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전체소설”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대기를 사전정체(史傳正體)의 형식에 맞추어 허구적으로 입전(立傳)한 소설. [내용] 은 가구(假構 ; 허구)된 주인공의 행적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감계(鑑戒 ; 지난 잘못을 거울로 삼아 다시...
  • 관자허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 [내용]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 중 ≪영처문고 嬰處文稿≫에 실려 있다. <관자허전>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무장공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의종 때 이윤보(李允甫)가 지은 . [내용] 고려 의종 때 이윤보(李允甫)가 지은 . 원전이 전하지 않아 서지적 상황과 작품내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 권2...
  • 저생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말 조선초에 이첨(李詹)이 지은 . [구성 및 형식] 종이를 의인화한 작품으로 『동문선』 권101에 실려 있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서두(序頭)‧선계(先系)‧사적(事蹟)‧후계(後系)‧평결(評結)의 형식으로...
  • 곽색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 [개설] 무장공자(無腸公子)인 ‘게’를 의인화한 것이다. ‘곽색’이란 무장공자의 별칭으로 게가 조급히 걷는 모양을 형용한 말이다. 『석주집(石洲集)』에 「주사장인전(酒肆丈人傳)」과 함께 실려

주제어사전(9)

  • / [문학/한문학]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대기를 사전정체(史傳正體)의 형식에 맞추어 허구적으로 입전(立傳)한 소설.

  • 안빙몽유록 / 安憑夢遊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 필사본. 「안빙몽유록」은 화초를 의인화하여 본 몽유소설로서 중국 당대(唐代)의 소설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과 같은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사물을 의인화해서 사건을 진행하는 것은 일반 과 같다. 그러나 몽유

  • 관자허전 / 管子虛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 중 『영처문고 嬰處文稿』에 실려 있다. 「관자허전」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관씨(管氏)의 본성은 죽씨(竹氏)주 01)이다. 그의 선조가 황제에게 발탁되어 황종의 음률을 만들게 되었

  • 죽존자전 / 竹尊者傳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혜심(彗諶)이 지은 . 「죽존자전」의 죽존자는 위수(渭水)나 소상강(瀟湘江)가에 노닐면서 서리나 눈에 단련되어 기골이 청신하였다. 존자의 사진인 사군자의 대나무 그림을 세상에서 보배로 여긴다. 죽존자의 덕이 뛰어남을 다 말할 수 없다. 대략 열

  • 포절군전 / 抱節君傳 [문학/한문학]

    조선 연산군·중종 때에 정수강(丁壽崗)이 지은 . 목판본. 『월헌집(月軒集)』 권5에 실려 있다. ‘포절군’은 절의를 품은 군자라는 의미로 대나무를 의인화한 이름이다. 딴 이름으로 죽존자(竹尊子)·관자허(管子虛)·차군(此君) 등이 있다.「포절군전」은 포절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