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간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9)
사전(288)
- 오식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연환경] 해안과 그 주변에는 해안사구와 넓은 간석지가 분포하는데, 이는 금강의 토사가 남쪽으로 흐르는 연안해류에 의하여 이동ㆍ퇴적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1919년 이래 간석지들을 간척하여 내초도(內草島)를 지나 비응도까지 육지에 연결되었고, 오식도까지는 전부...
- 간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개량하여 농업용지‧공업용지 및 주택용지 등을 만드는 일. [내용] 간척은 공사의 성격과 토지에 대한 조수(潮水)의 유무에 따라 무감조지간척(無感潮地干拓)과 감조지간척(感潮地干拓)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감조지간척은 호수와 늪 또는 하천연...
- 간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분은 양인(良人)이나 천한 일에 종사하는 사람. [내용] 화척(禾尺)‧양수척(楊水尺, 또는 水尺)‧봉화간(烽火干) 등 대개 어미(語尾)에 ‘간’ 또는 ‘척’자를 붙여 부르던 부류의 사람들로 그 유래는 매우 오래이다. 후삼국시대부터...
- 간척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편지. 中原亦見君書 .廢竿尺未有答 卽又承委札 卽是新年替面 又且平信 慰幸當如何, 이가환(李家煥), 44-9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간척(干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간척 간척 干戚 둑제(纛祭), 무무(武舞),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일무(佾舞),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문화예술/음악 물품 도구 대한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현재 고려 예종~현재 이숙희관련어둑제(纛祭), 무무(武舞),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일무(佾舞),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단행본(1)
- 간척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저자 : 양선아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40226간척은 해안, 하천변, 늪지, 호수 등의 수면을 육지로 만드는 일로,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져 왔다. 한국은 간척 면적이나 규모, 역사 등 여러 면에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간척 국가이다. 한국의 전체 간척 역사에서 20세기는, 시간적 비중은 짧지만 간척 면적과 규모, 제...
고서·고문서(125)
- 大師摯適齊,亞飯干適楚,三飯繚適蔡,四飯缺適秦,鼓方叔入於河,播鼗武入於漢,少師陽ㆍ擊磬襄入於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40 論語古今注 卷十 ITKC_MP_0597A_0440_010_0090 大師摯適齊,亞飯干適楚,三飯繚適蔡,四飯缺適秦,鼓方叔入於河,播鼗武入於漢,少師陽ㆍ擊磬襄入於海。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권차명論語古今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江原道庄土文績_제11책 : 江原道華川郡勸物面所在庄土ニ關スル圖書文績類 79. 光緖十八年壬辰十一月十一日金生員宅奴老迪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강원 화천 간척/하간척 吾陰社小龍峴/風月巖上員/楡村前谷 강원도 화천(군/현) 간척/하간척(면/방) 吾陰社小龍峴/風月巖上員/楡村前谷 토지 3 藏 답 70결 전문 전문 4480냥 19304_11.pdf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萬物門2_苔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石亦苔久, 則剝落也. 人苔, 所謂“䵟刺”, 是也. 面之赤色, 火氣爲主, 故䵟刺生, 而其根極深, 如金之繡苔也. 心無形體, 其亦有苔歟? 曰: “有. 物欲, 是也.” 欲亦有根, 著之丹田, 去之最難.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江原道庄土文績_제11책 : 江原道華川郡勸物面所在庄土ニ關スル圖書文績類 49. 道光參拾年庚戌二月初六日幼學申綱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4.5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50년(철종 1) 2월 6일 童蒙 吳福萬 답주 童蒙 吳福萬 답주 申綱 幼學 申綱 幼學 吳源奎 吳源奎 강원 화천 간척 古者外 강원도 화천(군/현) 간척(면/방) 古...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江原道庄土文績_제11책 : 江原道華川郡勸物面所在庄土ニ關スル圖書文績類 77. 奴道今處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4.7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첨지 1장 壬辰년 11월 12일 上典 朴 上典 朴 道今 奴 道今 奴 강원 화천 간척 吾音寺小龍峴員/楡村前谷/風月巖上 강원도 화천(군/현) 간척(면/방) 吾音寺小龍峴員/楡村...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2)
