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례원류” 에 대한 검색결과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8)

사전(5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파면당하고 『』의 발문이 말살되기도 했다. [의의와 평가] 『』는 사례의 발달과정을 항목별로 이해하는 데에는 많은 참고가 되지만, 여러 고전에서 관계사항을 발췌하여 엮은 것일 뿐 엮은이 주장이 전혀 없어 조선시대 가례인식의 한 면모를 여기에...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서 한문 한국 조선 현종 성낙수 박종국 2016 유계 미상 1714 14권 8책 목판본 () 규장각 [정의] ...
  • 속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유계(兪棨)가 왕가의 사례(四禮)에 관한 내용을 엮은 책. [내용] 2권 1책. 간본. 『』의 편찬 때 제외되었던 것을 따로 모은 것으로 그 보유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가례』는...
  • 시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5년(숙종 41)에 ≪ ≫가 간행되자 그 내용을 둘러싸고 벌어진 소론과 노론 사이의 정쟁. [역사적 배경] 일찍이 효종 때 유계(兪棨)가 주자의 ≪가례≫에 단마다 해석을 붙여 ≪≫를 편찬했으나 미처 간행하지 못...
  • 임천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판(市南集板)ㆍ판(板)ㆍ왕복서판(往復書板) 등의 보유책판 목록을 열거하였으며, 능침ㆍ목장ㆍ관애ㆍ봉수조는 ‘없음〔無〕’으로 기재하였다는 점이다. 『호서읍지(湖西邑誌)』
    이칭별칭임천군읍지(林川郡邑誌)

고서·고문서(11)

  •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2093 B002093 가시목 加時木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肅宗 39年 5月 20日_018 吉, 亦甚推許, 與之同事。 缺七八字作爲一編, 其書, 上自儀禮, 至漢·唐·宋以來, 缺三字有[爲]源, 以朱子以後先儒之說爲流, 考据該備, 人皆稱歎, 尙未刊行, 誠爲可欠。 兪棨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石, 而盡爲將官給料之資, 及不緊諸需云。 今宜命罷給料之規, 取補官用, 如江都例。” 又言: “經理廳, 時無錢布, 不成規模。 備局及戶、兵曹米布, 宜可貸用, 而平安道流來銀錢, 亦宜先爲貸用。” 上幷從之。 左議政李頣命奏言: “故副提學兪棨所輯《》, 頗詳密, 儘合刊行。 其孫相...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而上番之常存寬恕, 下番之以用刑太寬仰達者, 皆不免於有偏矣。 於此大升氣湯當用之病, 豈以六君子湯而治之乎? 吾欲不復言之矣。 權爀之爲其叔惡黃晸者, 非疾黃昱也, 亦是時象也。 , 轉激時象, 此豈晸等之罪哉? 爀以乃父之子, 不思家庭之風, 以叔父之事, 强引不當引之嫌, 不爲國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유계(兪棨)가 『가례』에 관한 여러 글을 분류, 정리한 책. 14권 8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가례』의 본문을 기본으로 삼고, 삼례(三禮: 周禮·儀禮·禮記)에서 관계되는 사항을 뽑아서 주석으로 삼아 이를 원(源)이라 하

  • 속록 / 續錄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유계(兪棨)가 왕가의 사례(四禮)에 관한 내용을 엮은 책.2권 1책. 간본. 『』의 편찬 때 제외되었던 것을 따로 모은 것으로 그 보유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가례』는 원래 송나라의 지배층인 사대부들이 관혼상제의

  • 계사왕복서 / 癸巳往復書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상기와 소론의 재상 윤증이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1718년에 간행한 서간집. 불분권 1책. 목판본. 할아버지 계(棨)의 저술인 『()』를 간행하는 과정에서 유상기(兪相基)와 당시 소론 재상 윤증(尹拯)의 의견이 맞지 않아 서신을 왕복하면

  • 유상기 / 兪相基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양증 증손, 할아버지는 계, 아버지는 명윤이다.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할아버지 계의 저서인『』를 간행할 때에, 스승 송시열을 등지고 당쟁을 조장하였다고 윤증을 공격한 정호의 발문으로 소론의

  • 윤선거 / 尹宣擧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황, 어머니는 성혼의 딸이다. 문거의 아우이며, 증의 아버지이다. 김집의 문인이다. 유계와 함께 저술한『』·『후천도설』 및 이에 관하여 유계와 논변한 편지를 비롯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