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가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52)
사전(1,939)
- 가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가에서 거행한 관례(冠禮), 혼례(婚禮), 책례(冊禮), 하례(賀禮), 조회(朝會), 연회(宴會) 등 경사스러운 의식. 가례는 국가 의례를 구분하는 오례(五禮) 중 하나이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國朝五禮儀의 가례 부분에는 조선 시대 의궤 용어 사전⑴ 왕실 전례편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가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오례(五禮)의 하나로 경사스러운 예식. [내용] 사가(私家)에서 가례는 관례(冠禮)나 혼례를 뜻할 뿐이나, 왕가에서 가례는 그 내용이 복잡하고 다양하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춘관통고(春官通考)』‧『문헌비고(文獻備考)』 등에 기록...
- 가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례도(家禮圖) 20장이 있다. 권1은 통례(通禮)로 사당(祠堂)과 심의(深衣)에 관한 것, 권2는 관례(冠禮)로 관(冠)‧계(筓)에 관한 것, 권3은 혼례(婚禮)로 의혼(議昏)‧납채(納采)‧납폐(納幣)‧친영(親迎)‧현구고(見舅姑)‧현처부모(見妻父母)에 관한 것, 권4...
- 가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정의 관혼상제(冠婚喪祭)에 대한 예법.정의가정의 관혼상제(冠婚喪祭)에 대한 예법.[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arye | MR표기ka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가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오례(五禮)의 하나. 왕가(王家)에서는 왕의 성혼이나 즉위, 또는 왕세자‧왕세손‧황태자‧황태손의 성혼이나 책봉 따위의 예식을 이르고, 사가(私家)에서는 관례(冠禮)나 혼례를 이름.정의오례(五禮)의 하나. 왕가(王家)에서는 왕의 성혼이나 즉위, 또는 왕세자‧왕세손‧황태자‧황태손의 성혼이나 책봉 따위의 예식을 이르고, 사가(私家)에서는 관례(冠禮)나 혼례를 이름.[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arye | MR표기ka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8)
- 가례의 수용과 조선 사대부의 집안 다스리기 [조선시대 예제사회(禮制社會)의 성립과 전개 | 단국대학교]저자 : 김미영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220430치가治家, 곧 집안(가정)을 다스리는 일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행해져 온 보편적 관행이다. 다만 시대와 지역에 따라 치가의 목적과 내용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공동체의 이념적 기반이 되는 세계관 곧 종교나 사상적 배경의 차이 때문이다. 즉 이들 종교...
- 영조 자손 자료집 4 - 옹주, 세손, 왕손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0.15.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해제 1. 장서각 소장 영조 자손 관련 자료의 내용과 특징 해제 2. 영조 대 옹주 가례의 내용 검토 해제 3. 사도세자의 자손 《和順翁主嘉禮謄錄》 《和平翁主嘉禮謄錄》
- 정본 여유당전서 22-상의절요 외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喪儀節要 卷一 2.喪儀節要 卷二 3.嘉禮酌儀 4.禮疑問答 5.風水集議
- 숙종대왕 자료집 1 - 의궤, 등록, 일기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정만조, 이근호, 최진덕...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0.30분야생활 | 유형단행본영인 王世子冊禮謄錄 嘉禮都監儀軌 嘉禮都監都廳儀軌 嘉禮都監儀軌一冊 嘉禮都監儀軌二冊 庚子年國恤草日記 肅宗大王國恤謄錄
- 조선왕실의 궁릉의물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 한서대학교]저자 : 장경희(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3.9.30.분야예술‧체육 | 유형단행본1. 잔칫날, 궁궐의 가례용 의물 (1) 가례란 무엇인가? (2) 즉위식, 조하의식의 의물 (3) 혼례식과 의물 (4) 왕실 잔치와 의물 2. 슬픈 날, 혼전과
논문(2)
- 16세기 사치풍조와 사회적 구별짓기 [16세기 星州지역 기층민의 通過儀禮와 의식세계 | 서울대학교]저자 : 이혜정(서울대학교) | 게재정보 : 인문학연구 27권, 게재일 : 2015.06본 연구는 16세기 사치풍조의 유행을 구별짓기와 인간의 욕망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사회적 금제에 대한 욕망이 인간의 행위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에 분석대상을 묵재일기라는 제한된 자료로 한정하고, 주자가례에 따른 통과의례의 확산과정과 그 안에 내...유형논문
- 경상북도 종가의 불천위제례의 공간활용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저자 : 이상민 | 게재정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고서·고문서(1,427)
