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각세진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1)
- 각세진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손병희(孫秉熙)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글. [내용] 동학의 제2대교주 최시형(崔時亨)이 1898년에 극형을 받아 세상을 떠났으므로 동학에서는 제3대 교주가 나와야 했다. 이러한 시기에 손병희가 ≪각세진경≫을 지었다고 하는 것은...
- 삼성훈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글 번역은 19세기 말기의 국어사자료로 이용되는데, 치찰음 뒤에서의 반모음 /y/는 변별적 기능을 상실하였음을 ‘업셔, 쥭어나(3b), 셰가지(4a)’ 등의 예로 보여 준다. 이 책에 실린 「각세진경(覺世眞經)」‧「음즐문(陰騭文)」은 같은 번역 또는 다른 번역...이칭별칭통삼경(通三經)|삼성사실(三聖事實)
- 관성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만 신봉자들이 개별적으로 동묘에 참배하고 있다. 경전은 ≪각세진경 覺世眞經≫과 ≪명성경 明聖經≫이며, ≪명성경≫을 주된 경전으로 삼고 있으나 한문으로 되어 있어서, 일반신도는 ‘관성제군보서고(關聖帝君寶書誥)’를 암송한다. 의례는 음력 정월초하루, 5...
- 과화존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0년(고종 17) 고종의 명으로 관성교(關聖敎)의 경전을 모아 언해한 책. [편찬/발간 경위] 책 끝에 ‘광서육년경진계춘간인(光緖六年庚辰季春刊印)’이라는 간기가 있다. 또 본문이 시작되는 『각세진경(覺世眞經)』의 바로 앞에 ‘통천륭...
- 진정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覺世眞經(車甲順, 覺世道本源, 1960) 韓國新宗敎實態調査報告書(韓國宗敎學會, 1985)
주제어사전(3)
-
각세진경 / 覺世眞經 [종교·철학/신종교]
동학의 3대 교주 손병희가 1899년에 쓴 글. 손병희가 공식적으로 동학의 제3대 교주가 된 것은 1900년인데 이에 앞서 이 글을 세상에 미리 내놓은 것은 교주로서의 권위를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동학의 중요한 몇 가지 교리를 유교적인 표현과 이론으로써 체계적으로 밝
-
삼성훈경 / 三聖訓經 [언어/언어/문자]
쥭어나(3b), 셰가지(4a)’ 등의 예로 보여 준다. 이 책에 실린 「각세진경(覺世眞經)」·「음즐문(陰騭文)」은 같은 번역 또는 다른 번역으로서, 『과화존신』·『남궁계적(南宮桂籍)』·『경신록언석(敬信錄諺釋)』에 실려 있으므로 서로 비교하여 연구할 수 있다.
-
과화존신 / 過化存神 [언어/언어/문자]
1880년(고종 17) 고종의 명으로 관성교(關聖敎)의 경전을 모아 언해한 책. 한문 원문의 경전을 싣고 그 뒤에 그 언해를 붙이는 방식으로 「각세진경」·「구겁문(救劫文)」·「부대련구(附對聯句)」·「영험기(靈驗記)」·「교유문(敎諭文)」·「배심성훈(拜心聖訓)」의 여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