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야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4)
사전(273)
- 가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梅花山, 954m) 등 1,000m 내외의 연봉과 능선이 둘러 있고, 그 복판에 우리 나라 3대 사찰 가운데 하나인 해인사와 그 부속 암자들이 자리하고 있다. [자연환경] 가야산 일대에서 해인사가 있는 치인리에 모이는 물은 급경사의 홍류동(紅流洞) 계곡...
- 가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과 서산시 운산면, 해미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가야산은 충청남도 북부지방을 북‧남 방향으로 뻗어 있는 소규모 가야산맥에 속하며, 규모는 작지만 주변에 많은 문화유적을이칭별칭상왕산(象王山)
- 가야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성주군과 경상남도 합천군 사이의 가야산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 [내용] 이 산성은 가야산의 동북쪽으로 낮아지면서 형성된 작은 골짜기를 감싸고 있다. 성 안에 용기사(龍起寺)가 있어서 일명 용기성(龍起城)이라고도 한...이칭별칭용기성(龍起城)|가야산산성
- 제가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 [내용]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동문선≫ 권19에 전한다.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또는 ‘농산정(籠山亭)’‧‘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이라고도 불린다...
- 伽倻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D_0076 伽倻山 산림 東還, 故國, 亂世, 無復仕進, 無復仕進之意, 山水 大唐 崔致遠 羅史 D_04_05_22 대동운부군옥 4권 5장 2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5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35)
- 遊(伽倻山)賦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遊(伽倻山)賦 39_121_031.jpg 遊(伽倻山)賦 遡元化而玄覽兮, 求融結之攸始, 寓至理於太虛兮, 運玄機兮不已。 伊開闔之孰尸, 奠高卑而流峙。 惟伽倻之奇挺, 作雄鎭於火維。 淑氣之所磅礴, 神明之所扶持。 齊維嶽之峻極, 等赤城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가야산해인사고적(伽耶山海印寺古蹟 )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立馬羊腸回望(伽倻山)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詩 上 120 立馬羊腸回望(伽倻山) 01_090_050.jpg 立馬羊腸回望(伽倻山) 立馬羊腸口, 雲回不見山。 慇懃碧溪水, 隨我出人閒。 立馬羊腸 回望伽倻山 ▶1557년(丁巳, 명종 12, 22세), 星州(?). * 資料考: 『外集』 권1...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조선의 가야산 해인사 경판각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3596 P-SDK-03596-P-M-06-02 P-SDK-03596-P-M-06-02-1 P-SDK-03596-P-M-06-02-2 조선의 가야산 해인사 경판각 朝鮮の伽耶山海印寺經版閣, 其一外景 남만 북지 조선 여행 기념 봉투 있음. 6매자료명조선의 가야산 해인사 경판각 | 발행처中村久四郞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야산(倻山)해인사가 위치한 가야산에서 성주(星州) 관아로 돌아왔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1_378_265 1561년9월 ○야산(倻山)해인사가 위치한 가야산에서 성주(星州) 관아로 돌아왔다 1561년 9월 5일 임진, 찬바람이 크게 일고 물이 얾, 맑음. ○야산(倻山)해인사가 위치한 가야산에서 성주(星州) 관아로 돌아왔다. ○아침에 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구술자료(3)
- 가야산 신선이 된 최치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지난 번 만났을 때 들었던 최치원에 관련된 얘기를 청하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1월 13일(목) | 조사장소순창군 풍산면 유정리 603-4번지 풍남경로당 | 제보자안상윤
- 최고운 선생이 꽂은 가야산 작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79-11-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성주군 화죽 1동 | 제보자이원희
- 인민군 덕에 이밥을 먹어보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사람만 복잡하고 가면 어디로가. (청중1 : 피난가야 된다고 가야산다고 하니까 다 그냥 가는 거여. 전쟁이 났다고 하고 비행기는 왔다갔다 하고 그러니까. 그러니까 당시에 어떻게 하냐하면 피난가면 모든 침식이 불편하잖아. 그 러니까 자는 것은 어느 남의 집 곁방에다 잔다조사지역충남 공주 | 조사일2013년 5월 24일
기초학문(1)
- 寒岡 鄭逑의 「遊伽倻山錄」과 그 審美境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영민, 게재일 : 200733445 박영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07 寒岡 鄭逑의 「遊伽倻山錄」과 그 審美境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25)
- 밀령(蜜嶺)을 넘으며 입으로 읊조리다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회를 읊은 시 남숭산(南嵩山), 가야산(伽倻山), 이여재(李汝材), 밀령, 참세계, 탈속, 학귀(瘧鬼), 야윈 몰골, 호방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三)年庚申仲冬有日慶尙道陜川土伽耶山鳳栖寺開板 T48, p.1005.; H4, p.708.; X64, p.795. 국회도서관 015.51 ㅇ466ㅎ 韓國古書年表資料(국회도서관, 1969), p.14.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6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莊), 최치원(崔致遠), 자금어대(紫金魚帒), 황소(黃巢), 고병(高騈), 태산군(太山郡),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상서장(上書莊), 곡령(鵠嶺), 김생(金生), 홍관(洪灌), 김행, 행초(行草), 우군(右軍), 조자앙(趙子昻), 창림사비(昌林寺碑), 창림...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皇明嘉靖十三年甲午(1534)六月日全羅道高敞文珠寺重刊 刊記: 留板于慶尙道陜川土伽倻山鳳栖寺 H6, p.542. ; X78, p.1. 서울 종로구 동숭동 25-1호 金厗基 無 韓國古書綜合目錄(국회도서관사서국참고서지과, 1968), p.274대표표제어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7 | 대표서명法華靈驗傳 | 한글서명법화영험전 | 서지형태형태서지
