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간두령”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8)

  • 가지방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울로 방사상의 여덟 가지 끝에 방울이 달린 팔주령, 장대 끝에 끼우는 포탄모양의 (竿)이 있는데, 이 네 종류 가운데 환상쌍두령을 제외하고는 모두 쌍을 이루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두 종류의 쌍두령은 충청남도 덕산, 강원도 원주, 경상북도 상주에서 발...
    이칭별칭쌍두령(雙頭鈴)|팔주령(八珠鈴)
  • 청동방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 [개설] 청동기시대 말기~초기철기시대에 제사장 혹은 군장이 종교의례에 사용하였던 무구(巫具)로서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竿) 등...
    이칭별칭청동령(靑銅鈴)
  • 쌍두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珠鈴)‧(竿)‧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과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쌍두령을 포함한 동령들은 그 형태가 독특하며 지역적으로도 한반도에만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청동기이다. 다만, 무늬에 있어서 북방문화와의 관련성을 보이고 있...
    연계항목쌍두령(雙頭鈴)
  • 전충남출토청동방울일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청동기시대의 청동제 유물. [내용] 팔주령(八珠鈴) 1쌍, 쌍두령(雙頭鈴) 1쌍,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1점, (竿) 1쌍. 국보 제255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개골의 남연군묘(南延君墓) 근처의...
    연계항목전충남출토청동방울일괄(傳忠南出土靑銅방울一括)
  • 강원도출토일괄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청동기시대의 일괄유물. [내용] 국보 제146호. 호림미술관 소장. 의기(儀器)로 사용된 각종 방울들로서 (竿) 2점, 쌍두령(雙頭鈴) 2점, 조합식 X자형 쌍두령 1점, 팔두령(八頭鈴) 2점으로 된 일괄유물이다. 원래...
    연계항목강원도출토일괄유물(江原道出土一括遺物)

고서·고문서(4)

주제어사전(4)

  • / 竿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말기∼초기 철기시대에 제사장이나 지배자가 사용했던 무구(巫具). 이 시대의 제사장이나 지배자들은 자신의 정치·사회·종교적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손에 들거나 짚었던 지팡이나 막대끝에 방울 모양의 장식을 끼워 사용하였다. 은 가늘고 긴 장대의 머리

  • 청동방울 / 靑銅─ [역사/선사시대사]

    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 청동기시대 말기∼초기철기시대에 제사장 혹은 군장이 종교의례에 사용하였던 무구(巫具)로서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竿) 등이 있다.

  • 가지방울 / [역사/선사시대사]

    상의 여덟 가지 끝에 방울이 달린 팔주령, 장대 끝에 끼우는 포탄모양의 (竿)이 있는데, 이 네 종류 가운데 환상쌍두령을 제외하고는 모두 쌍을 이루어 발견되고 있다.

  • 경주 죽동리 청동기 일괄 / 慶州竹東里靑銅器一括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면 죽동리 에서 출토된 초기철기시대의 청동제 유물일괄. 8종 34점. 보물 제1152 호.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보존상태는 모두 양호하다. 2점, 동모 1점, 세형동검 1점, 동과 1점, 동제검파두식 2점, 동제마구리장식 1점, 소동탁 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