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간석기”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 [개설] ‘마제석기(磨製石器)’라고도 한다. 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점성(粘性)이 강한 석재를 골라 격지[剝片] 또는 몸돌[石核]을
    이칭별칭마제석기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
    정의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nseokgi | MR표기kansŏk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돌망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타격시에 강자갈의 껍질이 떨어져 나가 군데군데 상처가 나 있다. 중기구석기시대부터 보편적으로 사용된 석기이다. 돌망치는 석기를 만드는 연장으로 쓰이는 것과 음식물을 깨거나 부술 때 사용한 것이 있다.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를 만들기 위해 미리 마름질할 때...
    이칭별칭석퇴(石槌)|망칫돌
  • 잔석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도 있는데, 이를 기하학형 잔석기라 부른다. 형태에 따라 대형(台形)‧삼각형‧반달형[半月形] 등이 있으며, 자루 부분도 발굴‧조사에 의해 발견된다. [내용] 잔석기의 사용은 중석기시대 이후 신석기시대 초기까지도 계속되었지만, 가 풍부하게 만들어지면...
    이칭별칭세석기(細石器)
  • 서산휴암리선사유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리와 지표조사를 통해 많은 빗살무늬토기들이 찾아졌는데, 무늬는 모두 생선뼈무늬를 새긴 것으로서 대체로 ‘시도식’으로 분류될 수 있겠으며, 그 시기는 이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석기는 대부분 (磨製石器) 계통이기 때문에 모두 청동기시대의 유물로 분류되었으나 빗살...

주제어사전(4)

  • / ─石器 [역사/선사시대사]

    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 ‘마제석기(磨製石器)’라고도 한다. 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점성(粘性)이 강한 석재를 골라 격지[剝片] 또는 몸돌[石核]을 쓰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대략 정형(整形)한 뒤

  • 간돌도끼 / [역사/선사시대사]

    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 인류역사상 도끼는 뗀돌도끼(타제석부)에서 간돌도끼(마제석부), 청동도끼(靑銅斧)를 거쳐 철도끼(鐵斧)로 발전하고 있다. 선사문화에 있어서 신석기시대라는 개념은 의 출현을 기준으로 설정되었고, 간돌도끼는 이 시대의 가장 대표

  • 돌망치 / stone hammer [역사/선사시대사]

    망치의 기능을 갖고 있는 모든 석기. 돌망치는 석기를 만드는 연장으로 쓰이는 것과 음식물을 깨거나 부술 때 사용한 것이 있다.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를 만들기 위해 미리 마름질할 때 돌망치를 사용한 것들이 있다. 돌망치의 유형으로는 손에 쥐기에 알맞은 크기로 된

  • 신석기시대 / 新石器時代 [역사/선사시대사]

    선사시대의 시기구분상 인간이 〔磨製石器〕를 생활도구로 사용한 시대. 석기시대의 시대구분상 구석기·중석기시대를 이어 나타난 마지막 단계이다. 인류가 지구상에 나타난 것은 늦어도 지금으로부터 200만년 전인 홍적세 초로 추정되고 있다. 이 홍적세는 기후 변동이 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