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가례고증”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학자 조호익이 중국 구준이 편찬한 ≪가례≫에 관해 어려운 부분을 고증하여 알기 쉽게 풀이한 책. 목판본. 규장각도서.
  • 조호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芝峰書院)과 도잠서원(道岑書院), 성천의 학령서원(鶴翎書院), 강동의 청계서원(淸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지산집』ㆍ『심경질의고오(心經質疑考誤)』ㆍ『()』ㆍ『주역석해(周易釋解)』 ㆍ『역상추설(易象推說)』ㆍ『논위학지요(論爲學之要)』ㆍ『이기유석...
    이칭별칭 사우(士友)| 지산(芝山)| 정간(貞簡), 문간(文簡)
  • 송곡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권7은 부록으로 행장ㆍ묘갈명ㆍ묘지명ㆍ서(書)ㆍ만(輓)ㆍ서산사춘추상향문(西山祠春秋常享文)ㆍ문집고성문(文集告成文) 등을 수록하였다. 시는 다양한 소재를 통해 폭넓은 주제를 다뤘다. 우주의 구성 원리나 도학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견해, 우리나라와...
  • 공장(供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 행사 때 사용되는 장막이나 휘장, 혹은 연회 준비 및 연회 자체. [개설]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조호익(曺好益)이 지은 『()』에 따르면 공장(供帳)이란 기물을 펼쳐놓는 일을 말하는데, 이때 ‘장(帳)’은 침상, 자리, 의자, 탁자 따위를 포괄...
    관련어선휘사(宣徽使), 장연수전(張延壽傳)
  • 유휘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집해산보(近思集解刪補)』ㆍ『()』 등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호고와문집(好古窩文集)』
    이칭별칭 공회(公晦)| 호고와(好古窩)

고서·고문서(4)

  •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년 이광정(李光靖)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만사를 이우에게 전달해 달라고 하였다. 끝으로 『』을 읽을 것을 권하고 언동을 신중히 해야 한다고 충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名淡婆姑 是婦人名 患疾服煙草而效 故名云 其種本自倭國來 將鑑博議 續蒙求四卷「」眉巖居士柳希春著 嘉靖戊午序 中庸衍義「」「」「」「」李彦迪著 擬大學衍義 演九經之義 神應經「」成化十年 崇祿大夫西平君韓繼禧序云〔日本國富山殿所使 자필본 상단에 ‘所使’ 추가기입.副官人信州隱士...
    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 훈지양선생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가례』를 해설한 책으로 曺好益의 『』과 金長生의 『家禮輯覽』이 있으나 단점이 없지 않다. 이에 주석 및 우리나라 유현의 문답, 벗들과 토론한 내용을 차록하여 이 책을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改葬備要序 1715. 改葬은 禮書에서 찾기 어렵고, 주자도 자세한 기...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조호익이 중국 구준이 편찬한 『가례』에 관해 어려운 부분을 고증하여 알기 쉽게 풀이한 책. 7권 3책. 목판본. 권1·2에는「가례서」·「통례」, 권3에는「거가잡의」, 권4에「관례」, 권5에「혼례」, 권6·7에「상례」와「제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

  • 조호익 / 曺好益 [종교·철학/유학]

    1545(인종 1)∼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치우 증손, 할아버지는 효연, 아버지는 윤신이다. 어머니는 장중우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저서로 『지산집』·『심경질의고오』·『』·『주역석해』 ·『역상추설』·『논위학지요』·『이기유석등변』·

  • 도잠서원 / 道岑書院 [교육/교육]

    ()』·『대학동자문답집(大學童子問答集)』 등의 목판이 보존되어 있으며, 재산은 전답 2000여 평과 임야 65정보 등이 있다.

  • 김성일 / 金誠一 [종교·철학/유학]

    변호로 화를 면하였다. 퇴계학파의 고제로서 유성룡, 정구와 함께 퇴계 문하의 삼걸로 불리운다. 저서로는 <학봉집>,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