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조” 에 대한 검색결과 2,1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87)

사전(2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거창 지역의 옛 지명. [내용] 신라의 가소현(縣)인데 방언(方言)이 비슷하여 소(召)가 조(祚)로 된 것이다. 신라 경덕왕 때 함음(咸陰)으로 고쳐 거창에 예속시켰다. 고려초에 옛
    이칭별칭가소현(加召縣)|함음(咸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嶼白書(全羅南道, 1996)
  • 시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시에 유행하던 노래라는 뜻으로 시조라는 명칭의 원 뜻.
    정의당시에 유행하던 노래라는 뜻으로 시조라는 명칭의 원 뜻.[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ijeol gajo | MR표기sijŏl kaj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H0_D_0023 無兵 군사 기타 倉廩, 宿衛, 軍政不修 恭愍王十四年 喬桐縣, 京城 本史 D_05_04_66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6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6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S_0101 詩繪 시 詩, 志, 語, 意, 四言, 增字, 五言, 詞賦, 用意, 巧細, 組織, 藻繪, 七言, 背馳, 聲律, 配儷, 工緻, 才思, 精神, 氣力, 六藝, 法度, 拘檢, 短篇, 長律, 五言, 大家, 經史, 史策, 古文詞, 詠歎, 激切...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9권 1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08)

  • 2249 B002249 島 도서 경상남도 大東地誌 권5 경상도 巨濟 牧場 島 漆川島牧牛山達島 九川洞加羅山東塔浦舊永登 長木浦 ...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250 B002250 島 도서 경상남도 慶尙道邑誌 巨濟郡邑誌 巨濟郡 島礖 島礖閑山島(在郡西四十里) 島(在郡西四十里) 七川島(在郡北五十里) 猪島(在郡北八十里) 利勿島(在郡北六十里) 朱原島 ...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251 B002251 島 도서 경상남도 慶尙道邑誌 巨濟郡邑誌 巨濟郡 牧場 牧場漆川島牧場(屬晉州監牧官 禮曹祭享 黑牛放養處) 島牧場(屬晉州監牧官 司僕寺 濟馬放養處)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252 B002252 島 도서 경상남도 慶尙道邑誌 固城縣邑誌 固城縣 島嶼 海中) 島(在縣南)楸島(周四十里)老大島(在縣南)蛇梁島(在縣南)紙島(在縣東)葡萄島 ...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253 B002253 島 도서 경상남도 承政院日記 景宗 1年 2月 13日_033 ○司僕寺, 以一提調意啓曰, 近來馬種, 漸至駑劣, 諸場所放之馬, 一無可合於國用者, 誠爲可慮, 故各牧場中, 擇其可合牧馬之所, 別樣取種之意, 分付監牧官等處矣。 卽見慶尙道監牧官劉泰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8)

  • 06_043 경남 경상남도 거창군 경상남도 거창군_마을길소리 마을길소리 치나 칭칭 경상남도 거창군 면 석강리 생초 1989.4.20 素89-4-20A 정상칠 정상칠(1915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칭칭이 멕받형(선후창) 치나 칭칭 나네 칭치이 소리 잘도 하네
    녹음지역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 생초 | 녹음날짜1989.4.20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6_042 경남 경상남도 거창군 경상남도 거창군_상사 상사 어 널널널 상사 경상남도 거창군 면 석강리 생초 1989.4.20 素89-4-20A 정상칠 정상칠(1915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상사 류 멕받형(선후창) 어 널널널 상사 디야 진주 남강에 물질러
    녹음지역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 생초 | 녹음날짜1989.4.20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2:55) 2) 모심는 소리(10:09) 3) 밭매는 소리(18:49) 4) 쌍금쌍금 쌍가락지(27:17)B면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 새마음 할머니회 경로당) 1) 동풍가(00:26) (경상남도 거창군 면 마상리 죽마2구) 2) 모정자 소리(0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재미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2:55) 2) 모심는 소리(10:09) 3) 밭매는 소리(18:49) 4) 쌍금쌍금 쌍가락지(27:17)B면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 새마음 할머니회 경로당) 1) 동풍가(00:26) (경상남도 거창군 면 마상리 죽마2구) 2) 모정자 소리(0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유우남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02:55) 2) 모심는 소리(10:09) 3) 밭매는 소리(18:49) 4) 쌍금쌍금 쌍가락지(27:17)B면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 새마음 할머니회 경로당) 1) 동풍가(00:26) (경상남도 거창군 면 마상리 죽마2구) 2) 모정자 소리(0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영갑

기초학문(5)

