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위바위보” 에 대한 검색결과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나 선 채로, ‘’하고 합창하면서 제각기 마음 먹었던 손 모양을 지어 내민다. 그런데 가위는 보, 곧 보자기를 찢을 수 있기 때문에 ‘보’에 이기나, ‘바위’보다는 약하므로 ‘바위’에 진다. 한편, ‘바위’는 ‘보’로 싸 담을 수 있으므로 ‘보’에 지...
  • 독장수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센 아이가 독장수가 되고, 를 하여 진 아이는 독이 된다. 독장수가 된 아이가 독이 된 아이를 짊어지고 친구 앞에 가서 “독 사려.” 하면 그 친구는 독이 된 아이의 머리에 알밤을 주면서 독이 깨졌다든가, 독이 잘 구워지지 않았다고 하여 트집을 잡는다....
  • 깡통차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찌그러뜨린 빈 깡통을 발로 차며 즐기는 남자아이들 놀이. [내용] 깡통이라는 물건이 우리나라에 유입되기 시작한 근대 이후에 발생한 놀이다. 놀이방법에는 다음의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아이들끼리 로 술래를 정한 뒤에,
  • 가마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하여, 먼저 이긴 사람이 가마를 타며 진 아이는 서로 두 손을 내밀어 가마를 짓는다. 이긴 쪽은 두 사람의 손 위에 걸터앉으며 두 팔로 좌우 아이의 어깨를 잡는다. 가마는 이긴 사람을 태우고 작정한 거리까지 갔다가 되돌아온다. 그러면 또 다시 모...
  • 그림자잡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방의 그림자 쪽으로 쫓아가기가 일쑤이나 여러 아이가 놀 때에는 로 술래를 정하여 여러 아이들이 이리저리 뛰며 도망다닌다. 그림자가 밟혀서 잡힌 아이는 교대하여 술래가 되며, 끝내 잡지 못한 술래는 노래를 하거나 춤을 추어야 하는 벌을 받는다. 이 놀이는...
    이칭별칭그림자밟기

주제어사전(15)

  • / [생활/민속]

    집게손가락 또는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만을 펴고 나머지 손가락은 접은 모양을 ‘가위’, 주먹쥔 손을 ‘바위’, 그리고 다섯 손가락을 모두 편 모양을 ‘보’라고 한다. 놀이방법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린이들이 둘러앉거나 선 채로, ‘’하고 합창하면서 제각기 마

  • 까막잡기 / [생활/민속]

    한다. 놀이방법은, 첫째 편을 갈라 노는 방법으로, 먼저 를 하여 편을 나누고 양편의 어린이들이 한 사람씩 번갈아 끼어앉아 둥근 원을 만든다. 인원은 많을수록 좋다. 양편에서는 각각 대표를 뽑아 로 고양이와 쥐를 정하는데, 진 편이 고양이가 된다. 술

  • 깡통차기 / [생활/민속]

    찌그러뜨린 빈 깡통을 발로 차며 즐기는 남자아이들 놀이. 첫째, 아이들끼리 로 술래를 정한 뒤에, 술래가 깡통을 차서 다른 아이를 맞히는 방법이다. 이 때 술래가 차는 깡통을 피해다닐 수 있는 거리를 미리 정해두지만, 잘못하여 그 깡통에 맞은 아이는 술래가

  • 가락지찾기놀이 / [생활/민속]

    를 하여 술래를 정한다. 술래가 보지 않을 때 가락지를 무릎 밑으로 슬금슬금 이쪽저쪽으로 보내기 때문에 그것을 감춘 사람을 찾기가 힘들다. 술래는 사람들의 얼굴표정이나 몸 동작,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예리하게 살펴보다가 짐작되는 사람을 알아맞힌다.

  • 가마타기 / [생활/민속]

    탄 아이가 “내가 사또가 되었는가?” 하면 가마가 된 아이가 “사또가 되었네.” 하고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놀이방법은 셋 이상이 모여 를 하여, 먼저 이긴 사람이 가마를 타며 진 아이는 서로 두 손을 내밀어 가마를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