- 가례(家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가례(家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가례(家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嘉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640 春秋考徵 四 ITKC_MP_0597A_0640_030_0060 [嘉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春秋考徵 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가례증해(家禮增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구술자료(3)
- 걸어오다 선 가례리(佳禮里) 앞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에 이어서 구술하였다. 조사자가 산이 걸어 왔다는 이야기가 없느냐고 하니까, 제보자가 받아서 이야기했다. *조사일시1981-01-21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최영규
- 이퇴계가 명명한 가례 동천(嘉禮 東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퇴계 선생의 일화이다. 의령군내는 이 밖에도 퇴계 선생의 일화가 더러 있다.*조사일시1982-01-30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 제보자한진식
- 경상남도 의령군_1,2. 상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6_211 경남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남도 의령군_1,2. 상사 1,2. 상사 1. 얼여루 상사 2. 어허디야 상사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가례리 1987.3.11 素87-3-11②A 1. 백순상 2. 이창오 백순상(1921년생.남.토민), 이창오녹음지역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가례리 | 녹음날짜1987.3.11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30)
- 조선후기 嘉禮都監儀軌와 嘉禮儀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세은, 게재일 : 200504350 김세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조선후기 嘉禮都監儀軌와 嘉禮儀式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문주, 게재일 : 201036496 이문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교문화연구소 2010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朝鮮時代 ??家禮?? 硏究의 進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동우, 게재일 : 201353800 장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朝鮮時代 ??家禮?? 硏究의 進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魏晉南北朝時期 家禮의 출현과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승현, 게재일 : 200929345 홍승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학회 2009 魏晉南北朝時期 家禮의 출현과 성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7세기 왕자녀 가례 절차 및 복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연, 게재일 : 201656864 김지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복식학회 2016 17세기 왕자녀 가례 절차 및 복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68)
- 嘉禮大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가례에 좌우의졍을 신복터인 좌의졍은 민씨가피명엿고 우의졍은 젼판셔 죠병호씨가 피임다며 가례도감은 태복로 뎡이되고 졍 젼판셔 김병리씨가고 당상은 젼남관찰리도씨가 피명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嘉禮習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가례습의를 작일졍오에 부안에셔 거얏 원임의졍대신이하 일반관리가 일쳬진참얏고 부로부터 가례도감으로 그졔반의장을 진며 진참관리가 모다슈 도로관광쟈심히부성얏더라게재일1907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嘉禮節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황 가례시 륙례일시와 습의날과진하에 죵친 문무관이 례일로 쟝례원에셔 상쥬하얏데 일은 음력십일월이십일손시(진간)에 랍고 문명은 동월이십칠일손시오 랍길은 동월이십팔일손시오 납징은 십이월쵸십일 뎡시오 고긔 동월십일일 병시오 비봉영는날에 죵...게재일1907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嘉禮再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황비 간을 얏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嘉禮大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가례도감을 셜시단 말은 이왕긔얏거니와 가례대신은 젼대신 셔졍슌씨나 죠병호 량씨 즁에피명다더라게재일1906년 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0)
- 다. 1주차. 예의 기본 2주차. 거가잡의 3주차. 가족관계 4주차. 가례 1: 관례와 계례 5주차. 가례 2: 상례 6주차. 유교 복식 7주차. 유교 음식 8주차. 의궤와 유교문화 9주차. 왕릉의 조성 34주차. 종묘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Ⅰ | 강의자이욱
- 다. 1주차. 예의 기본 2주차. 거가잡의 3주차. 가족관계 4주차. 가례 1: 관례와 계례 5주차. 가례 2: 상례 6주차. 유교 복식 7주차. 유교 음식 8주차. 의궤와 유교문화 9주차. 왕릉의 조성 35주차. 종묘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Ⅰ | 강의자이욱
