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례도감의궤” 에 대한 검색결과 1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3)

사전(139)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차도를 바탕으로 의궤를 작성하였다. 廳郎廳以都提調意啓曰本都監儀軌纔已修正奎章閣所上件, (가례1819/124ㄴ10~1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들은 대부분 잘 보존되어 있다. 廳郎廳以都提調意啓曰本都監儀軌纔已修正奎章閣所上件, (가례1819/124ㄴ10~1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류와 옷감의 내역을 자세히 밝히고 있어 당시의 복식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현재 남아 있는 『』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소현세자 가례 때의 것으로 옷을 태반이나 줄였다는 기록이 옷가지별로 적혀 있는데, 그것은 가례를 거행하기 직전에 있은 「사치금령(...
  • 동궁비원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를 발표한 손경자 교수의『이조복식고(李朝服飾考)』에는 “병오가례시 원삼”으로 되어 있다. 병오가례는 순종이 황태자 시절 윤씨와의 두 번째 국혼(國婚)인 병오년(1906)에 거행된 가례로서 황태자비 신분으로 착용하였던 유물이다. 그러나 당시 기록인『』(190...
  • 김명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3년 두 차례에 걸쳐 통신사를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1647년 창경궁 중수 공사 때는 화원 6명과 화승 66명을 데리고 책임 화원으로 일하였다. 그리고 1651년에는 한시각(韓時覺) 등과 함께 현종명성후(顯宗明聖后) 『()』의 제작에 참...
    이칭별칭명국󰠐천여󰠐연담󰠐취옹

단행본(2)

  • 숙종대왕 자료집 1 - 의궤, 등록, 일기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정만조, 이근호, 최진덕...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0.30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영인 王世子冊禮謄錄 嘉禮都監都廳儀軌 一冊 二冊 庚子年國恤草日記 肅宗大王國恤謄錄
  • (조선왕실의 행사 2)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
    저자 : 신병주(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박례경(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송지...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1.14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5세기 왕실 혼례식 (3) 의궤를 통해 본 왕대별 혼례식 4. 조선 왕실의 지위별 혼례식 (1) 왕, 왕세자, 왕세손의 혼례식 (2) 국왕의 혼례식; 󰡔영조정순왕후󰡕를

고서·고문서(24)

  • 인조장렬왕후(仁祖莊烈王后)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38년(인조16) 인조(仁祖, 1595~1649)와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1688)의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인조는 조선의 제16대 왕으로서, 이름은 종(倧)이다. 선조(宣祖)의 손자이며, 정원군(定遠君, ...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현종명성왕후(顯宗明聖王后)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생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의식에 소요된 각종 물품들의 종류와 수량, 규격 등도 상세히 알 수 있다. 주요 기물들에 대한 그림 설명과 화려한 채색의 반차도(班次圖) 또한 수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들 가운데 이른 시기의 것으로 자료적 가치가 크다.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숙종인경왕후(肅宗仁敬王后)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70년(현종11)~1671년(현종12) 세자였던 숙종(肅宗, 1661~1720)의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상대는 김만기(金萬基)의 딸로서 훗날의 인경왕후(仁敬王后, 1661~1680)이다. 숙종은 조선의 제19대 왕으로서, 이름은 순(焞), 자는 ...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숙종인현왕후(肅宗仁顯王后)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81년(숙종7) 숙종(肅宗, 1661~1720)과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1701)의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숙종은 조선의 제19대 왕으로, 이름은 순(焞), 자는 명보(明普)이다. 현종(顯宗)의 아들이며, 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숙종인원왕후(肅宗仁元王后)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02년(숙종28) 숙종(肅宗, 1661~1720)과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金氏, 1687~1757)의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숙종은 조선의 제19대 왕으로서, 이름은 순(焞), 자는 명보(明普)이다. 현종의 아들이며, 어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8)

  • 조선후기 와 嘉禮儀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세은, 게재일 : 2005
    04350 김세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조선후기 와 嘉禮儀式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를 통해서 본 조선왕조 혼례연향음식문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5897 한국연구재단 신광출판사 2003 『()』를 통해서 본 조선왕조 혼례연향음식문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를 통해 본 의향(衣香)의 용도와 재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희, 게재일 : 2013
    52265 이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복문화학회 2013 『』를 통해 본 의향(衣香)의 용도와 재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1744년(영조 20) 思悼世子의 嘉禮와《[莊祖獻敬后]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세은, 게재일 : 2005
    02123 김세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744년(영조 20) 思悼世子의 嘉禮와《[莊祖獻敬后]》 https://www.krm.or.kr/krmts/link.htm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819년(순조 19) 孝明世子의 嘉禮와《[文祖神貞后]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세은, 게재일 : 2005
    02196 김세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819년(순조 19) 孝明世子의 嘉禮와《[文祖神貞后]》 https://www.krm.or.kr/krmts/link.htm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주제어사전(12)

  • / [정치·법제/법제·행정]

    다. 가례도감 설치 때의 조직ㆍ업무ㆍ예규ㆍ행사ㆍ결과 등 모든 사항에 대해 보통 필사하여 제작하였고, 이 중 한 부는 어람용으로 왕에게 올리고 나머지는 관련 기관과 사고에 나누어 보관하였다. 임진왜란 이전의 의궤는 남아있지 않으나, 인조 이후의 들은 대부분 잘

  • 청 /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도감에서 주관한 행사 전반을 정리하여 의궤를 작성하는 기구. 조선시대에 국왕이나 왕세자 등의 국혼 때 가례와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임시 기구인 도감이 설치되는데, 행사가 완료되면 도감을 해체하고 의궤청을 설치한다. 의궤청은 도감에서 작성한 등록과 반차도를

  • 청초립 / 靑綃笠 [정치·법제]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의 가례 시 사용되는 쓰개. 왕세자빈의 가례 <순조순명후>와 왕세손빈 가례 <정조효의후>때 의대 물목으로 기록되어 있다. 청초립은 청초 1척 5촌으로 겉을 바르고, 안은 남주 3척으로 바른다. 매듭에 쓸 대홍진사 1량 5전,

  • 체발 / 髢髮 [생활/의생활]

    머리 위에 덧 드리는 다래, 또는 그것으로 틀어 만든 큰 머리. <영조정순왕후> <도청의궤>에 보면 체발은 머리털에 덧 드리는 다리, 또는 그것으로 틀어 만든 큰 머리로 나와 있으며, 또한 <경세유표> 「비국요람」에 체발을 다리라고 기록하고 있다.

  • 황초립 / 黃草笠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전ㆍ궁의 별감과 사복내외시 거달, 내취 등이 행행 할 때 쓰는 갓. 누런 빛깔의 가는 대로 만들며, 위는 좁고 아래가 넓은 원통형의 모옥과 원형의 양태로 되어 있다. 모정이 평평하다. <영조정순후>에서는 견마배가 청의를 입고 황초립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