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간경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1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

사전(10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물리치고 국역 증보판 ≪월인석보≫를 간행하였다. 이와 같은 간경사업의 경험을 살려, 불경 간행을 국가사업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왕권으로 을 신설하고 제도화하였다. 은 고려 때 한역 정장(正藏)과 교장(敎藏)을 간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대장도감(大藏都監...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기 세조(재위 1455-1468) 때 불경의 국역과 판각을 관장하던 관립기관.
    정의조선 초기 세조(재위 1455-1468) 때 불경의 국역과 판각을 관장하던 관립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n-gyeong Dogam | MR표기Kan’gyŏng T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감(都監) 경색(經色), 동국역경원(東國譯經院), 장경도감(藏經都監)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세조~성종 옥영정 1461년(세조 7) 6월 1471년(성...
    상위어도감(都監) | 관련어경색(經色), 동국역경원(東國譯經院), 장경도감(藏經都監)
  • 학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세조 때의 승려. [내용] 세조 때 여러 고승들과 함께 ()에서 불경을 훈민정음으로 번역, 간행하였다. 또 세조의 명을 받들어 오대산 상원사(上院寺)의 중창불사(重創佛事)를 감독하였는데, 이 공사는 14...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5년(세조 11) ()에서 국역하여 간행한 『원각경』. [내용] 문화재 지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보물 제970호 : 9권 5책. 목판본. 전 11권 가운데 권상1의 1, 권상2 의 1-3과 권하1의 1ㆍ...
    이칭별칭원각경

고서·고문서(1)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살 소상은 바로 의상이 손수 만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무자년(1468)에 요승 학열(學悅) 학열(學悅) : 조선시대 세조 때의 승려이다. 세조의 명을 받들어 ()에서 불경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간행하는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사찰의 불사(佛事)를 감...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남효온(南孝溫)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2)

  • 불경언해 사업의 또 다른 함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9472 한국연구재단 한말연구학회 2014 불경언해 사업의 또 다른 함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朝鮮時代 版『五杉練若新學備用』編纂과 그 意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용진, 게재일 : 2009
    24862 박용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민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09 朝鮮時代 版『五杉練若新學備用』編纂과 그 意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0)

  •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5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57 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 형태서지 大乘起信論疏筆削記 [性聰 編] [朝鮮] [韓國] ...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57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 | 서지형태형태서지
  •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5 牧牛子修心訣 목우자수심결 형태서지 牧牛子修心訣 [知訥 著] 高麗 韓國 1467年(世祖 13) 威化三年丁亥歲朝鮮...
    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5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금강반야경소개현초(金剛般若經疏開玄鈔)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금강반야경소개현초(金剛般若經疏開玄鈔) 金剛般若經疏開玄鈔 금강반야경소개현초 형태서지 公哲 述 高麗 韓國 木版本 1461年(世祖 7)重修 卷4-6...
    대표표제어금강반야경소개현초(金剛般若經疏開玄鈔) | 대표서명金剛般若經疏開玄鈔 | 한글서명금강반야경소개현초 | 서지형태형태서지
  •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5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56 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 형태서지 大乘起信論疏筆削記 [性聰 編] [朝鮮] [韓國] ...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56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 | 서지형태형태서지
  •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19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19 牧牛子修心訣 목우자수심결 형태서지 牧牛子修心訣 [知訥 著] 高麗 韓國 1467年(世祖 13) 威化三年丁亥歲朝鮮...
    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19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10)

  • / [언론·출판/출판]

    조선 초기 세조 때 불경의 국역과 판각을 관장하던 관청. 1461년(세조 7) 6월에 왕명으로 설치하여, 1471년(성종 2) 12월에 폐지하기까지 11년간 존속하였다.

  • 목우자수심결 / 牧牛子修心訣 [종교·철학/불교]

    불교 문헌. 1467년 에서 국역으로 간행된 고려의 고승 지눌의 저술이다. 보물 제770호이다. 혜각존자 신미가 국역하였다. 이 책은 선이론서로서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주장하였다. 목우자수심결은 선수행의 필독서로서 의 성격 및 초기의 훈민정음 연구에 귀

  • 선종영가집언해 / 禪宗永嘉集諺解 [언어/언어/문자]

    1464년(세조 10)에 간행한 당나라 영가대사(永嘉大師)의 『선종영가집』을 언해한 책. 상하 2권. 세조가 친히 원문에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信眉)와 효령대군 등이 번역하여 에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도제조인 황수신(黃守身)의 전문(箋文)과 도제

  • 반야바라밀다심경 / 般若波羅蜜多心經 [언어/언어/문자]

    당나라 법장(法藏)의 『반야심경약소(般若心經略疏)』에 대한 송나라 충희(忠希)의 주해본에 한글로 구결(口訣)을 달고 번역한 책. 1464년(세조 10) ()에서 『금강경언해(金剛經言解)』와 동시에 간행되었다. 따라서 도제조(都提調) 황수신(黃守

  • 법화경언해 / 法華經諺解 [언론·출판/출판]

    1463년(세조 9) 《묘법연화경》을 세조가 구결을 달고 에서 번역한 책. 목판본 7권. 세조가 을 세워 불경 언해를 간행할 때,《능엄경언해》이어 간행. 언해본도 1523년(중종 18)·1545년(인종 1)경에 나주의 쌍계사, 1765년(영조 40)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