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간의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2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9)

사전(186)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하이다. 호서 땅에 사오십 명이 모여서 임금에게 반역할일을 모의하고 불구에 기병하리라 하고 사자가 문서를 가져오자, 그를 가두고 임금께 그 사연을 아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4품 관직. [내용] 원래 목종 때에 좌우가 있었으나, 문종 때 관제가 정비됨에 따라 인원은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116년(예종 11)에 조서를 내려 각품반행의 행신(行臣)인 본품행두(本品行頭)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하성의 정4품 관직. [내용] 좌와 그 성격은 동일하다. 목종 때 를 좌우로 나누면서 설치하였는데, 문종 때 그 인원을 1인으로 하고 정4품직으로 하였다. 1116년(예종 11)에 본품의 행두(行頭)에 세웠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관직. [내용] 정원은 1인. 성종 때 이미 의 존재가 보이나, 이때부터 좌와 우로 나뉘어 있었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목종 때에는 좌가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 때에 정4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중서문하성‧도첨의사사‧문하부의 정4품 관직.
    정의고려시대 중서문하성‧도첨의사사‧문하부의 정4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uganui daebu | MR표기uganŭi tae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85)

  • 漢嚴光辭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220 漢嚴光辭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送別金公【翰東】還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1530 送別金公【翰東】還山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4690 중국 문집 하남집 001 기타 河南集16 故太中大夫右上柱國南陽縣開國男食邑三百戶 賜紫金魚袋贈太傳韓公墓誌銘 公諱國華 字某 其先深州博野人 世衣冠舊族四代祖又賓當王景崇襲有鎭冀四州佐其府累官檢校太子左庶子兼御史中丞景崇於河朔諸鎭中輸貢最爲恭順...
    국가중국 | 서명하남집 | 왕대기타  
  • 5349 중국 정서 고려도경 王氏 016 문종(文宗) 32 1078 元豐元年 命左安燾 爲國信使 起居舍人陳睦副之 自明州定海 絶洋而往 時徽病風痺 僅能拜命 且乞醫藥 上覽其奏從之 5대ㆍ송, 『고려사』 세가 문종 32년(107...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문종(文宗)  32
  • 5351 중국 정서 고려도경 王氏 018 순종(順宗) 0 1083 六年 運立 命左楊景略 爲祭奠使 禮賓使王舜封副之 右錢勰 爲弔慰使 西上閣門副使朱球副之 七年七月 自密之板橋 航海而往 5대ㆍ송, 본문에 元豐 6년(10...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순종(順宗)  0

기타자료(8)

  • 당이 주자사를 보내 삼국이 화호하도록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과 여러 번 옮겨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로 삼았다. (󰡔新唐書󰡕 198 列傳 123 朱子奢) 【번역】 정관(627~) 초에 주자사가 고려와 백제에 이르러 󰡔춘추󰡕를 제목으로 강의하였다. (󰡔玉海󰡕 153 朝貢 外夷來朝 內附) 【번역】...
    대표표제어당이 주자사를 보내 삼국이 화호하도록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7년(丁亥/신라 진평왕 49 建福 44/고구려 영류왕 10/백제 무왕 28/唐 貞觀 1/倭 推古 35)
  • 당의 주자사가 『춘추좌씨전』을 강의하고 미녀를 선물로 받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散官直國子學)과 여러 번 옮겨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로 삼았다. (『新唐書』 198 列傳 123 朱子奢) 【번역】 정관(627~649) 초에 주자사가 고려와 백제에 이르러 『춘추』를 주제로 강의하였다. (『玉海』 153 朝貢 外夷來朝 內附) 【원문...
    대표표제어당의 주자사가 『춘추좌씨전』을 강의하고 미녀를 선물로 받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27년(丁亥/신라 진평왕 49 建福 44/고구려 영류왕 10/백제 무왕 28/唐 太宗 貞觀 1/倭 推古天皇 35)
  • 당의 주자사가 백제에 와서 신라와 화친하게 하니 백제가 표문을 올려 사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를 아껴 산관직국자학(散官直國子學)과 여러 번 옮겨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로 삼았다. (󰡔新唐書󰡕 198 列傳 123 朱子奢) 【번역】 당나라 산기시랑이 고려를 설득하다. 【주자사전(朱子奢傳)에서 말했다.】정관 초년에 고려와 백제가 함께 신라를...
    대표표제어당의 주자사가 백제에 와서 신라와 화친하게 하니 백제가 표문을 올려 사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7년(丁亥/신라 진평왕 49 建福 44/고구려 영류왕 10/백제 무왕 28/唐 貞觀 1/倭 推古 35)
  • 당의 주자사가 백제에 와서 신라와 화친하게 하니 백제가 표문을 올려 사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아껴 산관직국자학(散官直國子學)과 여러 번 옮겨 ()·홍문관학사(弘文館學士)로 삼았다. (『新唐書』 198 列傳 123 朱子奢) 【번역】 당나라 산기시랑이 고려를 설득하다. 【주자사전(朱子奢傳)에서 말했다.】정관 초년에 고려와 백제가 함께 신라를 공격했는...
    대표표제어당의 주자사가 백제에 와서 신라와 화친하게 하니 백제가 표문을 올려 사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27년(丁亥/신라 진평왕 49 建福 44/고구려 영류왕 10/백제 무왕 28/唐 太宗 貞觀 1/倭 推古天皇 35)
  • 고구려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방물을 바치고 당나라가 사신 상리현장을 보내 신라를 공격하지 말 것을 고구려에 요구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대로 죽이므로, 원한이 가슴에 사무치어 길가에서도 눈짓을 한다. 천자가 군사를 내어 정벌하여 위로하고 죄인을 친다는 것은 모름지기 명분이 있어야 하는데, 그가 임금을 시해하고 아랫사람을 학살한 구실을 내세운다면 무너뜨리기가 쉬울 것이다.” () 저수량(遂...
    대표표제어고구려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방물을 바치고 당나라가 사신 상리현장을 보내 신라를 공격하지 말 것을 고구려에 요구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4년(甲辰/신라 선덕왕 13 仁平 11/고구려 보장왕 3/백제 의자왕 4/唐 貞觀 18/倭 皇極 3)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4품 관직. 목종 때에 좌우가 있었으나, 문종 때 관제가 정비됨에 따라 인원은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116년(예종 11)에 조서를 내려 좌우사의대부로 명칭을 바꾸었다.

  • 사의대부 / 司議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문하부의 관직. 1116년(예종 11)에 4품의 행두로 세웠고, 뒤에 좌우사의대부로 고쳤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다시 좌우로 고치면서 종4품으로 낮추었는데, 뒤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 고영신 / 高令臣 [종교·철학/유학]

    1045(정종 11)∼1116(예종 11). 고려 중기의 문신. 아들은 고식이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1097년(숙종 2) 우찬선대부, 1099년 이부낭중추밀원우승선을 역임하였다. 그 뒤 1101년 어사중승으로 동북면병마사가 되고 이어 형부시랑우에 올

  • 산기상시 / 散騎常侍 [정치·법제/법제·행정]

    , 1372년 좌우상시로 고쳤다. 주된 직능은 중서문하성 안에서 좌우, 좌우보궐·좌우습유 등과 함께 간쟁·봉박의 임무를 가진 낭사의 우두머리로서 간관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 이인로 / 李仁老 [문학/한문학]

    고려시대 예부원외랑, 비서감우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증조부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이오(李䫨)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기록을 볼 수 없다. 이인로는 25세 때에 태학에 들어가 육경(六經)을 두루 학습하였다. 1180년(명종 10) 29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