- 다. 1주차. 예의 기본 2주차. 거가잡의 3주차. 가족관계 4주차. 가례 1: 관례와 계례 5주차. 가례 2: 상례 6주차. 유교 복식 7주차. 유교 음식 8주차. 의궤와 유교문화 9주차. 왕릉의 조성 36주차. 종묘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Ⅰ | 강의자이욱
- 다. 1주차. 예의 기본 2주차. 거가잡의 3주차. 가족관계 4주차. 가례 1: 관례와 계례 5주차. 가례 2: 상례 6주차. 유교 복식 7주차. 유교 음식 8주차. 의궤와 유교문화 9주차. 왕릉의 조성 37주차. 종묘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Ⅰ | 강의자이욱
- 다. 1주차. 예의 기본 2주차. 거가잡의 3주차. 가족관계 4주차. 가례 1: 관례와 계례 5주차. 가례 2: 상례 6주차. 유교 복식 7주차. 유교 음식 8주차. 의궤와 유교문화 9주차. 왕릉의 조성 38주차. 종묘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Ⅰ | 강의자이욱
기타자료(15)
- 금가풍수;金佳豊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07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6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q. 1942년 12월 졸업 금가풍수;金佳豊秀 (본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효제;朴孝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740 남한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1-29 제12회 졸업기념 1934―03 0 박효제;朴孝濟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가례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영규;韓永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가례리 410 소화10년 3월16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김해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파평정한;坡平丁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2060 남한 경남 마산상업학교 2-25 제17회 卒業記念寫眞帖 1941―03 0 파평정한;坡平丁漢 의령군 가례면 가영리 제17회 194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원이훤;許園二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7701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88면 허원이훤;許園二暄 경남 의령군 가례면 수성리 제37회 1943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0)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1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최연식 | 연세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최연식 | 연세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도현철 | 연세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예제사회(禮制社會)의 성립과 전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정주 | 단국대학교 | 2016 | 국내 | 경기
-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심영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78)
-
가례 / 嘉禮 [종교·철학/유학]
오례(五禮)의 하나로 경사스러운 예식. 사가(私家)에서 가례는 관례(冠禮)나 혼례를 뜻할 뿐이나, 왕가에서 가례는 그 내용이 복잡하고 다양하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춘관통고(春官通考)』·『문헌비고(文獻備考)』 등에 기록된 가례는 왕을 비롯한 왕세자·왕세손의
-
가례 / 家禮 [종교·철학/유학]
송나라 학자 주희가 가정에서 일용하는 예절을 모아 엮은 예서. 8권 3책. 목활자본. 1759년(영조 35)에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첫머리에 가례도(家禮圖) 20장이 있다. 권1은 통례(通禮)로 사당(祠堂)과 심의(深衣
-
가례고증 / 家禮考證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조호익이 중국 구준이 편찬한 『가례』에 관해 어려운 부분을 고증하여 알기 쉽게 풀이한 책. 7권 3책. 목판본. 권1·2에는「가례서」·「통례」, 권3에는「거가잡의」, 권4에「관례」, 권5에「혼례」, 권6·7에「상례」와「제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례도감 / 嘉禮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국왕·왕세자·왕세손 등의 가례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임시 관서. 1397년(태조 6) 10월 왕세자 방석(芳碩)의 혼례를 위해 가례도감을 설치한 것이 효시이다. 도감은 임시 기구이기 때문에 국혼의 의논이 확정되면 설치되었다가 모든 행사가 끝난
-
가례변의 / 家禮變儀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계운이 주희의 『가례』를 시대에 맞도록 해설 보완하여 1909년에 간행한 예서.주석서. 8권 4책. 목활자본. 1909년 간행되었다. 저자의 자서가 있고 권말에 송병관(宋炳瓘)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이 책은 순서와 편집 범위 등을