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사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8)
사전(62)
- 가사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송나라의 간신이다. 정목란을 며느리로 삼으려 하나 목란의 아버지 정전에게 거절당하자 앙심을 품고 정전이 원나라에 투항하였다고 모함하여 옥에 갇히게 만든다. 아버지를 풀어 주면 며느리가 되겠다는 목란의 청에 따라 황제에게 청하여 장사로 유배 보내도록 한다. 목란을 며느리...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가사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금산사 창업연에서, 송나라 때 충신을 모해하고 나라를 그릇 친 죄인으로 저승에 끌려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가사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쌀‧보리‧콩‧마늘‧유채가 생산된다. 근해에서 멸치‧미역‧장어와 잡어가 잡히며, 김‧미역‧톳 등의 양식업을 하고 있다. 취락은 섬 중심지인 가사도리‧돌목리‧궁항리에 집중되어 있으며, 섬 동쪽에 있는 2개의 선착장을 통하여 매일 여객선이 운항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
- 가사도(笠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13 지명 가사도(笠戶) 가사도 笠戶 현재의 야마구치현(山口縣) 구다마쓰시(下松市) 앞바다인 세토나이카이(瀨戶內海)의 가사도지마(笠戶島). 입호(笠戶). 에도시대에는 스오국(周防國)에 속하였고, 가사도세키(笠戶關)가 있었으며, 사...유형분류지명
- 니시구치우라(西口浦)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982 지명 니시구치우라(西口浦) 니시구치우라 西口浦 현재의 야마구치현(山口縣) 구다마쓰시(下松市) 가사도시마(笠戶島)에 있는 서쪽 포구로 추정. 에도시대에는 스오국(周防國)에 속하였다. 1764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유형분류지명
고서·고문서(70)
- 가사도(加士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46 B001946 가사도 加士島 도서 전라남도 世宗實錄 三十年(1448) 八月 세종실록_13008027_001 ... ㆍ頃竹島ㆍ蛇浦串ㆍ加羅浦ㆍ愁德山ㆍ楡朱山ㆍ所訖羅串ㆍ末介島ㆍ其火島ㆍ八巓山ㆍ天燈山ㆍ灾山島ㆍ城頭串、珍島郡加士島ㆍ坪島ㆍ草島、務安縣古鐵金山ㆍ鍮達山 ...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사도(加士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47 B001947 가사도 加士島 도서 전라남도 全羅道邑誌 珍島郡邑誌 珍島郡 島嶼 ... 邑西三十里兩徳島在邑西三十五里玉島在邑西四十里官廳島在邑西五十里羅拜島在邑西五十里上鳥島在邑西六十里下鳥島在邑西四十五里加士島在邑北四十里馬津島在邑西三十里石南島在邑西六十里內竝明島在邑西六十五...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사도(加士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48 B001948 가사도 加士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19年 5月 26日_020 ... 冒犯之該郡守, 亦爲指名現告, 從後稟處爲宜。 其一, 珍島郡他邑移來軍兵還送事也。 本郡之昨年?荒, 最於一道, 宜有別般撫磨之政。 金溝來騎兵二名, 樂安來水鐵匠十三名, 興陽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사도(加士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49 B001949 가사도 加士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19年 5月 28日_035 色吏所逋, 若是?然。 收殺無期者, 非但國體所在, 萬萬痛駭, 昨年以前道臣之一向掩置, 不卽釐正, 亦爲駭然, 此不可以?經大賑, 置而不論, ?令道臣, 詳加査櫛, 官逋吏逋, 竝爲待...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사도(加士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50 B001950 가사도 加士島 도서 전라남도 正祖實錄 十九年(1795) 五月 정조실록_11905022_003 ... 紙弊, 別無復滋, 而但看色紙革罷之後, 不徒不革, 乃反倍捧, 宜更嚴飭。 一, 珍島穀簿各樣逋負, 收殺無期, 宜有別般矯革。 一, 珍島歉荒最甚, 死亡尤...출처전거正祖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3)