  • 중국어 명사성 성분의 술어적 기능의 인건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정구, 게재일 : 2007
    29872 박정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언어학회 2007 중국어 명사성 성분의 술어적 기능의 인건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세금효과와 배당락일의 주정행위(98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운오, 게재일 : 1998
    04267 정운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회계학회 1998 세금효과와 배당락일의 주정행위(98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1998
  • 세금효과와 배당락일의 주정행위(99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운오, 게재일 : 1999
    09477 정운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회계학회 1999 세금효과와 배당락일의 주정행위(99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권리락일과 배당락일의 주정에 반영된 세금효과 : 무상증자와 주식배당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운오, 게재일 : 2002
    07670 정운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회계학회 2002 권리락일과 배당락일의 주정에 반영된 세금효과 : 무상증자와 주식배당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거창 분지와 분지에 발달한 화강암 사질 풍화층의화학적 풍화 양상 - CIA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영래, 게재일 : 2017
    63700 김영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형학회 2017 거창 분지와 분지에 발달한 화강암 사질 풍화층의화학적 풍화 양상 - CIA분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657)

  • 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남관찰 민영션씨가 부로보고기를 본부에 쥬차한일헌병 반쟝이햐의 쳐소를 젼관찰에셔긔쳥을 차급야 지우금 거졉엿 지금 그일헌병소로 챠급 협약서를 만들어보고 서로됴인기를 쳥니 그공차급기는 젼관찰이 빌닌거신즉 거론것업거니와 협약서에 각기됴인은 불...
    게재일1905년 6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고문관 셜필림씨가 인쳔항 셩북포에 디단을 년젼에사셔 두엇더니 셜씨가 지금 그디단에잇 집칠십여호를 훼쳘지라 인쳔감리 하상긔씨가 외부로 보고되 그집갑은 졍부에셔 죠쳐라고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6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梅 (전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淸水東雲(?-?)재조선일본인작가
    작품명_원문田家早梅 | 게재일19201010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1-2
  • (調) 육자배기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調) 육자배기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24호 調륙자백이 1908.07.24. 詞藻 665~666 892~893 아양자(峩洋子) 대한제국     「육자백이」, 「수신...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2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中山(-) 대구 中山 - 錦町 2丁目 - - 목재상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中山嘉助(-)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목재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멀티미디어(2)

  • 한일협상 타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한국과 일본 간에 인 된 어업협정, 재산청구권 문제, 재일교포의 법적 지위에 관한 문제의 3가지 현안에 관한 소식을 전하는 뉴스 영상.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5년 4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경제시책발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정부는 1월 13일 주요경제시책을 발표했다. 주요경제시책은 물가대책, 소비절약, 수출진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생활필수품 9가지를 지정하여 관리하기로 했다. 또한 곡절과 식량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여러 정부 시책들을 뉴스영상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4년 1월 13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67)

  • 신두휴;申斗休;고산;高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0556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8면 신두휴;申斗休;고산;高山 음성군 甘谷금융조합 제1회 1913년 3월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경상남도도립보건소수례폐지조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경상남도도립보건소수례폐지조례 경상남도도립보건소수례폐지조례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자치법규 교육행...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상남도지사 | 사료철명조례공포원부
  • (조사연구요약) 학기제 및 휴치에 관한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조사연구요약) 학기제 및 휴치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요약) 학기제 및 휴치에 관한 연구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통계ㆍ조사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문용 외 | 사료철명소보
  • 금광병옥;金光炳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93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106면 금광병옥;金光炳玉 거창군 면 원천리 제28회 194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상훈;金尙勳;금전상훈;金田尙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6075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101면 김상훈;金尙勳;금전상훈;金田尙勳 경남 거창군 면 일부리 본과 제18회 194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0)

  • /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거창 지역의 옛 지명. 신라의 가소현(縣)인데 방언(方言)이 비슷하여 소(召)가 조(祚)로 된 것이다. 신라 경덕왕 때 함음(咸陰)으로 고쳐 거창에 예속시켰다. 고려초에 옛 명칭 로 환원하였고 1018년(현종 9) 합주(陜州)에 이속시키더니 뒤에 다시

  • 도 / [지리/자연지리]

    2009년 7월에 섬의 남쪽과 거제도의 성포리를 연결하는 연륙교(길이 680m, 너비 13m)가 개통되었다. 거제도에 딸린 섬으로 거제도를 돕고 보좌한다는 뜻에서 도라 부르게 되었으며, 이러한 연유로 가좌도(加佐島)라고도 불린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43㎢,

  • 법종 / 法宗 [종교·철학/불교]

    1670(현종 11)∼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승려. 12세에 옥잠장로를 은사로 하여 득도하였다. 화엄의 원돈법계설을 공부하다가 크게 깨달았다. 20여세에 묘향산에 들어가 도안에게서 대장경을 배웠고 도안의 제자 추붕의 법을 이었다. 그의 법맥은 휴정-편양-도안

  • 개가 / 改嫁 [사회/가족]

    여성의 재혼은 같은 성격의 것이 아니었다. ≪경국대전≫ 권3 예전 혼(婚)에는 “사대부로서 처를 잃은 사람은 3년 후에 개취(改娶)를 허한다. 그러나 만약 부모의 명이 있거나, 나이 마흔 살이 넘어 아들이 없는 사람은 기년(朞年:한 해 되는 돌) 후에 개취를 허

  • 제망매가 / 祭亡妹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도솔(月明師兜率)’에 실려 있다. 기록에 따르면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노래로, 작가가 재(齋)를 올리며 이 노래를 지어 불렀더니 홀연히 바람이 불어 지전(紙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