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수재전”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김려(金鑢)가 지은 전(傳). [구성 및 형식] ‘가수재’라는 이인(異人)의 약전이다. 『담정유고』 권9 「단량패사(丹良稗史)」에 실려 있다. [내용] 내용은 가수재라는 사람은 어느 곳 출신인지 알 수 없으나, 항...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김려(金鑢, 1766-1822)가 지은 전(傳).
    정의조선 후기 김려(金鑢, 1766-1822)가 지은 전(傳).[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 Sujae jeon | MR표기Ka Sujae ch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단량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안황중전(安黃中傳)」‧「()」‧「유구왕세자외전(琉球王世子外傳)」‧「삭낭자전(索囊子傳)」‧「장생전(蔣生傳)」‧「한숙원전(韓淑媛傳)」이다. 입전 대상의 신분은 거지‧포수 같은 하층민으로부터 궁녀, 외국의 왕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것은 신분에...
  • 한문소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가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작품 경향은 김려(金鑢)의 < >‧<삭낭자전 索囊子傳>에도 나타나고 있다. 이 밖에도 안정복(安鼎福)의 <여용국전 女容國傳>, 신광수의 <검승전 劍僧傳>, 채제공(蔡濟恭)의 <이충백전 李忠伯傳>, 이덕무의 <은애전 銀...

주제어사전(2)

  • /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 김려(金鑢)가 지은 전(傳). ‘가수재’라는 이인(異人)의 약전이다. 『담정유고』 권9 「단량패사(丹良稗史)」에 실려 있다. 내용은 가수재라는 사람은 어느 곳 출신인지 알 수 없으나, 항상 적성현(赤城縣: 지금의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陽城面)) 청원사(淸源寺

  • 단량패사 / 丹良稗史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김려(金鑢)의 전집(傳集). 『단량패사』에 수록된 8편의 전은 「이안민전(李安民傳)」·「포수이사룡전(砲手李士龍傳)」·「안황중전(安黃中傳)」·「()」·「유구왕세자외전(琉球王世子外傳)」·「삭낭자전(索囊子傳)」·「장생전(蔣生傳)」·「한숙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