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오고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24)
- 가오고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유원(李裕元)의 시문집. [내용] 13책. 필사본. 자인(自引)에 고종이 1868년(고종 5)에 내린 서사(書賜) 속의 ‘가오(嘉梧)’라는 표현을 따서 책명으로 삼았으며, 미정고(未定稿)라고 밝히고 있다. 제6책에 실려...
- 관극팔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이유원(李裕元)이 지은 소악부(小樂府).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 『가오고략(嘉梧藁略)』 제6책에 실려 있다. 『임하필기(林下筆記)』에 의하면, 이유원은 일찍부터 판소리에 관심을 두어 당시의 명창인 고수관(高壽寬)‧송흥...
- 조용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오고략(嘉梧藁略)』이칭별칭 성교(聖交)| 청소(晴沼)| 문헌(文憲)
- 허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가오고략(嘉梧藁略)』이칭별칭 이숙(而肅)| 효민(孝敏)
- 정문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孝憲)이다.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가오고략(嘉梧藁略)』이칭별칭 윤지(允之)| 미당(美堂), 초천(蕉泉)| 효헌(孝憲)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1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伽山藁 嘉梧藁略 柯汀遺稿 可軒集 角亭老人遺書 簡窩漫筆 艮宇遺集 葛山集 憨笥收錄
고서·고문서(1)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序 1871. 鄭元容이 쓴 서문이다. 序 1871. 尹定鉉이 쓴 서문이다. 自引 李裕元 자신이 직접 쓴 서문이다. 册一 樂府 山居樂四章, 飮一章, 大射一章, 南畝之什二章, 山有鳥矣三章, 摩之山三章, 穴居二章, 古樂府三十一篇, 上雲樂, 妾薄命, 東...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가오고략 / 嘉梧藁略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이유원의 시문집. 13책. 필사본. 제1책에 전문 20편, 책제 2편, 서 74편, 설 7편, 2책에 시장 15편, 제3책에 옥경고승기 1편, 제4책에 계 33편, 의 13편, 제5책에 소차 21편, 부주 28편, 제6책에 악부 19편, 제7∼9책에
-
이유원 / 李裕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8). 이계조의 아들이다. 1865년 《대전회통》 편찬 총재관을 지내고,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영의정에 올랐다. 1882년 전권대신으로서 일본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와 제물포조약에 조인하였다. 저서로 《임하필기》·《가오고략》 등
-
해동악부 / 海東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유원(李裕元)이 지은 악부시. 100편의 연작시(連作詩)이다. 작자의 미정고(未定藁)인 『가오고략 嘉梧藁略』에 수록되어 전한다. 「해동악부」는 해동악부 계열의 작품들처럼 역사사실을 소재로 한 영사악부(詠史樂府)가 아니다. 우리 나라의 음악과 장악부서(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