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간택” 에 대한 검색결과 6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0)

사전(36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비ㆍ왕세자빈ㆍ부마(駙馬) 등 왕실의 배우자를 뽑는 의식. 왕실의 혼례가 있으면 국가에서는 금혼령을 내리고 결혼 적령기에 있는 처자를 대상으로 처녀 단자를 올리게 하였다. 이 단자에서 일정한 수의 후보를 뽑아 궐내에서 직접 관찰한 후 신부를 뽑았는데 초(初),...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실에서 혼인을 치르기 위해 여러 사람의 혼인후보자들을 궐내에 모아놓고 왕 이하 왕족 및 궁인들이 나아가 직접 보고 적격자를 뽑던 행사. [내용] 조선건국 초까지만 해도 이와 같은 제도는 없었으며 비빈(妃嬪)을 구할 경우에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택을 구함.
    정의은택을 구함.[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antaek | MR표기kant’ae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J6_S_0002 國昏 왕조례 聚集, 親閱, 駙馬, 瞽媒, 草屨, 草經, 士大夫, 子女, 闕庭, 親揀, 王女, 下嫁, 夫家, 平人, 伸敬, 驕惰 我朝 太宗, 李續 S_09_01_70 성호사설 9권 1장 70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례(嘉禮), 길례(吉禮) 삼간(三揀), 삼택(三擇) 연세단자(年歲單子), 재(再), 초(初) 왕실왕실의례/가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박현숙 [정의] 왕...
    상위어가례(嘉禮), 길례(吉禮) | 동의어삼간(三揀), 삼택(三擇) | 관련어연세단자(年歲單子), 재간택(再揀擇), 초간택(初揀擇)

단행본(2)

  • (조선왕실의 일상 2)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09.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조선시대의 왕비 (1) 왕비의 위상과 역할 (2) 왕실 여성의 위계와 왕비의 궁중생활 (3) 다양한 왕비의 모습들 2. 왕비의 과 책봉 (1) 만민을
  • (조선왕실의 행사 2)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
    저자 : 신병주(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박례경(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송지...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1.14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령과 (2) 별궁의 활용 (3) 육례의 절차 (4) 음악과 의장 3. 조선 왕실의 시기별 혼례식 (1) 조선 왕실 혼례식의 개관 (2)

고서·고문서(225)

  • 의대 발기(三 衣襨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계미년 부마기(駙馬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 人事門3_國昏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國昏 我朝國昏, 其始無聚集親閱之規. 世傳, 太宗欲以李續之子爲駙馬, 使瞽媒池池: 와세다대본에는 ‘池’ 뒤에 ‘和往’이 있다. 訪之, 續方對客圍棋, 只云“業草屨, 合用草經”, 謂其相稱方好. 上大怒, 籍續家, 令其子不得娶. 於是令士大夫子女聚入闕庭, 親揀爲式云. 夫王女下...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가례시 물품 발기(嘉禮時 物品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처자의차 발기(處子衣次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구술자료(2)

  • 대원군의 자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다시 김형기 제보자에게 이야기를 청하자 청중이 돌아가면서 해야한다고 하여 권병주 제보자에게 한자리 들려 달라고 부탁했다. 제보자는 “그럽시다□하며 쾌히 응했다. 이때 밖에서는 굵은 빗줄기가 내리고 있었다. *
    조사일시1984-08-27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영원면 | 제보자권병규
  • 명성왕후 예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조의 계비와 충청도 이주서’란 이야기가 있냐고 물어보니, 잘 모르겠다고 하면서 왕들의 ‘조’와 ‘종’에 관한 설명을 해주었다. 그러 고는 옛날에 자기가 한 이야기를 많이 잊어버렸다고 하면서 생각에 잠겼다. 다시 조사자가 명성황후에 관한 이야기를 해달라고...
    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나주시 반남면 대영리 구영마을 산 8번지 나종삼 씨 댁 | 제보자나종삼

기초학문(1)

  • 1681년(숙종 7) 국왕 嘉禮시 處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미선, 게재일 : 2007
    41846 이미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681년(숙종 7) 국왕 嘉禮시 處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32)

