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각단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7)
- 각단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기 바탕은 백주(白紬)를, 화염각(火焰脚)과 영자(纓子)는 홍주(紅紬),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를 중앙에 두고 삼각기(三角旗)와 용마기(龍馬旗) 사이에 좌우로 선다. 黑紬八尺纓子紅紬一尺五寸角端旗一五幅付火焰脚哛改造所入質白紬二十尺火焰脚紅紬十八...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각단기(角端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각단기 각단기 角端旗 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허태구 의장용(儀仗用) 백...상위어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관련어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 백학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사용하기도 했다. 국장(國葬)이나 예장(禮葬) 중의 길의장(吉儀狀), 가례, 부묘 의식 등 노부 의장이 쓰이는 의례에 사용되었다. 磴子四哥舒棒四皷字旗一金字旗一令字旗二熊骨朶二豹骨朶二白鶴旗一玄鶴旗一龍馬旗一角端旗一三角旗一碧鳳旗一玄武, (상호1827/148ㄴ01~03)...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삼각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簿), 어장(御葬) 등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백주(白紬), 화염각(火焰脚)과 영자(纓子)는 홍주(紅紬)로,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石紫黃七分眞粉三兩紅眞絲六分修補所入三角旗二角端旗二龍馬旗二玄鶴旗一白鶴旗一旗葉改備每件所入, (국장1834/138ㄴ02~04)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영자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기(令旗)와는 구분된다. 靑蓋一雙皷字旗一件金字旗一件令字旗一雙熊骨朶一雙豹骨朶一雙龍馬旗一件角端旗一件三角旗一件, (상호1827/165ㄴ02~04)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
- 鴨綠江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不與之較但其詐偽之情不可不察禮部宜以朕所言咨其國王俾各安分毋生釁端출처전거『明實錄』 太祖高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1)
-
각단기 / 角端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임금이 참석하는 조회, 연회, 행차 등에 동원되는 의장기. 백색 바탕에 전설상의 동물인 각단과 구름을 그리고 청ㆍ적ㆍ황ㆍ백색으로 채색하였으며, 세 변의 가장자리를 불꽃무늬[화염각]로 둘렀다. 기 모양은 삼각형과 사각형의 두 종류가 있다. 기 바탕은 백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