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시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1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5)

사전(1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 지방에 따라서는 정‧참라 부르기도 한다. 한자어로는 면저(麵櫧)라고 부른다. 학명은 Quercus myrsinaefolia BL.이다. 지리적으로 우리 나라‧중국‧일본에 분포하고, 제주도에서는 높이 70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내용] 목재의 빛깔이 붉기 때문에 붉라 하며, 학명은 Quercus acuta THUNB.이다. 높이 20m, 지름 60㎝ 이상으로 자라는 나무로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밀포한다. 잎은 어긋...
  • 호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종하여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세계적으로 호랑의 종류는 수천 종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품종을 번식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삽목하여야 하는데, 경지삽목보다는 여름에 녹지삽목하는 것이 발근율이 높다. 한방에서는 잎과 열매...
    이칭별칭묘아자나무
  • 양림동호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 있는 호랑. [내용]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7호. 나무의 높이는 약 6m, 뿌리목 둘레는 1.15m이며, 수령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수관폭은 남북방향으로 약 7m, 동서방향으로 약 5m...
    연계항목양림동호랑가시나무(楊林洞호랑가시나무)
  • 부안도청리의호랑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도청리에 있는 호랑군락. [내용] 천연기념물 제122호. 면적 8,926㎡. 호랑는 감탕나무과에 속하며 상록활엽수로서 관목인데 높이가 2, 3m 정도이다. 어릴 때에는 잎이 모가 나고 끝...

고서·고문서(31)

  • 1563_355_058 1563년2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3년 2월 28일 정축. ○당(堂)에 머물렀다. ○판관이 마른 [枯棘]를 보냈다. 廾八日丁丑。 廾八日丁丑。 ○留。○二道遺枯棘。 1563년 2월 28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563_355_057 1563년2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3년 2월 27일 병자. ○당(堂)에 머물렀다. ○이충기(李忠基) 씨(氏)가 돼지고기를 보냈다. ○판관이 마른 [枯荊]를 보냈다. ○후필(后必)이 소 염통[牛心]을 바쳤다. 廾七...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 , 열매, 딜광이, 야생, 심어, 말성, 싹않나, 가르쳐, 방법, 포도, 오이, 저장법
    대표표제어한어 | 성씨
  • 주역대전 : 困卦_효사-삼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19 困卦 효사-삼효 六三, 困于石, 據于蒺藜. 入于其宮, 不見其妻, 凶. 육삼은 돌 때문에 어려우며 에 앉아 있다.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보지 못하니 흉하다. 中國大全 傳 六三, 以陰柔不中正之質, 處險極而用剛. 居陽, 用剛也, 不善處困之...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애, 회상, 돌벼랑, 오솔길, 산길, 뚤고걸어옴, 조국, 금수강산, 애달픈해외동포, 노들강변, 릉나도, 금강산, 일만이천봉, 고국, 목포, 인천, 부산항구, 아름다운도시, 마을, 현대고속도로, 현대시설, 대형공장, 동포생활모습, 조국, 문화시설, 병원시설, 농사...
    대표표제어생애 | 성씨

구술자료(5)

  • 바바야가를 죽이는 바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고, 갑자기 토끼가 로 변신했다. 그러자 아버지가 도와준 나무가 나타나 어떤 가시가 바바야가를 죽일 수 있는 가시인지 물어보았다. 그래서 이야기를 듣고 가시 하나를 부러뜨렸더니, 바바야가가 죽었다. 그래서 아버지와 형은 동생을 구할 수 있었다. 바바야가, 형,
    국가러시아 | 제보자나탈리아 [러시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이웃에 사는 내장 귀신과 귀신에 빙의된 사람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서 반드시 태반은 땅을 파서 넣고 위에 를 올려놓아야 내장 귀신이 태반을 파먹는 행위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이웃에 귀신에 빙의된 사람이 있었다. 그 사람은 갑자기 온몸이 아프고 병원에 가도 낫지 않고 햇빛을 싫어하고 날고기만 먹었다. 어느 날 그 사람이 자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킴나이키 [캄보디아, 여, 1991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검정개가 부정한 것을 막는 힘이 있다고 믿어 좋아한다. 압, 머리, 몸통, 내장, 분리, 합체, 쓸개, 초록색, 불빛, 괴물, 귀신, 요괴, 악귀, 산모, 피, 태반, 매장, , 금은, 보화, 침, 모계, 어머니, 딸, 계승, 퇴치, 화형, 거부, 검정개, 흑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디다넬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5년차] 포유미네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태반 먹는 내장 귀신이 사는 집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자의 오빠가 실제 보기도 했다. 내장 귀신은 똥이나 태반을 좋아한다. 그래서 산모가 출산하면 땅을 파서 태반을 깨끗하게 담아 흙을 덮은 뒤 그 위에 다시 날카로운 를 덮는다. 사람으로 변한 내장 귀신의 침에 감염되면 안 좋은 일이 생긴다고 믿기 때문에 사람들이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킴나이키 [캄보디아, 여, 1991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 갔다가 그렇게 벌어서 저... 연명 해나가구 그랬지. 그리고 밸 걸 다 뜯어먹었어. 아휴... 나물 이래는 게 나물도 나물 삶아다 뭐, 못 먹는 건지 먹는 건지 그냥 아무 거나 뜯어다가 먹고 저거 저... 안가시 나무라고 가 이렇게 가시 많이 들은 거 있잖아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8일

기초학문(1)

  • 공동체의 (불)가능 조건으로서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와 이창동의 〈시〉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희원, 게재일 : 2015
    45716 강희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5 공동체의 (불)가능 조건으로서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와 이창동의 〈시〉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4)

멀티미디어(1)

  • 18세기 중반 종[二年木]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8세기 중반 종[二年木]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818_18세기_중반_종[二年木] 경제_1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9)

  • /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 지리적으로 우리 나라·중국·일본에 분포하고, 제주도에서는 높이 700m 이하, 전라남도·경상남도의 해안과 도서지방의 계곡 및 산록에서 자란다. 높이 15∼20m, 지름 50㎝에 달한다. 줄기는 곧게 올라가 둥글게 자라며, 껍질은 회흑색이

  • / Quercus acuta THUNB.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높이 20m, 지름 60㎝ 이상으로 자라는 나무로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밀포한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7∼13㎝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1가화로서 5월에 피고 열매는 길이 2㎝로서 다음해 10월에 익는

  • 나주 상방리 호랑 / 羅州上方里虎狼─ [과학/식물]

    전라남도 나주시 공산면 상방리에 소재한 호랑. 2009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 제516호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 높이는 5.5m, 뿌리 근처의 줄기둘레는 1.7m이다. 수관 폭은 동서 방향이 7.6m, 남북 방향이 8.4m이

  • 부안 도청리 호랑 군락 / 扶安 道淸里─群落 [과학/식물]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도청리에 있는 호랑군락. 천연기념물 제122호. 면적 8,926㎡. 호랑는 감탕나무과에 속하며 상록활엽수로서 관목인데 높이가 2, 3m 정도이다. 어릴 때에는 잎이 모가 나고 끝이 가시처럼 되어 있으나 오래되면 잎은 둥글게 되고

  • 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 / 莞島孟仙里―常綠樹林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340호. 면적 8,506㎡. 소안도(所安島) 해안가 언덕 위에 발달해 있는 길이 약 300m, 폭 약 35m에 이르는 숲으로 모밀잣밤나무·붉·후박나무·생달나무·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종 등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