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례증해” 에 대한 검색결과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룩한 송나라의 정치‧사회‧경제적인 구조와 정신적인 조건이 19세기말까지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주자학과 더불어 이 『가례』도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만일, 조선시대의 구조적인 조건도 이와 유사하였다고 보면, 이의조의 『』에서의 『가례』의 절대성도 이해될...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서 한문 한국 조선 정조 성낙수 박종국 2016 이의조 미상 1792 14권 10책 목판본 () 규장각 [정의] ...
  • 판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92년(정조 16) 이의조(李宜朝)의 ≪≫를 간행하기 위하여 새긴 판목. [내용] 475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7호. ≪≫는 ≪주자가례 朱子家禮≫에 우리 나라 제가설(諸家說)을 열거하여 증해하고 자가설(自家說)을...
    연계항목가례증해판목(家禮增解板木)
  • 박성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근수(宋近洙)의 천거로 1880년(고종 17)에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에 임명되고, 이어 사헌부지평‧호조참의‧동부승지‧호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저편서로는 『운창문집(芸窓文集)』 15권을 비롯하여 『이학통고(理學通攷)』‧『호락원류( 湖洛源流)』‧『...
    이칭별칭 계선(季善)| 운창(芸窓)| 문경(文敬)
  • 주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저서로는 『가실집』ㆍ『()』가 있다.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이칭별칭 자명(子明)| 가실(可室)

논문(1)

고서·고문서(5)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예류(禮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0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1.1×21.0cm이고, 반곽은 23.1×17.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이다. 이의조(李宜朝, 1727~1805)가 저술하였으며, 서문(序文)은 이의조

  • / [사회/가족]

    의 해설서로써 『가례』의 정통성을 드높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예제(禮制)는 시대에 따라서 변화하기 마련이지만 가례는 시대의 변천에도 불구하고 변질될 수 없는 항구적인 가치관과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는 시대에 따라서 많이 변질되고 그 의의가

  • 판목 / 板木 [언론·출판/출판]

    이의조(李宜朝)의 『』를 간행하기 위하여 1792년(정조 16)에 새기기 시작하여 1794년에 완성한 목판의 판목. 475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7호. 『』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우리 나라 제가설(諸家說)을 열거하여 증해하고 자가설(自家說)을

  • 시묘 / 侍墓 [사회/가족]

    부모의 상을 당하여 성분(成墳)한 다음, 그 서쪽에 여막(廬幕)을 짓고 상주가 3년 동안 사는 일. 일반적으로 시묘는 죽은 부모에 대한 가장 효성스러운 행위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의조(李宜朝)의 『()』나 정구(鄭逑)의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에 의하

  • 박성양 / 朴性陽 [종교·철학/유학]

    로는《운창문집》 15권을 비롯하여 《이학통고》·《호락원류》·《보유》·《거상잡의》·《속통감》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