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자미식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가자미식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삭으면 무를 굵게 채썰어 소금에 약간 절여 물기를 짜고 마늘ㆍ고춧가루ㆍ통깨를 넣어 버무린 것과 가자미를 섞어서 꼭꼭 눌러 담는다. 24∼30시간이 지나면 먹을 수 있다. 이와같이 함경도의 가자미식해는 가자미와 조밥ㆍ소금ㆍ고춧가루 이외에 엿기름을 섞어 담그는 점이...
- 식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않게 하고, 밥을 말려서 수분의 양을 조절한다. 함경도지방 식해의 특징은 반드시 조밥을 사용한다. 다른 지방에서는 쌀이나 찹쌀로 밥을 하여 섞는다. 함경도지방의 명산물인 가자미식해는 12월부터 3월초 무렵에 나는 가자미로 담가야 제맛이 난다. 맛은...
- 가자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자미는 “허(虛)를 보하고 기력을 더하게 하고, 많이 먹으면 조금 동기(動氣)한다.”라고 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우리 나라 동녘 땅 갯가 사람들은 가자미식해[比目魚食醢]를 만들어 먹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가자미식해는 지금도 함경도지방의 향토식품으로 유명하...
- 젓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젓‧밤젓(전어내장)‧갈치속젓(갈치내장)‧꿀내기젓‧고명굴젓‧전복젓‧무멧젓‧가자미식해‧북어식해‧진주식해(갈치‧조기)‧밀양식해(북어‧마른오징어)‧멸치젓‧볼록이젓‧장지젓(대구내장) 등이다. ⑤ 전라도는 구젓(굴)‧고흥석화젓‧돔배젓(전어내장)‧대합젓‧고록젓(꼴뚜기)‧황석...
- 향토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향어회‧가물치회)‧오징어무침‧오징어회‧가자미식해‧건어포(암치‧대구‧북어‧오징어)‧박나물‧취나물‧지누아리무침‧파래무침‧더덕생채‧취쌈‧창란젓깍두기‧채김치‧동치미‧돌김‧들깨송이부각‧메추리튀김‧올챙이묵(옥수수묵)‧메밀묵 등을 들 수 있다. 동해의 해산물과 산골의 산나물이 찬물...
주제어사전(1)
-
가자미식해 / ─食醢 [생활/식생활]
·고춧가루·통깨를 넣어 버무린 것과 가자미를 섞어서 꼭꼭 눌러 담는다. 24∼30시간이 지나면 먹을 수 있다. 이와같이 함경도의 가자미식해는 가자미와 조밥·소금·고춧가루 이외에 엿기름을 섞어 담그는 점이 특성이다. 엿기름으로 조밥의 녹말이 당화되어 특미가 생긴다. 차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