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례부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가례부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도 독자성을 찾아볼 수 있다. 가례부췌 / 안환 가례부췌 / 안환 조선 중기의 학자 안공이 ≪가례≫를 보충, 해설한 책. 177...
- 상제요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안로(安璐)가 찬술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 [내용] 1책. 사본. 안로는 『가례부췌(家禮附贅)』를 찬술한 안공(安㺬)의 친척으로 『가례부췌』에서 그 예설(禮說)을 많이 참고하기도 한 예학의 대가였다. 그는 『...
- 안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논설을 첨가하여 『가례부체(家禮附贅)』 6권을 편찬하고, 『오현전(五賢傳)』 1권과 우리 나라의 말과 중국의 한자말에 대한 연구서 『자해(字解)』 2권을 지어 선비들의 학문에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선비들의 분경을 싫어하여 그것을 이단보다 더 큰 피해가 된다고 역설...이칭별칭 대지(待之)| 오휴당(五休堂)
- 가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편저자명 권 책수 家禮考證 曺好益 7권 3책 家禮附贅 安 愆 8권 4책 ...
고서·고문서(1)
- 가례부췌발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기타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주제어사전(3)
-
가례부췌 / 家禮附贅 [사회/가족]
조선 중기의 학자 안공(安㺬)이 『가례』를 보충, 해설한 책. 8권 4책. 이 책은 1628년(인조 6)에 완성되고 1758년(영조 34)에 안정복(安鼎福)의 발문을 얻었으며, 1779년(정조 3)에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안공은 임진왜란 후 병화로 많은
-
가례부췌책판 / 家禮附贅冊板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기의 학자 안신(安迅, 1569∼1648)이 『주자가례』를 근거로 하여 우리 풍속에 맞도록 만든 실용 예서인 『가례부췌』의 책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7호. 『가례부췌』가 완성된 것은 1628년(인조 6)이었으며, 1758년(영조 34)에 이를 간행하고자
-
상제요록 / 喪祭要錄 [사회/가족]
조선시대 학자 안로가 상례와 제례에 관하여 관하여 저술한 예서. 1책. 사본. 안로는 『가례부췌(家禮附贅)』를 찬술한 안공(安㺬)의 친척으로 『가례부췌』에서 그 예설(禮說)을 많이 참고하기도 한 예학의 대가였다. 그는 『상제요록』 외에도, 김정국(金正國)이 저술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