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죽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동식물도감-식물편-(이덕봉, 문교부, 1974) 大韓植物圖鑑(李昌福, 鄕文社, 1985)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가중나무라고도 하며, 가승목, 저수, 산춘수라고 한다. 중국 원산으로...
  • 저목(樗木)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608 동식물 저목(樗木) 저목 樗木 소태나뭇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 는 가짜 대나무란 뜻으로, 잎 모양이 대나무 잎과 비슷하고, 옻나무와도 비슷하다. 가중나무라고도 하며, 가승목(假僧木) ‧ 저수(樗樹) ‧ 산...
    유형분류동식물
  • 상원가둑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상원군 대동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6호. 가둑나무는 를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는 대동리 기장동 뒷산의 남쪽 아래 기슭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 아래에는 기장동마을이...
  • 신안도창리노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달하고 있다. 이 수림대는 팽나무 61주, 해송 9주, 주엽나무 8주, 5주, 예덕나무 3주 등 주로 이곳 토착의 고유수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주종을 이루고 있는 팽나무는 수령이 200년생쯤으로 추정되고 있다. 나무의 크기는 팽나무에...
    이칭별칭팽나무|해송|주엽나무|가죽나무|예덕나무 | 연계항목신안도창리노거수(新安道昌里老巨樹)
  • 고장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대신 의 뿌리껍질을 사용하거나 지유(地楡), 소량의 황연을 넣어 앵속각을 능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단계심법(丹溪心法)』

고서·고문서(1)

  • 소맥공동판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靑木 第一五0九號 昭和 十六年 八月 十一日 木面長 各 區長 殿 萞麻蠶種配付에 關한 件 首題之件에 關하야는 蠶種을 左記와 如히 配 付할지니 思料인 樗(개)及 萞麻에 收 葉量에 應하야 過不足이 無케 取纏하시와 所要 數量을 本月二十日內로 報告하시기 爲要...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3)

  • / Ailanthus altissima SWINGLE [과학/식물]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가중나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가승목(假僧木)·저수(樗樹)·산춘수(山椿樹)라고 한다. 학명은 Ailanthus altissima SWINGLE.이다. 중국 원산으로 높이가 20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기수일회우상복엽(奇數一回羽狀複葉

  • 상원가둑나무 / 祥原─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상원군 대동리에 있는 . 북한 천연기념물 제26호. 가둑나무는 를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는 대동리 기장동 뒷산의 남쪽 아래 기슭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 아래에는 기장동마을이 있고 산 위에는 리기다소나무가 자라고

  • 저포 / 樗蒲 [생활/민속]

    나무로 만든 주사위를 던져서 그 사위로 승부를 다투는 놀이. 저(樗 : )와 포(蒲 : 부들)의 열매로 주사위를 만든 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저포는 원래 중국의 놀이인데, ≪오잡조 五雜組≫ 권6에 저포는 삼대(夏·殷·周)에도 있었다 하고, ≪태평어람 太平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