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침박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답동산가침박달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서흥군 봉하리에 있는 가침박달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175호. 가침박달 군락은 석현역에서 약 1.5㎞ 정도 떨어진 봉하리 농골부락 답동산의 서북 비탈면에 퍼져 있다. 산의 비탈도는 10∼15○정도이다. [내용]
- 임실관촌면의가침박달나무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가침박달나무의 군락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387호. 이곳 가침박달나무군락의 크기는 길이 500m, 폭 3∼4m에 이르고 가침박달나무의 개체수는 154그루이다. 상층부인 교목층은 졸참...연계항목임실관촌면의가침박달나무군락(任實館村面의가침박달나무群落)
- 영동매천리의미선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데 다른 식생과 더불어 생성하여 우리나라 특산식물연구의 학술자료가 되고 있다. 식생내용을 보면 큰 나무류에는 가침박달‧갈참나무‧개살구나무‧광대싸리나무‧굴참나무‧굴피나무‧느티나무‧산사나무‧상수리나무‧신갈나무‧복자기‧졸참나무 등이 있고, 관목류에는 까마귀밥여름나무...연계항목영동매천리의미선나무자생지(永同梅川里의미선나무自生地)
주제어사전(2)
-
가침박달 / [과학/식물]
장미과 가침박달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가침박달은 장미과에 속하는 작은 나무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베이징 및 랴오닝성 일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북의 건조한 석회암 및 퇴적암 지역의 풀밭, 화강암 바위지대에서 드물게 자란다. 학명은 Exochord
-
답동산가침박달군락 / ─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서흥군 봉하리에 있는 가침박달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175호. 가침박달 군락은 석현역에서 약 1.5㎞ 정도 떨어진 봉하리 농골부락 답동산의 서북 비탈면에 퍼져 있다. 산의 비탈도는 10∼15도 정도이다. 주변에는 조팝나무·싸리나무·옻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