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흥창” 에 대한 검색결과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 때에 다시 덕흥창이라 개칭했고, 세조 때 창터를 가흥역(嘉興驛) 근처로 옮기고 이라 칭하였다. 그러나 이 때에도 창옥이 마련되지 않아 수납한 세곡을 밖에 쌓아놓았기 때문에, 도둑의 위험이 따르는 등 세곡의 보관에 어려움이 많았다. 여기에 창옥이 건립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창고지. [내용] 목계(牧溪)나루를 건너 가흥 방면으로 가면 충주에서 장미산(長尾山, 薔薇山) 앞을 지나오는 세 갈래의 길과 만나는데, 이 길에서 앙성(仰城) 쪽으로 들어서서 오...
  • 마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하여 조운(漕運)이 폐지되면서 충주의 ()에 수납하였으며, 여기에서부터 한강의 수로를 이용하여 경창(京倉)에 상납하였다. 그러나 그 운송 거리가 멀고 소백산맥을 넘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임진왜란 이후 선운업이 발달하면서 남부지방에서는 사선(私船...
    이칭별칭좌조창
  • 수운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경기도관찰사 예하에서 한강 수운을 담당하던 관직. [내용] 중앙의 전함사(典艦司)에 배속되어 선박의 건조나 수리 등의 일에도 참여하였다. 충주 ()에 기지를 둔 좌수운과 배천 금곡포창(金谷浦倉)에 기지를 둔 우...
  • 흥원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원주시 법천동 에 설치되었던 조선 전기의 조창(漕倉). [내용] 소양강창(昭陽江倉)‧()과 함께 좌수참(左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稅穀)을 운송하였다. 좌수참에는 51척...

고서·고문서(26)

  • 50734 B050734 덕흥창 德興倉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3 충청도 忠州 倉庫 邑倉 楊津倉肅宗十二年建于楊津之東十六年移建于邑內以儲軍餉在西北三十里江邊本高麗德興倉又稱慶源倉高麗時漕倉也鄭文忠夢周建設水站 本朝 (漕舡十四艘一舡載二百尺)世祖朝自金遷移建于可興驛東稱左水站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爲重, 故自先朝, 多有儲置者, 而才聞鄭錫五之言, 近來連歲凶荒, 國用不足, 戶曹移用江都穀, 下七萬石, 故實留, 不過四萬石云, 此甚疎虞矣。 臣幼時, 先臣居留廣州, 其時軍餉, 實留七萬石, 而故相臣崔錫鼎, 故判書臣閔鎭厚, 以穀六七萬石, 移積松倉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0877 B020877 경양포 慶陽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5 方輿總志 高麗 _ ... 道連浦狄踰嶺以北爲女眞諸部恭愍王時拓地東北則至于鏡城西北則至于江界○漕倉國初置十二漕倉於南道水郡成宗十二年置常平倉于兩京十二牧德興倉在忠州今平底船二十艘一艘載二百石興原倉在原州平底船二十一艘...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408 B00440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6年 5月 16日_016 ○姜碩期, 以戶曹言啓曰, 水上站船, 元數不多, 田稅, 一年內未盡輸運, 不得已給價賃私船轉運, 所費不貲。 側聞橫城地, 正刑逆賊高贊家後山, 松材林立, 不可勝數云。 若遣解事之人, 以本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重, 故自先朝, 多有儲置者, 而才聞鄭錫五之言, 近來連歲凶荒, 國用不足, 戶曹移用江都穀, 下七萬石, 故實留, 不過四萬石云, 此甚疎虞矣。 臣幼時, 先臣居留廣州, 其時軍餉, 實留七萬石, 而故相臣崔錫鼎, 故判書臣閔鎭厚, 以穀六七萬石, 移積松倉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충주 가흥리유적 - 충주 가흥리 전원주택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과의 연관관계고찰:손명수/문헌 및 출토유물에 대한 고찰:김태흥/교열감수:이융조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 207-1번지 외 1필지 충청북도 충주시 649㎡ 본 조사는 유적 내 전원주택 신축부지에 대한 발굴조사로, 건축주...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 남한 강변에 있었던 조창. 1465년(세조 11)에 설치되어 개항 전까지 존속하였다.

  • 지 /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에 있는 조선시대 고을의 조세 운송 관련 창고터.조운창. 목계(牧溪)나루를 건너 가흥 방면으로 가면 충주에서 장미산(長尾山, 薔薇山) 앞을 지나오는 세 갈래의 길과 만나는데, 이 길에서 앙성(仰城) 쪽으로 들어서서 오른편 강가에 있다. 이 창고에

  • 목계진 / 牧溪津 [지리/인문지리]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의 남한강가에 있는 조선시대의 나루. 강의 진도(津渡)는 그 당시 사람과 말의 왕래나 물자의 운송로로서 그 구실이 매우 컸으며, 특히 목계진은 강 건너 가금면 가흥리에 있었던 ()으로부터 원주ㆍ제천ㆍ청풍 등지로 통하는 중요한 나루였다.

  • 소양강창 / 昭陽江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에 설치되었던 조창. ·흥원창과 함께 좌수참(左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운송하였다. 좌수참에는 51척의 참선이 배치되어 있었다. 소양강창에서는 춘천·홍천·인제·양구·낭천 등 5개 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