-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三)年庚申仲冬有日慶尙道陜川土伽耶山鳳栖寺開板 T48, p.1005.; H4, p.708.; X64, p.795. 서울대학교 도서관 설송 016.951 Se67gS 奎章閣圖書目錄韓國本書名索引 (서울大學校附屬圖書館, 1966), p.14.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20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1)
- 예산 가야산 등산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l6-0124_#1 유구 예산 가야산-도판12 트렌치 2-1 노출 건축석재 2013-10-18_0.4902002_예산 가야산-도판12 트렌치 2-1 노출 건축석재.jpg l6-0제목예산 가야산 등산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6)
- (신국토 기행29) 가야산의 정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신국토 기행29) 가야산의 정기 (신국토 기행29) 가야산의 정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영훈,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예산 가야산 등산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l6-0124 유구 2013-10-18_9.646243E-02_예산 가야산 등산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표지.jpg 예산 가야산 등산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예산 가야산 등산로 확포장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조...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예산군/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남도
- 1992년 한림야간중 고등학교 여행 안내-가야산 해인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1992년 한림야간중 고등학교 여행 안내-가야산 해인사 1992년 한림야간중 고등학교 여행 안내-가야산 해인사 교육 문헌 평생교육 성인교육범주1평생교육 | 형식학교문서 | 한글저자최용주
- 나주지방산업단지(국민임대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나주 운곡동유적Ⅰ -지석묘∙기와가마-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운곡동 유적은 가야산의 남서지류인 저평한 구릉지대에 해당되며 독립된 여러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릉 말단부와 계곡부는 주로 논으로 경작되고 있었으며, 구릉 정상부쪽으로는 과수원으로 경작되고 있었다. 2004.11~2005.06(1차)/2005.08~200...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나주시/(재)마한문화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남도
- 아산 용두리 외골 유적 - 부록. 예산 대동리 장뜸 고분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적에 대한 발굴조사는 예산군청에서 추진하는 전원주택 조성에 따른 구제조사로 본 연구원에서 실시하였다. 대동리 유적이 위치한 덕산면 지역은 북서부에 서원산 가야산 등이 솟아 있으며, 중앙에는 수덕산이 솟아 있어 다소 험한 산지를 이루고 있으나, 북동부와 남서부는 평야...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충청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31)
-
가야산 / 伽倻山 [지리/자연지리]
4m) 등 1,000m 내외의 연봉과 능선이 둘러 있고, 그 복판에 우리 나라 3대 사찰 가운데 하나인 해인사와 그 부속 암자들이 자리하고 있다. 가야산 일대에서 해인사가 있는 치인리에 모이는 물은 급경사의 홍류동(紅流洞) 계곡을 이룬다. 그리고 동남방으로 흘러 내려와
-
가야산 / 伽倻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과 서산시 운산면, 해미면에 걸쳐 있는 산. 가야산은 충청남도 북부지방을 북·남 방향으로 뻗어 있는 소규모 가야산맥에 속하며, 규모는 작지만 주변에 많은 문화유적을 간직한 명산이다. 가야산의 높이는 678m이고, 주봉인 가야봉을 중심으로 원효봉
-
가야산성 / 伽倻山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伽倻山)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대가야의 성곽.산성. 가야산성은 가야산의 정상인 해발 1,433m의 칠불봉 동남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계곡(또는 백운리계곡)을 중심으로 좌우의 항아덤과 동성봉 능선을 따라 축성된 포곡식산성이
-
제가야산 / 題伽倻山 [문학/한문학]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로 『동문선』 권19에 전한다.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또는 ‘농산정(籠山亭)’·‘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이라고도 불린다. 「제가야산」은 자연의 물소리에 의탁하여 세상의 시비하는 소리를 멀리하고자 하는
-
유가야산록 / 遊伽倻山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정구(鄭逑)가 지은 기행문. 「유가야산록」은 정구의 문집인 『한강문집(寒岡文集)』 권9에 수록되어 있다. 1579년(선조 12) 9월 10일부터 24일까지 약 15일간에 걸쳐 이루어진 가야산 등반노정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유가야산록」은 다른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