  • 退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비 간은 음력팔월 초오일이오 삼간은 음력 십월 이십일일로 퇴뎡 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退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비 간 일를 퇴뎡엿는데 간은 음력본월이십륙일이오 삼간은 음력팔월초오일노 작뎡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退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영친왕비 일 음력칠월십구일노 퇴뎡되얏더라
    게재일1907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吉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쟝례원에셔 간일 상 쥬얏데 초간은음력 오월십삼일이오 간은음력칠월 십일이오 삼간은 동월 이십이일인데 쳐분을나리시기간 에 쳐녀복은 면쥬나모시의복에 지나지말고  단쟝은 분만바르고 셩젹은지말나압셧더라
    게재일1906년 5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處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영친왕부인 쵸간 쳐쇼 쥰명당으로 뎡고 쳐츌입문은 양문으로 뎡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4)

  • 정건택;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575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평양사범학교 졸업기념 1936 6면 1. 강습과 주소록;3) 3조 정건택;鄭 평남 용강군 서화면 동상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건택;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0202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73면 1. 숭전·숭실 졸업생;3) 다, 자行部 정건택;鄭 용강군 서화면 동상리 3...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당 玄宗이 渤海郡王 大欽茂을 冊封한 글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응당 이 짐을 짊어져야 하리라. 어찌 적자라고만 해서 세웠겠는가. 현자를 함도 있으리라. 휴문(休問)도 좋거니와 寵章도 미쳐야만 하리라. 이에 그대를 발해군왕으로 명하노니 그대 가서 훌륭히 하라! 영원히 번국으로서 병장(屛長)이 되어주고 충성과 신의를 길이 확보하고...
    대표표제어당 玄宗이 渤海郡王 大欽茂을 冊封한 글 | 주제분류외교문서
  • 63. 황궁의 장례식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확실한 약혼녀 쪽에 줄을 서려는 야심들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된 약혼녀는 가정과 친구들과 후견인들에게 권세와 명예와 부에 이르는 가장 확실한 수단을 안겨주니까요. 해결해야 할 세 번째 난관은 망자의 장례식에 드는 비용 문제입니다. 비용은 한화로 백만 냥(약 12...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작성연도1908년 | 작성월일11월 15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 왕실여성과 정치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미선 | 한신대학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3)

  • / [정치·법제]

    조선시대 왕실에서 혼인을 치르기 위해 여러 사람의 혼인후보자들을 궐내에 모아놓고 왕 이하 왕족 및 궁인들이 나아가 직접 보고 적격자를 뽑던 행사. 조선건국 초에는 제도는 없었다. 비빈을 구할 경우 상궁을, 부마는 감찰로 하여금 각각 예정된 처녀·동남의 집으로 가서

  • 왕후초기 / 王后抄記 [정치·법제]

    인조의 계비인 장렬왕후부터 순종의 비 순명비까지의 출생일과 금혼, 초, 재, 삼, 납채, 납징 등 혼례 과정과 날짜를 기록한 문서. 각각 친영의 아래에 대리월, 방매씨 등 여성의 생년을 기준으로 혼인하기 좋은 달을 가취월에 첨지를 부착하여 기재하고 있다.

  • 순원왕후 / 純元王后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비(1789∼1857). 안동김씨 영안부원군 조순의 딸이다. 1800년(정조 24) 초ㆍ재을 거쳐 정조의 뜻이 결정되었다. 1802년(순조 2) 10월 왕비로 책봉되었다.

  • 인원왕후 / 仁元王后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계비(1687∼1757). 김남중의 3대손, 주신의 딸이다. 숙종의 계비이다. 1701년(숙종 27) 인현왕후 민씨가 죽자, 되어 궁중에 들어가 다음해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자식은 없고, 사후에 정의장목으로 시호가 올려졌다.

  • 빙재 / 聘財 [정치·법제]

    국혼 때 왕비 또는 세자빈에 된 집에 혼사를 위해 보내는 재물. 국혼에서 빙재는 대부분 삼을 마친 다음 날에 신부 집에 보냈다. 영조 25년(1749)에 편찬된 <국혼정례>에 의하면 왕비의 혼례에서는 정포 250필, 정목 250필, 백미 200석, 황두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