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파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6)
- 가파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연유가 소를 이 섬에 방목하면서 본격적으로 사람이 들어와 살았다고 한다. 그 후 18세기 말에 개간을 허락되면서 경주김씨, 진주강씨, 제주양씨, 나주나씨, 김해김씨 등이 ‘황개’와 ‘모시리’ 일대에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성장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한편 가파도는 역사적...이칭별칭더우섬|더위섬|더푸섬|가파섬|개도(蓋島)|개파도(蓋波島)|가을파지도(加乙波知島)
- 해녀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해녀들이 살고 있다. 예를 들어, 대정읍 가파도(加波島)와 우리 나라의 최남단 마라도(馬羅島) 및 소섬[牛島], 조천읍 북촌리(北村里), 구좌읍 동김녕(東金寧)‧월정리(月汀里)‧행원리(杏源里) 등 해안마을에는 예로부터 해녀 작업이 성행하면서 해녀촌이 형성되었...
- 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정읍 가파도(加波島)에서 확인된 20여 기의 지석묘 일부도 포함되어 있어서 그 중에는 지석묘가 아닌 것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제주시 한천(漢川)변의 경우, 1959년 김철준(金哲埈)의 조사보고에 따르면 30여 기였던 것이 현재는 10여 기도 채 안 되는...연계항목지석묘(支石墓)
- 마라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에 속하는 섬. [개설]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으로 대정읍 모슬포항에서 남쪽으로 11㎞, 가파도에서 5.5㎞ 해상에 있다. 동경 126°16′, 북위 33°06′에 위치하며 면...
- 남제주군(제주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중복에 해식동이 있고 도처에 해식을 받은 흔적이 있다. 해식을 받은 측화산에는 화산사암으로 이루어진 바굼지오름[簞山, 158m]이 있다. [가파도]를 바라보며 자리한 송악산은 3중화산체를 이룬다.일출봉으로 잘 알려진 성산(182m)은 비고(比高)에 비해 화구의 지름이...
고서·고문서(29)
- 가파도(加波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283 B002283 가파도 加波島 도서 제주특별자치도 憲宗實錄 六年(1840) 十二月 헌종실록_10612030_002 ○備局啓言: “卽見全羅監司李穆淵狀啓, 則枚擧濟州牧使具載龍牒呈以爲, ‘大靜、摹瑟浦加波島, 英吉利國船二隻來泊, 敢肆砲放, 至有刦掠牛畜之變,’ 仍請該縣...출처전거憲宗實錄 | 지역분류제주특별자치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파도(加坡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284 B002284 가파도 加坡島 도서 제주특별자치도 成宗實錄 二十二年(1491) 五月 성종실록_12205016_001 ○辛卯 / 上幸慕華館, 閱武。 司僕寺提調尹壕、李鐵堅啓曰: “近聞南忻啓: ‘司僕寺納人老病馬, 給價時將品好兒馬, 稱病馬而償之。’, 是必有見而啓之,출처전거成宗實錄 | 지역분류제주특별자치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파도(加波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285 B002285 가파도 加波島 도서 제주특별자치도 承政院日記 憲宗 6年 12月 30日_020 ○吳取善, 以備邊司言啓曰, 卽見全羅監司李穆淵狀啓, 則枚擧濟州牧使具載龍牒呈以爲, 大靜縣摹瑟浦加波島, 至有英吉利國船二隻來泊, 敢肆砲放, 劫掠牛畜之變, 仍請該縣監罷拿之典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제주특별자치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파도(加波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286 B002286 가파도 加波島 도서 제주특별자치도 承政院日記 憲宗 8年 1月 11日_013 ... 四面環海, 挐山中據, 除却人居林藪谿壑外, 起墾之土, 不過十分之一二, 而十處牧場, 又占其半, 故地貴如金, 穀貴如玉, 近又生齒漸繁, 民産益枵, 不出幾年, 全島生靈,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제주특별자치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파도(加波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287 B002287 가파도 加波島 도서 제주특별자치도 承政院日記 憲宗 8年 1月 13日_015 ... 11402 牛島·加波兩處牧場癸未年慰諭御史別單中, 以兩島馬牛, 分置諸場, 許民耕食, 自廟堂覆啓, 令該寺稟處許施事, 蒙允, 而至今寢置, 民情抑鬱, 牛馬之移置各場, 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제주특별자치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자, 게재일 : 201343972 김순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탐라문화연구소 2013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4)
-
가파도 / 加波島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속하는 섬. 동경 126°16′, 북위 33°10′에 위치한다. 모슬포항에서 남쪽으로 5.5㎞ 지점인 우리나라 최남단 마라도와 제주도 본섬 중간에 있다. 제주도의 부속 도서 중 네 번째로 큰 섬이다. 가장 높은 곳은 높이 20m 정도이며
-
해녀촌 / 海女村 [사회/촌락]
해녀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마을. 해녀는 우리 나라와 일본에만 분포되는데, 특히 제주도에 밀집되어 있다. 제주도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어서 대부분의 마을이 바닷가를 빙 둘러가면서 형성되었으며, 그 해안마을에는 해녀들이 살고 있다. 예를 들어, 대정읍 가파도(
-
마라도 / 馬羅島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리에 속하는 섬.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으로 대정읍 모슬포항에서 남쪽으로 11㎞, 가파도에서 5.5㎞ 해상에 있다. 동경 126°16′, 북위 33°06′에 위치하며 면적은 0.3㎢, 해안선길이 4.2㎞, 최고점 39m이며 인구는 13
-
고수선 / 高守善 [역사/근대사]
1898-1989.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의사, 현대 여성운동가·사회사업가. 호는 우인(又忍)이다. 본관은 제주(濟州)이며, 출신지는 제주도 대정읍(大靜邑) 가파도(加波島)이다. 아버지는 호적에는 고석조(高錫祚)라고 하나 고영조(高永祚)로도 불리었으며 솥, 농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