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야금” 에 대한 검색결과 1,0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19)

사전(38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우리 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현악기. [개설] 일반적으로 이라 불리나, 이는 한자화된 명칭이고, 옛 문헌의 한글 표기는 언제나 ‘가얏고’로 되어 있다. 좁고 긴 장방형의 오동나무 공명판 위에 명주실로 꼰 12개의 줄을 걸고, 줄마다
    이칭별칭가야고|가얏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의 고유한 전통 현악기.
    정의한국의 고유한 전통 현악기.[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ayageum | MR표기kayagŭ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K5_D_0093 음악 於樂何有, 亡國, 伽倻王, 荒淫, 自滅, 國之理亂, 理亂, 音調 伽倻 眞興王 羅史 D_12_04_01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K5_I_0005 음악 弁韓瑟, 箏, 十二絃, 河臨, 嫩竹 大伽倻國王 嘉瑟, 于勒, 注其[注知], 萬德 通典 I_01_21_05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21장 5절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K5_S_0002 음악 筝, 十二絃琴, 樂器, 琴, 秦筝, 瑟, 十二絃, 十三絃, 二十五絃, 五十絃, 錦瑟 眞興王 新羅, 伽倻國, 唐, 新羅, 秦 嘉悉, 樂師于勤, 李奎報, 武帝, 泰帝, 素女, 黃帝, 李義山 急就章, 本紀 S...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4권 1장 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1)

고서·고문서(159)

  • 02574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打令 [196] [①] 열두 줄 위에 시름을 걸어 퉁기는 가락 애닯아라. 에헤에헤 에헤 당기당기 당기 세월만 흘러가네. 이화우(梨花...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0908 P-SDK-00908-P-M-08-06 P-SDK-00908-P-M-08-06-1 P-SDK-00908-P-M-08-06-2 선율 custom in chosen 조선풍속 기생 생활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
    자료명가야금 선율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1114 P-SDK-01114-P-E-16-13 P-SDK-01114-P-E-16-13-1 P-SDK-01114-P-E-16-13-2 타는 기생 KEISAING, BEAUTIFUL DANCING GIRL, CHOSEN. 전통 깊은 반도의
    자료명가야금 타는 기생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타령(打令)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2778 잡가 가요집성(歌謠集成) 12045 1965 李昌培 弘仁文化社 李基玉 7000원 타령(打令) [192] [①] () 열두 줄 위에 시름을 걸어 퉁기는 가락 애달퍼라 에헤에헤 에헤 당기 당기 당기 세월...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공도란(並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7481 창가 모던유행 노돌江邊唱歌 22108 1936 洪鍾起 盛文堂書店 洪鍾起 尹琦炳 八十錢 공도란(並唱) 〈#240〉 공도란이 백발이요 못 면할손 죽엄이라 텬황 지황 인황씨며 신롱씨 헌원씨와 요순우탕 문무주공 공맹안증...
    구분창가 | 편저자洪鍾起

구술자료(458)

  • 심상건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심상건 음반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L-1482 3447 충남 음반녹음자료 1) 심상건의 SP음반을 녹음한 음반녹음자료이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심상건
  • 산조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산조 현장녹음 散調, 金宗基, 成錦鳶 예술·체육 작품 현대 S-058 2293 미상 현장녹음자료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대담자‧연주자성금연
  • 산조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산조 현장녹음 散調, 金宗基, 成錦鳶 예술·체육 작품 현대 S-058 2293 미상 현장녹음자료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대담자‧연주자김종기
  • 신관용 산조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신관용 산조 예술·체육 작품 현대 D-064 2187 전북 기타녹음자료 1) 신관용 산조를 녹음한 자료이다. 2) 미입수된
    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신관용
  • 병창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병창 음반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02 1891 미상 음반녹음자료 1) SP음반 중 병창 관련 악곡 9종을 녹음한 자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병창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심상건

기초학문(2)

  • 몽골 야탁과 북한 의 교본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소현, 게재일 : 2010
    57325 박소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교육학회 2010 몽골 야탁과 북한 의 교본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윤정, 게재일 : 2010
    42568 이윤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춤연구소 2010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7)

기타자료(2)

  • (교수학습정보) 소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수학습정보) 소형 (교수학습정보) 소형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서ㆍ지도서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경기도정남중학교 | 사료철명문교행정
  • (교육실천 사례) 영춘에 맑은 선율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실천 사례) 영춘에 맑은 선율을 (교육실천 사례) 영춘에 맑은 선율을 교육 문헌 초등교육 학교운영 교육과정 기타교육...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주욱 | 사료철명충북교육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8)

  • / [예술·체육/국악]

    우리 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현악기의 하나. 일반적으로 이라 불리나, 이는 한자화된 명칭이고, 옛 문헌의 한글 표기는 언제나 ‘가얏고’로 되어 있다. 좁고 긴 장방형의 오동나무 공명판 위에 명주실로 꼰 12개의 줄을 걸고, 줄마다 그 줄을 받치면서 쉽게 이동할

  • 강태홍 / 姜太弘 [예술·체육/국악]

    1897-1957. 산조의 명인. 호는 효산(曉山). 전라남도 무안 출신. 원각사에서 창극활동을 하던 명창 용안(龍安)의 셋째 아들이다. 아홉살 때부터 을 배웠으며, 산조의 창시자로 알려진 김창조(金昌祖)에게서 전수받았다. 거주지를 대구로 옮겨 살면

  • 한수동 / 韓壽同 [예술·체육/국악]

    1895년∼1940년. 산조 및 풍류의 명인. 전라남도 해남(海南) 출생. 대금·시나위·의 명인이던 숙구(淑求)의 아들이다. 화순군 동복(同福)에서 살았다. 아버지에게서 ·풍류 및 산조를 배워 어려서부터 신동(神童)으로 이름이 났고 역대 산조

  • 달천 / 疸川 [지리/자연지리]

    3㎞ 지점의 달천과 남한강의 합류부에는 대문산 또는 견문산으로도 불리는 탄금대(彈琴臺)가 있다. 해발 100m 정도의 낮은 산으로, 하식단애의 구릉이다. 악성(樂聖) 우륵(于勒)이 망국(亡國)의 한을 달래며 을 타면서 제자들에게 노래와 , 춤을 가르쳤다는 곳

  • 주봉진 / 朱鳳珍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의 대금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1891(고종 33)∼1976. 경상남도 통영 출생. 소학교를 졸업하고 군청에 근무하였다. 36세 때부터 이승근 밑에서 대금··양금·단소 등을 공부하였고,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