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현록”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4)

  • 종부시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략(璿源譜略)‧국조어첩(國朝御牒)‧왕비세보(王妃世譜)‧선원(璿源)‧팔고조도(八高祖圖) 등의 <봉안절목 奉安節目>이 실려 있다. ⑥ 1906년 1월부터 1907년 11월까지의 등록. 2책. 종부시와 궁내부(宮內府)‧내장원(內藏院)‧제도국(制度局)‧각 군...
  • 열성황후왕비세보(列聖皇后王妃世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할 수 있다. ‘선원록류’는 전주 이씨를 중심으로 한 조선 왕실의 족보류이다. 『종친록(宗親錄)』, 『유보록(類附錄)』, 『선원록(璿源錄)』, 『()』, 『예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선원속보(璿源續譜)』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에 비해 ‘비선원록류’는...
  • 단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된 ≪선원록≫‧≪선원세계≫‧≪선원속보≫‧≪선원 璿源≫ 등의 선원보류 수 백의 책이 보관되어 있다. 돈녕의 보첩을 수찬하기 위해 올리는 단자이다. 돈녕보첩 역시 매 식년에 수찬하도록 되어 있다. 외방에서 단자를 올리는 경우 선원록세계단자와 같이 한다....
  • 단자(單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선원록』을 수찬하기 위해 왕실의 자손들이 보청(譜廳)에 보고하는 세계단자이다. 매 식년마다 여러 파의 자손들이 올린 단자를 수합하여 최종적으로『선원록』·『선원세계』·『선원속보』·『선원』 등 선원보에 속하는 책을 만드는 데 이용되었다. 이외에도 돈녕단자는 『돈...
    상위어행정문서(行政文書) | 하위어공신자손세계단자(功臣子孫世系單子), 금기단자(禁忌單字), 망단자(望單子), 묘유사단(卯酉仕單), 문안단자(問安單子), 문안물종단자(問安物種單子), 보단자(保單子), 부의단자(賻儀單子), 사단자(赦單子), 사은단자(謝恩單子), 사조단자(四祖單子), 사주단자(四柱單子), 서경단자(署經單子), 성변측후단자(星變測候單子), 시사단자(試射單子), 시호망단자(諡號望單子), 정단(呈單), 제물단자(祭物單子), 주의단자(注擬單子), 지수단자(祗受單子), 진상단자(進上單子), 처녀단자(處女單子), 천신단자(薦新單字), 하정단자(下程單子), 하직단자(下直單子), 호구단자(戶口單子) | 관련어품목(品目), 소지류(所志類), 유서필지(儒胥必知)

단행본(1)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4 - 관안, 별단, 성적표, 이력서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8.31.
    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
    이력서 省記 생기 其他 기타 해제 장서각 소장 《이십공신회맹축》의 자료적 가치 대한제국기 정치제도와 황실제도의 변화

고서·고문서(3)

  • , 竝爲持入。 賤臣, 承命持入。 上曰, 諸臣, 揀拔以奏。 鼎烈·敦仁·憙淳, 承命讀東漢紀各一遍。 上曰, 公事奏之。 鼎烈, 讀奏宗簿提調狀啓, 國朝御牒·璿源譜略·王妃世譜·璿泒, 奉安于江華府鼎足山城寶閣事。 上命退, 諸臣以次退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居遷就橫渠志爰畫井田治事讀書東西兩扁稼政並修經工共銓三餘學徒戶誦鹿洞 ...
    출처전거中京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柳壽垣單付承文副正字, 崔熙道·尹世鳳單付學諭, 洪啓相單付校書博士, 金聖澤·方聖規單付校書副正字, 判校金克謙, 今加通政, 副護軍尹陽來, 今加嘉義, 兪拓基, 今加通政, 礪山君枋興祿, 今祿, 礪城君楫綏德, 今加興祿, 礪原君柱崇德, 今加嘉德, 密豐君坦崇憲, 今加嘉德, 西平君...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

    1914년(대정 3) 7월 3일 오후 11시 55분 고종의 후궁인 광화당(光華堂) 이완덕(李完德)이 아들을 분만하였음을 알리는 문서. 각각 발급자와 수급자가 다르다. 이 문서들은 상하향흑어미로 판하구에 '이왕직'이 인쇄된 흑색인찰공책지에 작성하였다. 총 5면으로 구성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