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례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4)
- 가례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책은 17세기 국어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특히 가족 명칭 등 당시의 어휘 자료를 제공하는 점에서 국어사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1983년 홍문각(弘文閣)에서 영인하였다. 家禮諺解解題(洪允杓, 影印家禮諺解, 弘文閣, 1983)
- 가례언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632년(인조 10) 신식이 가례를 언해한 책정의1632년(인조 10) 신식이 가례를 언해한 책 | 문광부표기Garye eonhae | MR표기Karye ŏn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가례언해(家禮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가례언해 가례언해 家禮諺解 예학국어학 문헌 한국 조선 인조 성낙수 박종국 2014 신식(申湜) 원주 1632년 10권 4책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
- 신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攷證)』ㆍ『가례언해(家禮諺解)』 등이 있다.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이칭별칭 숙지(叔止)| 용졸재(用拙齋)
- 멱모(幎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훈(纁), 『가례언해(家禮諺解)』에 깁, 『상례비요(喪禮備要)』에 흑증(黑繒) 혹은 주(紬), 안은 훈(纁), 『가례집람(家禮輯覽)』에 치백(緇帛), 『사례편람(四禮便覽)』 가례본주(家禮本注)에 백(帛), 사상례(士喪禮)에는 주(紬)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실제 상례...동의어멱모(幎冒), 멱목(幎目), 멱모(幎冒), 명목(瞑目), | 관련어모단 멱모(帽緞幎冒), 수의(壽衣)
고서·고문서(1)
- 후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글을 수록하고 있다. 時祭 때 각 神位에 각각 별도로 제물 진설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비용 문제를 고려해 考/妣 두 분을 묶어 한 상에 진설하는 것이 예에 어긋나는지를 묻는 질문, 米食를 인절미[引餠]이라고 하고 麵食를 빵[霜花]이라고 한 申湜이 찬술한 『가례언해』의 내...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가례언해 / 家禮諺解 [언론·출판/출판]
1632년(인조 10년) 신식(申湜)이 ≪가례≫를 언해한 책. 10권 4책. 목판본. 언해의 방식을 설명한 범례, 가례도언해, 가례서언해, 본문, 한문으로 된 발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원도 원주에서 관찰사로 있던 신득연(申得淵)이 간행하였다. 신득연은 신식의 아
-
신식 / 申湜 [종교·철학/유학]
임하였다. 저서로는『의례고증』·『가례언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