도
- 보령댐 수몰지구 도요지 발굴 조사 보고-용수2호요지 발굴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5~6cm 두께이고, 하부는 잔 자갈돌이 깔린 생토이다. 요상(窯床)의 하부도 잔돌이 전면에 깔려 있는 생토로, 생토 위에 진흙을 깔고 모래를 조성하였다. 용수리 2호 요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청자류와 분장자류(粉粧磁類) 등이 있다. 기종상 대접, 접시, 잔, 완,...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한국수자원공사/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제천 하소동 아파트 신축부지 내 제천 하소동 안골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1기 등 모두 4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이 중 고려시대 석곽묘는 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남사면 중단부에 조성되었으며 장축방향은 북서-남동방향으로 진행하는 능선방향과 직교하게 축조되었다. 축조방법은 먼저 묘광을 굴착한 후 20~40cm크기의 할석 또는 자갈돌을 이용...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마산합포성지기초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할석을 쌓았다. 내외벽간의 적심석은 양벽 가장자리 부분 2m씩은 대소석(大小石)을 퇴적층처럼 교대로 쌓았으며, 중간부분은 그저 자갈돌로 채운 형태이다. 이 경우 양 가장자리의 대석들은 침석(枕石)의 역할을 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 치(雉)는 북문지의 서쪽에 위치...발행연도1991 | 발굴기관동아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9)
-
갈돌 / [역사/고대사]
갈판과 닿지 않는 양쪽 끝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것이 많다. 갈돌의 단면은 반달형과 렌즈형이 많고, 장타원형·활형·삼각형의 것도 있다. 석재는 사암·운모편암과 함께 화강암도 많이 사용된다.
-
강릉포남동주거지 / 江陵浦南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집터 유적. 유물은 주로 중심에서 동쪽과 서쪽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종류는 갈판·반달돌칼·돌도끼·돌칼·갈돌·돌낫 등의 농경구와 가락바퀴·돌살촉·간돌칼·청동살촉·철편·숫돌·토기파편 등의 생활용구가 있다. 이 중에서 특기할 것
-
강진영복리지석묘 / 康津永福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돌널이 있고, 덧널〔墓槨〕은 잡석이나 할석(割石)으로 짜고, 바닥에는 대부분 자갈돌을 깔고 있다. 돌널 크기는 고인돌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길이 100∼180㎝, 너비 30∼40㎝, 깊이 30∼60㎝ 정도이다. 긴축(長軸)방향이 모두 남북으로 일치한 가운데 시신의
-
남양주수석리주거지 / 南楊州水石里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옛 양주군 미금면 수석리)에 있는 청동기 후기의 주거지. 유물은 석기ㆍ토기뿐이다. 석기에는 타제석부ㆍ석창ㆍ단인석부ㆍ갈돌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냇돌로 만든 타제석부가 많은 것이 주목된다. 그것은 이 한강변 신석기시대 석기의 전통이 반영된 점에서
-
돌망치 / stone hammer [역사/선사시대사]
둥근 자갈돌 형태와 손잡이가 달린 망치와 비슷한 막대형이 있다. 청원 소로리 유적, 보령 관창리 유적, 양구 상무룡리 유적, 안산 월피동 고인돌 등에서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