- 법성포가 간척될 것을 예견한 소금장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와 제보자들이 법성포의 규모에 대해 대화하는 중에 관련된 이야기를 구연했다. #청중은 여자노인회장 윤애덕이다. 처음에는 제보자의 말에 이의를 제기하다가, 이야기의 진의를 파악하고 수긍했다.조사일시2009. 3. 7(토) | 조사장소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리 449번지 여자노인정 | 제보자탁금례
- 피난을 거쳐 평택에 정착한 사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에서 다시 전주수용소로 간다. 2달 정도 피난을 하다가 외가가 있는 영천으로 갔으나 먹을 것이 없어 고생한 다. 개구리를 잡아서 먹거나 배급으로 연명한다. 피난민으로 먹고 살 길이 막막하였는데 평택에서 정부에 신청하여 30만평을 간척하면 몇 평씩 나눠 준다는 말을 듣고조사지역경기 평택 | 조사일2014년 6월 24일
- 생사를 초월한 탈출과 운명적인 만남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아직까지 알지 못한 다. 26세에 결혼하였고 자식은 4남매를 두었다. 집 앞에 있는 바다를 간척하여 논을 만들만큼 의지 와 노력이 대단하고 마음먹은 것은 꼭 성취해내는 성격이다. 고향이 황해도인데 아버지가 김일성 암살계획에 연류 되어 공개처형을 당하자 피난을 나온다.조사지역충남 태안 | 조사일2014년 3월 30일
- 이가영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된 6.25 전쟁 발발로 피난길에 오름 5. 피난하여 정착한 장흥에서 경운기를 구입하여 농사를 지음 6. 간척지에 필요한 기계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여 간척지 작업장 등을 돌아다니며 기계 수리 일을 함 7. 미장 등 기술이 뛰어났던 아버지는 옹진에서 직접 집을 지었음 8구술자이가영 | 직업간척사업장 근무 | 지역황해도
- 서동휘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보내다가 전쟁으로 홀로 남하 -생사를 오갔던 제2국민병 생활과 막노동 생활 -장흥 난민정착사업장 간척 공사에 종사, 원조물자 배분과 착복 문제 -이북에서 홀로 내려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남한 정착 -이북에 살던 시절과 고향 생각 -쉽지 않았던 이남에서의 삶구술자서동휘 | 직업무직 | 지역황해도
기초학문(15)
- 시간척도, 정보비대칭성, 무리행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성민, 게재일 : 200724148 윤성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금융학회 2007 시간척도, 정보비대칭성, 무리행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새만금간척개발사업과 어민문화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8475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인류학회 2004 새만금간척개발사업과 어민문화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유형논문 | 게재일2004
- GIS를 이용한 증도의 간척과정과 공간변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병채, 게재일 : 200626120 문병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6 GIS를 이용한 증도의 간척과정과 공간변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6
- 19~20세기 비금도 간척지의 조성과 이용 실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72338 한국연구재단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19~20세기 비금도 간척지의 조성과 이용 실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조선후기 간척지의 소유와 운영 - 경기도 안산 인천 석장둔 사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영호, 게재일 : 200925011 이영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조선후기 간척지의 소유와 운영 - 경기도 안산 인천 석장둔 사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0)
- 우리들_1966_01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의 창조-아시아, 태평양지역 각료회이의 성과 이원우 16 개간과 간척-자조근로사업에 의한 개간 및 간척 김원규 18 개간과 간척-간척, 개간사업...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기술협력_1973_09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국제 기술협력 뉴스-재외 한국인 과학기술자 유치 7 우리나라 농수산물 건조가공업의 오늘과 내일 민병용 8 화란 간척사업의 개황 박정...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3
- 기술협력_1971_07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Zuider zee 사업을 중심으로 한 Nederland의 간척 강신업 38 충남 하기 전염병 관리 정갑순 44 한국 내화물 공업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사목_2003_29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6 상여를 자주 메는 농촌 사목자 김승오 47 새만금 간척사업과 NEIS를 어떻게 볼 것인가 엄재중 5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2003
