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지방울”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쌍두령은 평양 정백리, 경상북도 경주 구정동, 충청남도 당진 우두리 등지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전체 형태가 땅콩처럼 생겼으며 중간의 허리가 가늘어진 곳에 고리가 달린 형식이다. [의의와 평가] 은 청동기시대 후기 초엽의 유적인 대전 괴정동을...
    이칭별칭쌍두령(雙頭鈴)|팔주령(八珠鈴)
  • 월성입실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으로는 세형동검 6점, 투겁창 2점, 동과 1점, 동검 손잡이 1점, 잔무늬거울 1점, 장대투겁 1점, 동탁 6점, 고리 1점, 2점, 동탁의 혀 1점, 이형동기(異形銅器) 1점 등의 청동기, 판상형(板狀形)쇠도끼 1점, 검조각 1점 등의 철기, 뿔잡이토기...
  • 견갑형동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은 화순(和順) 및 덕산(德山) 등지에서 출토된 〔八珠鈴〕과 장대투겁〔竿頭飾〕 등이 있다. 그리고 Z자 구획과 빗금무늬는 아산‧대전‧예산 등지의 충청남도 일대에서만 출토되고 있는 대쪽모양동기〔劍把形銅器〕와 방패형동기(防牌形銅器) 등에 있는 것과 흡사하다...
  • 팔두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양끝에 방울이 달린 것과 땅콩 모양의 것으로 구분된다. 은 대체로 서기전 3-2세기경에 출현하여 서기전 1세기를 전후한 시기까지 성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사전(1)

  • /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주술적(呪術的)인 의기(儀器). 전자에는 또 곧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려 있는 아령형태의 봉상쌍두령(棒狀雙頭鈴)과 둥글게 휘어 뻗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린 환상쌍두령(環狀雙頭鈴)의 두 종류가 있다. 이 밖에 같은 유적에서 세트로 발견되는 청동방울로 방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