- 가사도 출처있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을 지명과 유래에 대한 이야기를 다양하게 하던 제보자에게 옛날 이야기와 노래를 구연해 주기를 청했다.조사일시2010. 1. 18(월) | 조사장소경남 합천군 용주면 봉기리 봉기마을회관 | 제보자김상수
- 약초를 캐는 노파와 지모초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다음에 노파의 몸이 점점 좋아지고, 가사도 도와주고 나무꾼 아내 애기도 봐주고, 그리고 마당에서 이제 보기 드문 화초도 많이 심었습니다. 만약에 집안에 누군가 아프면 화초를 캐서 탕을 끓이면, 바로 마시게 하면, 바로 병이 나아집니다. 이제 노파와 나무꾼 부부 완전히국가중국 | 제보자심죽령 [중국, 여, 1988년생, 결혼이주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쭈쭈 할아버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사도우미? 파출부. 그래.] 디다넬: 파출부? 네 파출부 찾아요. [조사자1: 누가?] 디다넬: 쭈쭈가. 이제 와이프 밖에 못 가니까 밖에도 못가고 뭐 시장도 못가잖아요. 그 숲속에 동네 있어요. 네. 밖에도 못가고 이제. [조사자1: 아, 그러니까 집에서 일해국가캄보디아 | 제보자디다넬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5년차] 포유미네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가사도우미, 요양보호사, 유통업체 판매직 근로관계의 특성과 노동법의 실효적인 규율 방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주희, 게재일 : 201563877 이주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5 가사도우미, 요양보호사, 유통업체 판매직 근로관계의 특성과 노동법의 실효적인 규율 방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2)
- 大水漲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연일대우가 폭쥬야 가도마니 상엿고 슈목도마니 상엿시며 오강에 대슈가 창일야 노들 경인텰도 다리밋헤 가득다 더라게재일1902년 7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恩津水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장마에 은진각쳐 연강에 뎐답과 곡식도마니 침몰 엿거니와 가도 일이십호가 침몰 엿다더라게재일1902년 8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官地調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한셩부로 훈령기 오셔 관유디단은 한셩부에셔 의례구관거신 근일인민등이 인허도업시 임의로 뎡계야 표를셰우고 가도 건츅니 민습이 연지라 각셔에 쥬 파송야 낫낫치 젹간야 인허업시 건츅가와 표말은 엄금고 보라얏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大韓料理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署明洞에鳳凰亭을建築고我韓에第一等으로認許시料理店을設備홈 鳳凰亭料理敺米合國에最高等料理店規式을模範야我韓第一等料理店되기期圖홈 鳳凰亭料理內外國 貴客이一等料理로認許시고晝夜間連續光臨심을感賀홈 鳳凰亭料理貴客의光臨盛念을報荅키爲야家舍도一層精潔고飮食도佳品眞味를具備...게재일1907년 7월 2일 | 기사분류광고
- 大韓料理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署明洞에鳳凰亭을建築고我韓에第一等으로認許시料理店을設備홈 鳳凰亭料理敺米合國에最高等料理店規式을模範야我韓第一等料理店되기期圖홈 鳳凰亭料理內外國 貴客이 一等料理로認許시고晝夜間 連續光臨심을感賀홈 鳳凰亭料理貴客의光臨盛念을報荅키爲야家舍도一層精潔고飮食도佳品眞味를...게재일1907년 6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2)
-
가사도 / 加沙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4′, 북위 34°28′에 위치하며, 하조도(下鳥島)에서 북쪽으로 20.5㎞ 지점에 있다. 면적은 6.84㎢이고, 해안선 길이는 18.5㎞이다. 조도면 해역에서 유일하게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구에서 제외된 곳이다
-
무애가 / 無碍歌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 원효(元曉)가 지었다고 하는 불교가요. 제작연대는 미상이고, 가사도 현전하지 않는다. 다만, 노래의 유래가 『삼국유사』 권4 원효불기조(元曉不羈條)와 『파한집』 권하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 때 이 노래는 「무애무(無㝵舞)」로 바뀌어져서 궁중의 정재(呈才) 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