- 농검월보_1965_07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간척지수도재배요령 홍기욱 2 과즙제조와 그 전망 유태종 5 경...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멀티미디어(61)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1) 단기간에 눈부신 고도성장을 이룩한 한국경제의 성과와 그 과정에서 축적된 문제점을 이해한다. (2) 현 시점 한국경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1) 단기간에 눈부신 고도성장을 이룩한 한국경제의 성과와 그 과정에서 축적된 문제점을 이해한다. (2) 현 시점 한국경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1) 단기간에 눈부신 고도성장을 이룩한 한국경제의 성과와 그 과정에서 축적된 문제점을 이해한다. (2) 현 시점 한국경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1) 단기간에 눈부신 고도성장을 이룩한 한국경제의 성과와 그 과정에서 축적된 문제점을 이해한다. (2) 현 시점 한국경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1) 단기간에 눈부신 고도성장을 이룩한 한국경제의 성과와 그 과정에서 축적된 문제점을 이해한다. (2) 현 시점 한국경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기타자료(17)
- 최간석;崔侃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1929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50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3) 제31회 154명(1935년 3월 졸업) 최간석;崔侃錫 (주소 및...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간석;崔侃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7994 북한 평남 평양의학전문학교 평양의학전문학교일람 1935 93면 1. 제10 생도;1) 1. 씨명 (50음순);(4) 제1학년 최간석;崔侃錫 평북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간석;崔侃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647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50면 (33) 제31회 154명(1935년 3월 졸업) 최간석;崔侃錫 北京市 外二區 西河沿 81 和平의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석대;張錫大;장간석대;張間錫大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4230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17면 장석대;張錫大;장간석대;張間錫大 제5회 1916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나상기;羅相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6294 남한 전북 이리농림학교 2-38 계림 4호 1905―04―13 149면 나상기;羅相基 충청남도;황해도 연백군 延安鮮滿開拓會社 干拓部 2 1926년 3월 10일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이리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도서 연안 공동체 관계 문서의 수집과 DB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창현 | 목포대학교 | 2023 | 국내 | 전남
주제어사전(43)
-
간척 / 干拓 [경제·산업/산업]
개량하여 농업용지·공업용지 및 주택용지 등을 만드는 일. 간척은 공사의 성격과 토지에 대한 조수(潮水)의 유무에 따라 무감조지간척(無感潮地干拓)과 감조지간척(感潮地干拓)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감조지간척은 호수와 늪 또는 하천연안의 낮은 지대로서 바닷물의 영향이 없는
-
간척촌 / 干拓村 [지리/인문지리]
해면·호소 등의 간석지 수면에 방조제를 축조하여 내측의 매립지를 간척하여 조성한 토지를 대상으로 영농하는 마을. 간척촌이 간척지를 대상으로 그 토지를 이용하여 자원을 생산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한 취락이므로 새로 얻어진 토지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농경지개간, 염전
-
계화도간척지 / 界火島干拓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일대에 조성된 간척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계화 대신 ‘계건이(界件伊)’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계화라는 지명의 유래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계화도 간척지는 2006년 새만금 간척사업의 일환인 방조제 물막이공
-
새만금간척사업 / ─干拓事業 [경제·산업/산업]
부안∼군산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 33.9km를 축조하여 간척토지 28,300ha와 호소 11,800ha를 조성하고 여기에 경제와 산업·관광을 아우르면서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비상할 녹색성장과 청정생태환경의 ‘글로벌 명품 새만금’을 건설하려는 국책사업. 1987
-
궁시무 / 弓矢舞 [예술·체육/무용]
둑제(纛祭)의 아헌 때에 활과 화살을 들고 추던 춤. 둑제는 경칩·상강에 거행되었으며 잔을 올릴 때 「납씨가(納氏歌)」를 노래하는데, 초헌에는 「간척무(干戚舞)」, 종헌에는 「창검무(槍劍舞)」를 추었다. 철변두(撤籩豆)에는 「정동방곡(靖東方曲)」을 노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